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imulation Based Program on Nursing Students’ Decision Making Ability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254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의 역량 향상을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은 보건의료를 이끌 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의 역량 향상을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은 보건의료를 이끌 미래의 간호리더로서 환자안전관리의 원칙과 개념을 적용하는데 지식과 술기를 갖추어야 하며, 환자의 상황변화, 문제발생, 안전에 대한 문제를 탐색하고 대처하기 위한 대안을 설계, 선택하는 의사결정 능력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전문직관, 간호윤리 등의 가치를 올바르게 정립하여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의료사고의 근본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의사소통문제는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에 관한 교육요구도에서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이는 환자안전관리를 위해 의사소통 교육이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하며, 이에 의사결정모형을 토대로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적용할 교육방법으로 강의, 위험예지훈련, 시뮬레이션을 선정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은 Simon (1947)의 의사결정모형을 토대로 ‘위험예지훈련’과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개발되었으며, 그 적용 효과를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및 의사결정능력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는 유사실험연구로 비 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다.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은 ADDIE 모형을 근거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2021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환자안전관리에 관한 교육요구도 조사, 문헌고찰, 프로그램 설계를 통한 학습성과 및 교육목표 도출, 교육주제, 내용 구성, 프로그램 세부 내용 구성, 평가 도구 선정, 위험예지훈련을 위한 만화 제작,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전문가 자문을 시행하였고, 개발단계에서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2회차 교육으로 4시간씩 2회, 총 8시간 제공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 및 자료수집을 위한 실행, 평가 단계는 2022년 6월부터 8월까지 사전조사, 처치, 사후조사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 모집은 K대학교 교내 학생 휴게실 게시판에 공지하여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 27명, 대조군 27명으로 총 54명의 자료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결정능력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방법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로 제시하였고, 동질성 검정은 2-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점수의 정규성 분포 검정은 Kolmogorov-Smirnov test로 분석하였으며, 동질성 검정은 Mann-Whitney’s U 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조사에 대한 변화 비교와 실험군의 시점 간 변화는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Wilcoxon signed rank 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과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시점과 집단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2=0.10, p=.750).

      2. ‘실험군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은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2=18.70, p<.001).

      3.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시점과 집단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22.57, p<.001).

      4. ‘실험군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는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47.74, p<.001).

      5.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시점과 집단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F=1.16, p=.287).

      6. ‘실험군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11.77, p<.001).

      7.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결정능력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시점과 집단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9.32, p=.004).

      8. ‘실험군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결정능력은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17.70, p<.001).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 교육에 있어 환자안전관리의 중요성과 추후 환자안전관리 역량을 갖춘 간호사 양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반영하여 환자안전사고의 주요 해결방안인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Simon (1947)의 의사결정모형을 간호학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교육적, 실무적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은 교육 효과성 측면에서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프로그램의 적용 후 효과 지속성 측면에서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본 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환자안전사고의 주제를 반영하여 입체적 교육방법에 대한 활발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erify a simulation based program on nursing students' decision making ability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students, as leaders of health care in the future, should be equipped with knowledge and skills in appl...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erify a simulation based program on nursing students' decision making ability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students, as leaders of health care in the future, should be equipped with knowledge and skills in applying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it is very important for nursing students to have the decision making ability to intelligence, design and choice alternatives to cope with changes in patients' situations, problems of patient safe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decisions by correctly establishing values such as knowledg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ttitude to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ethics. The highest frequency cause of medical errors is communications, according to root cause analysis, which is the highest ranked in the demand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educat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refore, communicatio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The program of this study consisted of lectures, risk perception training, and simulation for communication education to patient safety by applying Simon's decision making model (1947).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before and after study at University,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21 to June 2022. A total of 54 nursing students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knowledge, attitude,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decision making ability regard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were measur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 28.0 program. It was analyzed by 2-test, Fisher's exact test, Kolmogorov-Smirnov test, Mann-Whitney's U test, independent t-test,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Wilcoxon signed rank test, repeated measure ANOVA,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 a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and group interaction (2=0.10, p=.750).

      2. The hypothesis that ‘the knowledge scores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over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pported (2=18.70, p<.001).

      3.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ignificantly higher attitud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and group interaction (F=22.57, p<.001).

      4. The hypothesis that ‘the attitude scores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over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pported (F=47.74, p<.001).

      5.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ignificantly higher communication self-efficacy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and group interaction (F=1.16, p=.287).

      6. The hypothesis that ‘the communication self-efficacy scores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over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pported (F=11.77, p<.001).

      7.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ignificantly higher decision making ability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and group interaction (F=9.32, p=.004).


      8. The hypothesis that ‘the decision making ability scores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over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pported (F=17.70, p<.001).

      It was confirmed that the simulation-based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program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rogram of this study repeatedly to secure its effectiveness and to conduct additional follow-up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연구의 가설
      • 4. 용어의 정의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연구의 가설
      • 4. 용어의 정의
      • Ⅱ. 문헌고찰
      • 1.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
      • 2.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 3.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
      • 4.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 5.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결정능력
      • Ⅲ. 연구방법
      • 1. 이론적 기틀
      • 2.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 개발
      • 3.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 효과
      • Ⅳ. 연구결과
      • 1.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 개발
      • 2.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 효과
      • Ⅴ. 논의
      • 1.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 개발
      • 2.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 효과
      • Ⅵ. 결론 및 제언
      • 1. 결론
      • 2. 제언
      • 참 고 문 헌
      • ABSTRACT
      • 부 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