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항목의 변화 연구 -초급 수준의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earning Items of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 i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Focused on elementary level’s postpositinal particl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changes of the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 in learning items i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by comparing the number, and method of suggestion and explanation of elementary level’s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included in two types of Korean textbook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number of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included in the latest textbooks have decreased owing to the simplification of learning items; relatedly, these newer textbooks suggest one or few parts of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or suggest a postpositinal particle that has its own meaning and function by priority. In addition, postpositional particles that native Japanese learners can learn through the knowledge of Japanese postpositional particles are seldom explained in detail, forcing learners to self-learn the character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to become bigger. However, explanations for grammatic error prevention have increased and diversified.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changes of the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 in learning items i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by comparing the number, and method of suggestion and explanation of elementary level’s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included in two...

      This study explores changes of the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 in learning items i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by comparing the number, and method of suggestion and explanation of elementary level’s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included in two types of Korean textbook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number of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included in the latest textbooks have decreased owing to the simplification of learning items; relatedly, these newer textbooks suggest one or few parts of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or suggest a postpositinal particle that has its own meaning and function by priority. In addition, postpositional particles that native Japanese learners can learn through the knowledge of Japanese postpositional particles are seldom explained in detail, forcing learners to self-learn the character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to become bigger. However, explanations for grammatic error prevention have increased and diversif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에 채택 수가 가장 많은 한국어 교재와 2000년대 초반에 채택 수가 가장 많았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초급 수준의 조사를 중심으로 항목 수, 제시 및 설명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일본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항목의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비교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시 방법과 관련하여 첫째, 조사 항목 수가 평균 20개에서 18개로 2개 줄어들었으며, 특히 ‘하고’, ‘께서’, ‘에게서’, ‘한테서’의 제시 여부와 크게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하나의 조사에 두 가지 이상 의미·기능이 존재할 때 다른 조사와 의미·기능이 중복 제시되지 않도록 조사마다 의미·기능을 뚜렷이 구분하여 제시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특히 ‘(으)로’와 ‘에’가 방향의 의미·기능을 공유하는데 해당 의미·기능으로 ‘에’만 제시되는 양상에 뚜렷이 보였다.
      다음으로 설명 방법과 관련하여 첫째, 문법 기능보다 의미가 중요한 보조사를 중심으로 조사의 품사를 밝히지 않고 하나의 표현으로 제시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본인 학습자가 모어인 일본어 조사의 지식을 통해 비교적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조사를 중심으로 설명을 대폭 생략하여 조사 학습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사 항목에 대한 설명의 간소화와 반대로 일본인 학습자가 범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류에 대한 설명이 상세하고 다양해졌음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최근에 채택 수가 가장 많은 한국어 교재와 2000년대 초반에 채택 수가 가장 많았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초급 수준의 조사를 중심으로 항목 수, 제시 및 설명 방법을 비교 분석하...

      이 연구는 최근에 채택 수가 가장 많은 한국어 교재와 2000년대 초반에 채택 수가 가장 많았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초급 수준의 조사를 중심으로 항목 수, 제시 및 설명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일본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항목의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비교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시 방법과 관련하여 첫째, 조사 항목 수가 평균 20개에서 18개로 2개 줄어들었으며, 특히 ‘하고’, ‘께서’, ‘에게서’, ‘한테서’의 제시 여부와 크게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하나의 조사에 두 가지 이상 의미·기능이 존재할 때 다른 조사와 의미·기능이 중복 제시되지 않도록 조사마다 의미·기능을 뚜렷이 구분하여 제시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특히 ‘(으)로’와 ‘에’가 방향의 의미·기능을 공유하는데 해당 의미·기능으로 ‘에’만 제시되는 양상에 뚜렷이 보였다.
      다음으로 설명 방법과 관련하여 첫째, 문법 기능보다 의미가 중요한 보조사를 중심으로 조사의 품사를 밝히지 않고 하나의 표현으로 제시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본인 학습자가 모어인 일본어 조사의 지식을 통해 비교적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조사를 중심으로 설명을 대폭 생략하여 조사 학습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사 항목에 대한 설명의 간소화와 반대로 일본인 학습자가 범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류에 대한 설명이 상세하고 다양해졌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세가와유키코 ; 이수영, "한일 한국어 교재의 문법 실러버스 비교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247-278, 2002

      2 김선효,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실태에 관한 소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53-74, 2007

      3 오대환, "일본에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6 : 140-164, 2007

      4 안경화 ; 양명희,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의’의" 이중언어학회 (29) : 195-223, 2005

      5 양명희, "일본어권 고급 학습자의 오류" 한국어의미학회 15 : 329-352, 2004

      6 오고시 나오키, "일본 대학의 한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과정" 325-330, 2015

      7 오고시 나오키, "일본 대학에 있어서의 한국어 교육의 변화 -교과서의문법 항목의 변화에 주목하여-" 303-311, 2016

      8 김중섭, "국제 통용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국립국어원 2017

      9 李昌圭, "韓国語初級" 白帝社 2006

      10 李潤玉, "韓国語の世界へ入門編 ~コツコツ学び·カジュアルに話そう~" 朝日出版社 2012

      1 하세가와유키코 ; 이수영, "한일 한국어 교재의 문법 실러버스 비교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247-278, 2002

      2 김선효,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실태에 관한 소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53-74, 2007

      3 오대환, "일본에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6 : 140-164, 2007

      4 안경화 ; 양명희,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의’의" 이중언어학회 (29) : 195-223, 2005

      5 양명희, "일본어권 고급 학습자의 오류" 한국어의미학회 15 : 329-352, 2004

      6 오고시 나오키, "일본 대학의 한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과정" 325-330, 2015

      7 오고시 나오키, "일본 대학에 있어서의 한국어 교육의 변화 -교과서의문법 항목의 변화에 주목하여-" 303-311, 2016

      8 김중섭, "국제 통용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국립국어원 2017

      9 李昌圭, "韓国語初級" 白帝社 2006

      10 李潤玉, "韓国語の世界へ入門編 ~コツコツ学び·カジュアルに話そう~" 朝日出版社 2012

      11 金順玉, "最新チャレンジ!韓国語" 白水社 2014

      12 高島淑郎, "書いて覚える初級朝鮮語" 白水社 2002

      13 안경화, "日本語圈 한국어 학습자의 言語間 轉移 誤謬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471-492, 2004

      14 国際フォーラム, "日本の大学における韓国朝鮮語教育 - 大学等と高等学校の現状と課題 -" 財団法人国際フォーラム 2005

      15 長谷川由起子, "日本における韓国語教育実情調査最終報告書" 朝鮮語教育学会 韓国語教育実情調査分科会 2021

      16 永原歩, "日本における韓国語のテキストについて" 34 : 95-133, 2011

      17 金東漢, "改訂版 韓国語レッスンⅠ" スリーエーネットワーク 2003

      18 金京子, "改訂版 パランセ韓国語初級" 朝日出版社 2013

      19 木内明, "基礎から学ぶ韓国語講座 初級" 国書刊行会 2013

      20 長谷川由起子, "コミュニケ―ション韓国語 聞いて話そうⅠ" 白帝社 2012

      21 長谷川由起子, "コミュニケ―ション韓国語 会話編Ⅰ" 白帝社 2006

      22 生越直樹, "ことばの架け橋" 白帝社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