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울릉도 민속식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8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s(50 μg/mL) from 31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on nitric oxide(NO)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264.7 cells. Actinidia arguta(leaf, twig), Hovenia dulcis(leaf),Camellia japonica(leaf, twi...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s(50 μg/mL) from 31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on nitric oxide(NO)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264.7 cells. Actinidia arguta(leaf, twig), Hovenia dulcis(leaf),Camellia japonica(leaf, twig),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leaf, twig) and Fallopia sachalinensis(root) showed significant NO inhibition activity(42%~88% NO inhibition rate). Of them, we selected 3 samples(A. arguta, H. dulcis and C. japonica) showing more than 50% NO inhibition activity and little effect on cell viability. We found that the extracts suppressed the NO and prostaglandin E2(PGE2) produced by LPS-activated RAW264.7 cells in dose-dependent man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울릉도 민속식물 31분류군 49점 추출물을 대상으로 최종농도 50 μg/mL로 LPS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의 NO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래(Actinidiaarguta) 잎·가지, 헛개나무(Hovenia dulci...

      울릉도 민속식물 31분류군 49점 추출물을 대상으로 최종농도 50 μg/mL로 LPS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의 NO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래(Actinidiaarguta) 잎·가지, 헛개나무(Hovenia dulcis) 잎,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잎·가지, 말오줌나무(Sambucussieboldiana var. pendula) 잎·가지, 왕호장근(Fallopiasachalinensis) 뿌리 순으로 항염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 중에서 다래 잎·가지, 헛개나무 잎, 동백나무 잎·가지 추출물을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최종농도가 10, 20, 40, 50 μg/mL로 처리하여 NO 생성량과 세포생존율, PGE2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래 잎·가지(IC50=29.21 μg/mL), 헛개나무 잎(IC50=27.34μg/mL), 동백나무 잎·가지(IC50=45.68 μg/mL) 모두 NO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또한PGE2 측정결과 다래 잎·가지(IC50=21.06 μg/mL), 헛개나무 잎(IC50=33.47 μg/mL), 동백나무 잎·가지(IC50=43.90μg/mL)에서도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다래 잎·가지, 헛개나무 잎, 동백나무 잎·가지의 추출물은 염증 유발의 중요 인자인 NO 및 PGE2 생성을 저해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이들 소재에 대한 염증억제 유효성분 규명 및 그 작용기전을 추가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만성 염증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희,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371-1376, 2007

      2 박선희,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벤조피렌 유발 간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69-573, 2009

      3 한영숙,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잎 추출물이 식품유해 미생물에 미치는 항균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7 (37): 113-121, 2005

      4 이숙영, "동백나무 잎과 꽃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3 (13): 93-100, 2005

      5 김진희, "동백나무 잎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267-274, 2010

      6 임현우, "국내산 다래나무 수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생성 억제 활성" 한국생약학회 36 (36): 245-251, 2005

      7 정규영, "경상북도 내륙지역의 민속식물 Ι" 한국자원식물학회 23 (23): 465-479, 2010

      8 임형탁, "경상남도 지역의 민속식물 이용현황"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419-429, 2011

      9 정혜란, "경기남부 내륙지역의 민속식물자원" 한국자원식물학회 25 (25): 523-542, 2012

      10 김경아, "강원도 내륙 북부지역의 민속식물" 한국자원식물학회 25 (25): 48-62, 2012

      1 박선희,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371-1376, 2007

      2 박선희,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벤조피렌 유발 간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69-573, 2009

      3 한영숙,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잎 추출물이 식품유해 미생물에 미치는 항균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7 (37): 113-121, 2005

      4 이숙영, "동백나무 잎과 꽃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3 (13): 93-100, 2005

      5 김진희, "동백나무 잎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267-274, 2010

      6 임현우, "국내산 다래나무 수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생성 억제 활성" 한국생약학회 36 (36): 245-251, 2005

