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Mild Cognitive Impairment 노인군의 점화효과 특성 = The Priming Effect of the Old Age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14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이 연구에서는 K-MMSE에서 25점 이하를 받은 50대 이상 노인들을 MCI(Mild Cognitive Impairment) 군으로 보고 이들의 인지 기능 특성을 점화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점화...

      연구목적 :
      이 연구에서는 K-MMSE에서 25점 이하를 받은 50대 이상 노인들을 MCI(Mild Cognitive Impairment) 군으로 보고 이들의 인지 기능 특성을 점화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점화 효과가 MCI 노인군에서 있어서도 유지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인지 기능의 손상 정도에 따라 점화 효과가 유의미하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K-NAME 점수 25점 이하의 노인 96명으 대상으로 ADAS-Cog와 일종의 간접 기억 검사 도구인 지각적 파악 과제를 제작하여 점화 효과를 측정하여 인지 기능의 퇴행이 시작된 고연령군이 나타내는 암묵 기억 능력 특성을 알아보았다. 점화효과는 컴퓨터 상에 사전 노출된 자극과 그렇지 않은 자극을 순간 노출시켜 미리 노출된 자극에 대해 반응 시간이 줄어들고 정확 반응이 증가하는 정도로써 측정하였다. 이 때 지능이나 연령, 학력 수준과 같은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한국판 웩슬러 지능 검사의 <어휘>, <토막> 소검사를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관한 면접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 과정에서는 먼저, 연구에서 측정된 점화효과의 특성을 알아보기 점화 효과 측정치의 기술 통계치를 구하였으며 다른 측정 변인들과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측정된 점화효과가 인지 기능의 퇴행 수준에 비례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ADAS-Cog 및 나이, 교육 연한 및 지능 수준을 독립변인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먼저 기술 통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 참여한 피보험자들의 경우 점화효과에 의해 미리 노출된 자극을 평균 3.6개 더 정확히 파악하였으며 평균 59ms 더 빠르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 집단에서도 점화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확 파악 반응 점수에 따른 점화효과는 전반적인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K-MMSE 및 ADAS-Cog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 속도로 측정한 점화효과의 경우에는 나이와는 정적인 상관이, KWIS의 <어휘> 소검사 점수와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점화 효과 측정치를 종속 변인으로 ADAS-Cog와 KWIS의 어휘 및 코막 소검사로 측정한 지능 수준, 나이와 교육 연한과 같은 인구 통계학적 변인을 독립 변인으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정화간응 점수로 측정한 점화 효과의 경우 상관 분석 결과에서와 같이 ADAS-Cog 변인만이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 속도로 측정한 점화 효과의 경우 나이의 효과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는 경미한 인지 기능의 손상이 진행되고 있는 고연령군의 경우에는 외현 기억 능력은 손상이 시작되지만 점화효과로 측정된 암묵 기억이 전반적으로는 유지되다가 인지 기능의 퇴행이 진행됨에 따라 노출된 자극을 더 정확히 파악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점화 효과에 의해 인출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을 말해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especially priming effect, of above 50 years old age group who had less than 25 points in K-MMSE were investigated. Methods : In this study, an implicit memory test measuring priming effect w...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especially priming effect, of above 50 years old age group who had less than 25 points in K-MMSE were investigated.
      Methods : In this study, an implicit memory test measuring priming effect was made and administered ti old age people who had less than 25 points in k-MMSe in screening session. To control the effect of age, educational level and intelligence, demograohic variables were measured, and the subjects of KWIS, vocabulary and block design were administer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wo priming measures and correlational analysis between variables were done. To test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ing on priming effec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Results :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priming score obtained from correct identification respon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MMSE and ADAS-Cog. And priming score obtained from mean reaction tim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vocabulary substest of KWIS.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from correct identification response, whereas age has significant effect on priming score obtained from mean reaction time.
      Conclusions : The results revealed that as cognitive deterioration progresses priming effect which identify primed stimulus correctly diminish, and as one grow older within age 50 to 70, priming effect which identifies primed stimulus quickly increa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