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 시티의 CPS(Cyber-Physical System)개념을 적용한 스마트 커뮤니티 센터 계획을 위한 기초 연구 = A Fundamental Study on the planning of Smart Community Center applying CPS(Cyber-physical System) Concept of the Smart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2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onstruction of deteriorated community centers is being conducted based on localcommunities for reinforcing the vitality of city and local communities due to the heighteneddesire of citizens for pleasant and smart modern urban life. However, such reconstruction focuseson the physical expansion of existing community centers and the paradigm to pursue smart cityin global era is not reflected. Therefore, a smart community center where the CPS environmentsreflecting smart urban life is established to enable active communication in a space combiningthe physical space and virtual space is suggested for community in this study. It is judged thatthis will reinforce the capability of the local community as the core facility in the city andenable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community and governance.
      In this study, a change in existing community centers, as well as the concept of a desired smartcity and CPS, are analyzed and examined. And in order to redefine a basic study for planning anew form of a smart community center in the near future, the cyber characteristics and physical(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mong the concept of CPS are redefined and a predictable casescenario is suggested through images and a technical configuration diagram.
      번역하기

      The reconstruction of deteriorated community centers is being conducted based on localcommunities for reinforcing the vitality of city and local communities due to the heighteneddesire of citizens for pleasant and smart modern urban life. However, suc...

      The reconstruction of deteriorated community centers is being conducted based on localcommunities for reinforcing the vitality of city and local communities due to the heighteneddesire of citizens for pleasant and smart modern urban life. However, such reconstruction focuseson the physical expansion of existing community centers and the paradigm to pursue smart cityin global era is not reflected. Therefore, a smart community center where the CPS environmentsreflecting smart urban life is established to enable active communication in a space combiningthe physical space and virtual space is suggested for community in this study. It is judged thatthis will reinforce the capability of the local community as the core facility in the city andenable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community and governance.
      In this study, a change in existing community centers, as well as the concept of a desired smartcity and CPS, are analyzed and examined. And in order to redefine a basic study for planning anew form of a smart community center in the near future, the cyber characteristics and physical(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mong the concept of CPS are redefined and a predictable casescenario is suggested through images and a technical configuration dia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의 쾌적하고 지능적인 도시 생활 및 지역 사회의 도시 활력 및 지역 커뮤니티 증진을 위하여, 노후화된 커뮤니티 센터를 중심으로 재건축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커뮤니티 센터 개발은 물리적으로 확장하는데 그치고, 수평적, 상호작용적인 커뮤니티를 추구하는 스마트 도시로의 발전하는 세계적 시대의 패러다임은 반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사회의 이상적 커뮤니티를 위하여 커뮤니티 개발에대한 개념 고찰 및 현재 커뮤니티 센터 현황 및 발전 양상을 파악한 후, 스마트 커뮤니티가 이상적 커뮤니티임을 인지하여 이를 위한 공간과 방법론에 대한 근거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커뮤니티 센터에 관한 방향성 고찰을 위하여 지역민들에게 커뮤니티 공간 및 스마트 기술에 대한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부족, 커뮤니티를 위한 소통 공간 필요, 스마트 기술에 대한선호, 스마트 커뮤니티에 대한 긍정 등의 결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시티의 핵심 개념인CPS(Cyber-Physical System)를 적용하여 물리공간에 스마트 기술이 융복합된 스마트한 환경을 지닌 스마트커뮤니티 센터를 제안하고, 이 곳에서 발생하는 변화들을 건축적(Physical), 서비스(Cyber)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변화 특성을 고찰한 뒤 예상 시나리오 및 기술 실행도를 통해 검토함으로서 본 연구의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근 미래에는 스마트 커뮤니티 센터가 지역 사회의 거점 시설로서 지역민들의 수평적, 상호작용적, 스마트 커뮤니티를 구축함으로서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 역량을 강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현대의 쾌적하고 지능적인 도시 생활 및 지역 사회의 도시 활력 및 지역 커뮤니티 증진을 위하여, 노후화된 커뮤니티 센터를 중심으로 재건축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현대의 쾌적하고 지능적인 도시 생활 및 지역 사회의 도시 활력 및 지역 커뮤니티 증진을 위하여, 노후화된 커뮤니티 센터를 중심으로 재건축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커뮤니티 센터 개발은 물리적으로 확장하는데 그치고, 수평적, 상호작용적인 커뮤니티를 추구하는 스마트 도시로의 발전하는 세계적 시대의 패러다임은 반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사회의 이상적 커뮤니티를 위하여 커뮤니티 개발에대한 개념 고찰 및 현재 커뮤니티 센터 현황 및 발전 양상을 파악한 후, 스마트 커뮤니티가 이상적 커뮤니티임을 인지하여 이를 위한 공간과 방법론에 대한 근거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커뮤니티 센터에 관한 방향성 고찰을 위하여 지역민들에게 커뮤니티 공간 및 스마트 기술에 대한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부족, 커뮤니티를 위한 소통 공간 필요, 스마트 기술에 대한선호, 스마트 커뮤니티에 대한 긍정 등의 결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시티의 핵심 개념인CPS(Cyber-Physical System)를 적용하여 물리공간에 스마트 기술이 융복합된 스마트한 환경을 지닌 스마트커뮤니티 센터를 제안하고, 이 곳에서 발생하는 변화들을 건축적(Physical), 서비스(Cyber)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변화 특성을 고찰한 뒤 예상 시나리오 및 기술 실행도를 통해 검토함으로서 본 연구의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근 미래에는 스마트 커뮤니티 센터가 지역 사회의 거점 시설로서 지역민들의 수평적, 상호작용적, 스마트 커뮤니티를 구축함으로서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 역량을 강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승연, "푸코(Foucault)의 ‘문제화’ 방식으로 스마트시티를 사유하기" 한국공간환경학회 27 (27): 15-38, 2017