      7 정규영, "경상북도 내륙지역의 민속식물 Ι" 한국자원식물학회 23 (23): 465-479, 2010

      8 임형탁, "경상남도 지역의 민속식물 이용현황"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419-429, 2011

      9 정혜란, "경기남부 내륙지역의 민속식물자원" 한국자원식물학회 25 (25): 523-542, 2012

      10 김경아, "강원도 내륙 북부지역의 민속식물" 한국자원식물학회 25 (25): 48-62, 2012

      11 정규영, "강원도 남부지역의 민속식물"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379-394, 2011

      12 Han, L., "Tannins of theaceous plants V. camelliatannins F, G and H, three new tannins from Camellia japonica L" 42 : 1399-1409, 1994

      13 Kim, J. Y., "Suppressive effects of the kahweol and catestol on cycloocygenase-2 expression in macrophages" 569 : 321-326, 2004

      14 Kwon S. K, "SAR of COX-2 inhibitors" 9 : 69-78, 2001

      15 Onodera, K., "Okicamelliaside, an extraordinarily potent anti-degranulation glucosid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Camellia japonica" 74 : 2532-2534, 2010

      16 Lowenstein, C. J., "Nitric oxide, a novel biologic messenger" 70 : 705-707, 1992

      17 Nathan, C., "Nitric oxide synthases : roles, tolls and controls" 78 : 915-918, 1994

      18 Moncada, S., "Nitric oxide :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pharmacology" 43 : 109-142, 1991

      19 Sarkar, D., "Molecular mechanisms of aging-associated inflammation" 236 : 13-23, 2006

      20 Fierro, I. M., "Mechanisms in antiinflammation and resolution : the role of lipoxins and aspirintriggered lipoxins" 34 : 555-566, 2001

      21 Cho, J. Y.,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3-methoxy-4-hydroxybenzoic acid and 3-methoxy-4-hydroxycinnamic acid from hot water extracts of Hovenia dulcis Thunb, and confirmation of their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32 : 1403-1408, 2000

      22 Ryu, J. H.,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s. Phytother" 17 : 485-489, 2003

      23 Choi, K., "Folk Plants in Korean Peninsula Ⅵ.: Gyeongnam & Gyeongbuk Provinces" Korea National Arbortum 1-424, 2010

      24 Higuchi, M.,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dependent mechanism act as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144 : 1425-1431, 1990

      25 McDaniel, M. L., "Cytokines and nitric oxide in islet inflammation and diabetes" 211 : 24-32, 1996

      26 Chou, T., "Chitosan inhibits PGE2 formation and COX-2 induction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RAW 264-7 macrophages" 308 : 403-407, 2003

      27 Jeong, C. H., "Chemical components in leaf fruit stalk of Hovenia dulcis Thunb" 6 : 469-471, 1999

      28 Hatano, T., "Camelliatannin D, a new inhibitor of bone resorption, from Camellia japonica" 43 : 2033-2035, 1995

      29 Onodera, K., "Camellianoside, a novel antioxidant glycoside from the leaves of Camellia japonica" 70 : 1995-1998, 2006

      30 Sunyer, T., "Ca2+ or phorbol ester but not inflammatory stimuli elevat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messenger ribonucleic acid and nitric oxide(NO)release in avian osteoclasts : autocrine NO mediates Ca2+-inhibited bone resorption" 138 (138): 2148-2162, 1997

      31 Park, J. 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hort chain fatty acids in IFN-gamma-stimulated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s : involvement of NF-KappaB and ERK signaling pathways" 7 : 70-77, 2007

      32 Seungbeom Kim,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mellia japonica oil" 생화학분자생물학회 45 (45): 177-182, 2012

      33 원흥석, "Antagonistic Effects of Flumazenil on Tiletamine-Zolazepam Induced Anesthesia in Dogs" 한국임상수의학회 27 (27): 336-342, 2010

      34 Thao, N. T. P., "28-Nor-oleanane-type triterpene saponins from Camellia japonica and their inhibitory activity on LPS-induced NO production in macrophage RAW264-7 cells" 20 : 7435-7439,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7 1.15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