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술 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정서능력,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94812
2020
Korean
학술저널
309-316(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 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정서능력,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본 연구는 미술 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정서능력,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30명(실험 15명, 비교 15명)을 선정하였고, 연구대상의 월령은 79.26개월이었다. 실험집단에는 미술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미술 요소 중심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휴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5주간 총 20회의 실험처치를 실시하였다. 미술 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체계는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미술 치료적 접근에 기반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정서능력, 공간지각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제2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평가 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 · 초 연계교육을 중심으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본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 실습에 대한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