      2 권영섭, "커뮤니티 웰빙(행복)과 주민참여:서울과 로스앤젤레스의 지역사회개발 비교 분야" 국토연구원 2013

      3 정휘영, "지역 주민센터에 나타나는 건축요소의 시대별 흐름과 변화에 관한 연구" 2017

      4 전무연, "주민센터의 ‘기능전환’에 따른 공간구성과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 (19): 176-185, 2010

      5 기획재정부, "정부, 노후청사 복합개발 선도사업지 선정.발표"

      6 최재문, "정보 커뮤니케이션 기술 융복합화로 스마트서비스 프레임워크 연구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4 (14): 31-46, 2015

      7 이정찬, "일본 NEDO, 세계 각국서 스마트 커뮤니티 구축 전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8 조명은, "아파트 거주자들을 위한 스마트 커뮤니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59-169, 2012

      9 장혜정, "스마트시티의 주민참여형 안전도시 계획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고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9 (9): 478-495, 2016

      10 박상필, "스마트시티와 도시재생의 공진화(Coevolution)"

      1 도승연, "푸코(Foucault)의 ‘문제화’ 방식으로 스마트시티를 사유하기" 한국공간환경학회 27 (27): 15-38, 2017

      2 권영섭, "커뮤니티 웰빙(행복)과 주민참여:서울과 로스앤젤레스의 지역사회개발 비교 분야" 국토연구원 2013

      3 정휘영, "지역 주민센터에 나타나는 건축요소의 시대별 흐름과 변화에 관한 연구" 2017

      4 전무연, "주민센터의 ‘기능전환’에 따른 공간구성과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 (19): 176-185, 2010

      5 기획재정부, "정부, 노후청사 복합개발 선도사업지 선정.발표"

      6 최재문, "정보 커뮤니케이션 기술 융복합화로 스마트서비스 프레임워크 연구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4 (14): 31-46, 2015

      7 이정찬, "일본 NEDO, 세계 각국서 스마트 커뮤니티 구축 전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8 조명은, "아파트 거주자들을 위한 스마트 커뮤니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59-169, 2012

      9 장혜정, "스마트시티의 주민참여형 안전도시 계획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고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9 (9): 478-495, 2016

      10 박상필, "스마트시티와 도시재생의 공진화(Coevolution)"

      11 이재용, "스마트도시 해외동향 및 시사점" 국토연구원 2015

      12 이봉수, "스마트 모바일 지원을 위한 HTML5 기반의 사례관리 실시간 커뮤니티 시스템 개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289-294, 2012

      13 은용순, "사이버물리시스템 연구 동향" 2017

      14 이건학, "동통폐합에 따른 동주민센터의 입지 변화 분석과 최적 입지 모델링 -공간적 효율성 및 형평성 접근-" 대한지리학회 45 (45): 521-539, 2010

      15 최봉문, "‘스마트’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943-949, 2011

      16 "http://www.korea.kr/celebrity/contributePolicyView.do?newsId=148821085"

      17 "doopedia"

      18 M Hoch, "Mechanisms of development" Elsevier 1996

      19 E Innes, DE Booher, "Consensus building as role playing and bricolage : Toward a theory of collaborative planning" Taylor & Francis 1996

      20 Louis A. Ploch, "Community development in action : A case study" 1976

      21 Mel Ravitz, "Community development : Challenge of the eighties" 1982

      22 S. Saegert J, "Community Development Reader" Routledge 2008

      23 정휘영, "A Study on the Development Aspect by Year through Smart City Trend Cases"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