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권교육의 의미 재탐색 - 최근 제기되는 의문을 중심으로 - =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Focusing on Recent Questions and Misunderstand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1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논의되어 온 인권육의 의미를 정리하고, 최근 인권교육과 관련하여 새롭게 제기되는 의문에 대하여 논의하면서 인권교육의 의미를 탐색하여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논의되어 온 인권육의 의미를 정리하고, 최근 인권교육과 관련하여 새롭게 제기되는 의문에 대하여 논의하면서 인권교육의 의미를 탐색하여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권교육이 갖는 특징을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인권교육은 인간으로서 존엄한 삶을 위해 필요한 권리로 보아야 한다. 둘째, 인권교육은 학습자의 삶과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내용 구성을 통해 사회 변화를 고려하는 학습경험이어야 한다. 셋째, 인권교육에서는 사회적 약자의 관점과 경험을 강조한다. 넷째, 인권교육에서는 사회구조적 관점을 채택해야 한다. 다섯째, 인권교육에서는 인권친화적 환경을 강조한다. 이러한 특징에 더하여 최근 인권교육 논의에서 인권교육의 실천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제시되는 세 가지 의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면서 인권교육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세가지 의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교육은 친사회적이지 않지 않은가? 둘째, 인권교육에서 책임도 함께 가르쳐야 하지 않는가? 셋째, 인권 관련 업무 담당자 대상 인권교육에서는 그 담당자의 권리를 왜 강조하지 않는가? 인권이 갖는 특성으로서 개인과 국가기관 간의 관계에서의 인권 현상의 발생, 사회에서 인권이 갖는 긍정적 가치, 인권교육에서 상호호혜성 등을 고려하여 이러한 세 가지 의문이 인권과 인권교육에 대한 오해에 기반한 것임을 논의하였다. 더불어 향후 인권교육의 의미 정립을 위해서는 인권교육 실천의 장이 더 확장되고 그 과정에서 인권교육의 의미 탐색이 누적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to review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by discussing newly raised questions related to human rights education. First, the c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to review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by discussing newly raised questions related to human rights education. First,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education are summariz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1)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viewed as a human right necessary for a dignified life. 2)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a learning experience that considers social change through the composition of contents based on learner`s life and experience. 3) human rights education emphasizes the perspective and experience of the socially weak and alienated. 4) in the human rights education, the social structure view must be satisfied. 5) human rights education emphasizes human rights friendly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ese features, researcher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education centered on newly emerging question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related. 1) is human rights education not pro-social? 2) should not we do responsibility education along with human rights education? 3) why do not we emphasize the rights of the person in charge of human rights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such as the occurrence of human rights phenomen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tate institutions, the positive values of human rights in society, and mutual reciprocal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se questions are misunderstandings about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to become clearer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field of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further expanded and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more in the proc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현정, "현대 시민교육의 목표로서 인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 정진성, "한국인의 인권인식과 태도, 2005~2011년" 한국이론사회학회 (24) : 401-445, 2014

      3 설동훈, "한국사회의 외국인 이주노동자 ― 새로운 ‘소수자 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 수선사학회 (34) : 53-77, 2009

      4 설규주,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27-56, 2005

      5 배경내, "학생 인권, 열망에서 법적 현실로 : 학생 인권보장 입법의 중요성" 1 (1): 87-112, 2012

      6 국가인권위원회, "학교 인권교육 길라잡이"

      7 유병열, "학교 인권교육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9) : 239-264, 2013

      8 김영신, "친인권적 교실 문화가 청소년의 인권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9 구정화, "초등 사회과 ‘인권’ 내용 단원의 교육과정 시기별 변화 분석" 한국법교육학회 11 (11): 1-34, 2016

      10 구정화, "일상의 인권경험이 초등학생의 인권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25, 2016

      1 송현정, "현대 시민교육의 목표로서 인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 정진성, "한국인의 인권인식과 태도, 2005~2011년" 한국이론사회학회 (24) : 401-445, 2014

      3 설동훈, "한국사회의 외국인 이주노동자 ― 새로운 ‘소수자 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 수선사학회 (34) : 53-77, 2009

