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수업 담화에 나타난 교수실재감 양상 분석 -EBS 초등 국어 온라인 라이브 특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1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 19 사태는 국어교육에서 온라인 수업을 고민하게 만들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4주 동안 전국적으로 실시된 EBS 실시간 온라인 초등 국어 수업 15편을 분석하여 실시간 온라인 방송 수업...

      코로나 19 사태는 국어교육에서 온라인 수업을 고민하게 만들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4주 동안 전국적으로 실시된 EBS 실시간 온라인 초등 국어 수업 15편을 분석하여 실시간 온라인 방송 수업의 의사소통 양상을 분석했다. 교사들은 1분에 한 번꼴로 학습자의 댓글 반응을 인용하며 활발하게 학생들과 소통하려고 노력했다.
      초등학생의 경우 학습 동기나 목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실재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석 대상의 수업에서는 교수실재감 형성을 위해 수업 설계 및 실행 측면에서 학생과의 관계 형성을 위한 발화가 많았다. 학생 역시 교사와 관계를 형성하려는 시도가 많았고 교사는 이를 공적 관계로 수업 담화에 반영하려 하였다. 담화 촉진 측면, 직접 교수 측면에서는 온라인 특성 상 지연된 학습자 반응 시간을 메우기 위해 교사가 자문자답하거나 보충 발화를 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교사는 학생의 댓글 반응을 선별하여 인용하고 이에 대해 유도, 평가 발화를 이어나갔다. 이와 같은 교사의 학생 반응 연속 인용전략은 보다 많은 학생 반응 사례를 제시하여 전체 수업의 지식을 공동으로 구성해 나가려는 시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온라인 수업에서는 비선형적 특성 상 대면 수업에서보다 학생의 요청이나 질문이 교사의 발화보다 먼저 나오거나 교사가 학생-학생간 소통을 촉진하려는 시도도 나타났다. 본고는 온라인 수업의 실태 파악에 초점을 두었지만 추후 온라인 수업 상황에 적합한 학생 반응 발화 인용 전략의 효과 및 적절성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VID-19 outbreak has made online classes essential.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d 15 EBS Synchronous online Korean elementary classes conducted nationwide for 4 week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real-time online broadcasting ...

      The COVID-19 outbreak has made online classes essential.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d 15 EBS Synchronous online Korean elementary classes conducted nationwide for 4 week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real-time online broadcasting classes. Teachers tried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students by quoting the responses of learners once a minute.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to form a sense of teaching reality in online classes, as it is difficult to consistently maintain learning motivations or goals. There were many utterances to ㅁ make a relationship with students in terms of instruction design and practice to foster a sense of teacher presence. Students also tried to mak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teachers tried to reflect these interactions as a public domain. In terms of facilitating discourse and direct teaching, he teacher answered one’s question to substitute the delayed learner’s response time. Besides, the teacher selected and cited the responses of students’ comments and continued to prompt and evaluate them. This listing of student response citations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construct common knowledge of the entire class by presenting more examples of respon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온라인 수업 담화의 특성
      • 3. 온라인 수업 담화의 교수실재감 양상 분석
      • 4. 결론 및 시사점
      • 〈국문요약〉
      • 1. 서론
      • 2. 온라인 수업 담화의 특성
      • 3. 온라인 수업 담화의 교수실재감 양상 분석
      • 4.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현, "초등 예비 교사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화법학회 (25) : 41-73, 2014

      2 이창덕,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 즐거운학교 2019

      3 주영주,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175-187, 2010

      4 이상수,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0 (20): 63-88, 2004

      5 김지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연구소 11 (11): 29-56, 2010

      6 김재봉, "국어수업의 반영적 재진술 발화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5) : 5-24, 2011

      7 서영진, "국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피드백 발화 유형 분석" 국어교육학회 52 (52): 97-133, 2017

      8 이창덕, "국어 수업대화에서 교사 피드백 방식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6) : 173-206, 2018

      9 고은현,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 실재감 측정도구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0 Harasim, L., "Web-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Englewood Cliffs 1997

      1 김승현, "초등 예비 교사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화법학회 (25) : 41-73, 2014

      2 이창덕,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 즐거운학교 2019

      3 주영주,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175-187, 2010

      4 이상수,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0 (20): 63-88, 2004

      5 김지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연구소 11 (11): 29-56, 2010

      6 김재봉, "국어수업의 반영적 재진술 발화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5) : 5-24, 2011

      7 서영진, "국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피드백 발화 유형 분석" 국어교육학회 52 (52): 97-133, 2017

      8 이창덕, "국어 수업대화에서 교사 피드백 방식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6) : 173-206, 2018

      9 고은현,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 실재감 측정도구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0 Harasim, L., "Web-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Englewood Cliffs 1997

      11 Anderson, T, "The theory and practice of online learning" Athabasca University Press 45-74, 2008

      12 Sherry, L., "The nature and purpose of online discourse : a brief synthesis of current research as related to the WEB project" 7 (7): 19-51, 2000

      13 Garrison, D. R., "The handbook of distance education" Erlbaum 77-88, 2007

      14 Means, B., "Learning Online : What Research Tells Us About Whether, When, And How" Routledge 2014

      15 Hillman, D. C. A., "Learner-interface interaction in distance education : An extension of contemporary models and strategies for practitioners" 8 (8): 30-42, 1994

      16 Berge, Z., "Interaction in post-secondary web-based learning" 5-11, 1999

      17 Swan, K.,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 13-45, 2003

      18 Moore, M. G., "Editorial : "Three types of interaction" 3 (3): 1-6, 1989

      19 Garrison, D.,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d environment :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 2 : 87-105, 2000

      20 Angeli, C., "Communication in a Web-based conferencing system : The quality of computer mediated interactions" 34 : 31-43, 2003

      21 Anderson, T.,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ing context" 5 : 1-17, 2001

      22 Anderson, T.,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e Environment" 5 (5): 1-17, 2001

      23 Alozie, N. M., "An analysis of the supports and constraints for scientific discussion in high school project-based science" 94 (94): 395-42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