      4 설규주,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27-56, 2005

      5 배경내, "학생 인권, 열망에서 법적 현실로 : 학생 인권보장 입법의 중요성" 1 (1): 87-112, 2012

      6 국가인권위원회, "학교 인권교육 길라잡이"

      7 유병열, "학교 인권교육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9) : 239-264, 2013

      8 김영신, "친인권적 교실 문화가 청소년의 인권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9 구정화, "초등 사회과 ‘인권’ 내용 단원의 교육과정 시기별 변화 분석" 한국법교육학회 11 (11): 1-34, 2016

      10 구정화, "일상의 인권경험이 초등학생의 인권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25, 2016

      11 정상우, "인천지역 중고등학생의 청소년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6 (6): 147-169, 2013

      12 김현경, "인권친화적 학교문화가 청소년의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29-52, 2015

      13 김용자, "인권의 의미와 발전 과정" 2 (2): 5-19, 1998

      14 박용조, "인권의 보편성이 사회과 인권교육에 주는 시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79-98, 2006

      15 배경내, "인권은 교문 앞에서 멈춘다" 우리교육 2005

      16 이재호, "인권교육의 재정립과 실천방향 모색"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333-362, 2008

      17 이성훈, "인권교육의 국제적 동향과 과제" 1 (1): 215-252, 2010

      18 나달숙, "인권교육의 국내외적 현황과 지향 과제" 대한교육법학회 23 (23): 85-121, 2011

      19 이종태, "인권교육의 개념 정립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5

      20 이승미,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인지·정서요인에 관한 실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21 구정화, "인권교육 연구학교 운영에 나타난 ‘인권교육’의 실천적 특성과 한계"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1-16, 2010

      22 강명숙, "인권교육 연구 동향- 최근 5년의 국내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5 (5): 1-14, 2012

      23 Freeman, M., "인권, 이론과 실천" 아르케 2005

      24 전혜림, "인간과 시민, 자유와 평등 사이 - 아렌트와 발리바르의 인권과 시민권의 정치 -" 철학연구소 47 : 123-150, 2016

      25 구정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고려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12, 2009

      26 문용린, "유, 초, 중, 고 인권교육과정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3

      27 하경수, "우리 사회의 인권담론과 어린이 인권교육"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89-100, 2013

      28 김원태, "아름다운 사회참여-청소년을 위한 사회참여 안내서" 돌베개 2004

      29 구정화, "아동과 권리" 창지사 2007

      30 국가인권위원회, "세계 인권교육 프로그램" 국가인권위원회 2011

      31 박길자, "사회과 인권교육 내용요소의 통합적인 구성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1-24, 2008

      32 이동희, "동아시아적 컨텍스트와 인권 그리고 보편 윤리"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5) : 63-94, 2003

      33 최형찬, "도덕과와 사회과의 인권교육 분석 -공통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7) : 107-132, 2015

      34 설한, "다원주의 사회의 민주적 시민권: 권리와 의무" 21세기정치학회 25 (25): 87-110, 2015

      35 구정화, "교사를 위한 학교인권교육의 이해" 국가인권위원회 2004

      36 조병륜, 김평섭, 박현조, 안정규, "人權의 哲學的 根源과 發展"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0 : 255-276, 2004

      37 박상환, "‘동아시아적 가치’의 문화철학적 이해" 한국동서철학회 (76) : 483-504, 2015

      38 Lister, I., "The challenge of human rights education" Cassel 245-255, 1991

      39 Hudson, A., "Teachers, human rights and diversity: Educating citizens in multi-cultural societies" Trentham 115-131, 2005

      40 Magendzo, A., "Pedagogy of human rights education : Latin american perspective" 16 (16): 137-143, 2005

      41 Evans, T., "Human rights fifty years on: A reappraisal"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23, 1998

      42 Brabeck, M. M., "Human rights as a moral issue : Lessons for moral educators from human rights work" 29 (29): 167-182, 2000

      43 Woodiwiss, A., "Human rights" Routledge 2005

      44 Starkey, H., "HRE in Europe. 유럽・미국의 인권 교육 실천과 한국 인권교육의 방향" 1-32, 2006

      45 Wade, R. C., "Conceptual chang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 a case study of fourth graders'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22 (22): 74-95, 1994

      46 Osler, A., "Children's rights and citizenship : Some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schools" 6 (6): 313-33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