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흉부 X-ray 기반 딥 러닝 손실함수 성능 비교·분석 = Comparison and analysis of chest X-ray-based deep learning loss function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8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appli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o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y and the construction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environments. In the medical field, deep learning learning such as cancer, COVID-19, and bone age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medical images such as X-Ray, MRI, and PET and clinical data. In addition, ICT medical fusion technology is being researched by applying smart medical devices, IoT devices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Among these techniques, medical image-based deep learning learning requires accurate finding of medical image biomarkers, minimal loss rate and high accuracy.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Cross-Entropy function used in the image classification algorithm of the loss function that derives the loss rate in the chest X-Ray image-based deep learning learning process.
      번역하기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appli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o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y and the construction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environments. In the medical field, deep learning learning such as cancer, COVID-19,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appli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o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y and the construction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environments. In the medical field, deep learning learning such as cancer, COVID-19, and bone age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medical images such as X-Ray, MRI, and PET and clinical data. In addition, ICT medical fusion technology is being researched by applying smart medical devices, IoT devices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Among these techniques, medical image-based deep learning learning requires accurate finding of medical image biomarkers, minimal loss rate and high accuracy.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Cross-Entropy function used in the image classification algorithm of the loss function that derives the loss rate in the chest X-Ray image-based deep learning learning proc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의 발전과 고성능의 컴퓨팅 환경 구축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다. 의료분야에서는 X-Ray, MRI, PET 등의 의료 영상 및 임상 자료를 이용하여 암, COVID-19, 골 연령 측정 등의 딥 러닝 학습이 진행되었다. 또한 스마트 의료기기, IoT 디바이스와 딥 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ICT 의료 융합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 의료 영상 기반 딥 러닝 학습은 의료 영상의 바이오마커를 정확히 찾아내고, 최소한의 손실률과 높은 정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흉부 X-Ray 이미지 기반 딥 러닝 학습 과정에서 손실률을 도출하는 손실함수 중 영상분류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Cross-Entropy 함수들의 성능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4차 산업의 발전과 고성능의 컴퓨팅 환경 구축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다. 의료분야에서는 X-Ray, MRI, PET 등의 의료 영상 및 임상 자료를 이용하여 암, COVID-19, 골 연...

      4차 산업의 발전과 고성능의 컴퓨팅 환경 구축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다. 의료분야에서는 X-Ray, MRI, PET 등의 의료 영상 및 임상 자료를 이용하여 암, COVID-19, 골 연령 측정 등의 딥 러닝 학습이 진행되었다. 또한 스마트 의료기기, IoT 디바이스와 딥 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ICT 의료 융합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 의료 영상 기반 딥 러닝 학습은 의료 영상의 바이오마커를 정확히 찾아내고, 최소한의 손실률과 높은 정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흉부 X-Ray 이미지 기반 딥 러닝 학습 과정에서 손실률을 도출하는 손실함수 중 영상분류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Cross-Entropy 함수들의 성능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일, "혼합적 속성관계에 기반한 의료영상 분류"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2033-2039, 2020

      2 윤주영, "치매 진단을 위한 MRI 바이오마커 패치 영상 기반 3차원 심층합성곱신경망 분류 기술"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3 (23): 940-952, 2020

      3 손주형, "치매 진단을 위한 Faster R-CNN 활용 MRI 바이오마커 자동 검출 연동 분류 기술 개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2 (22): 1168-1177, 2019

      4 조영복, "초음파 영상에서 질병 추출을 위한Keras 기반의 CNN 모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9 (19): 1975-1980, 2018

      5 강신태, "두 가지 유형의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파킨슨병의 진단과 신경섬유 경로의 특징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3 (3): 421-428, 2014

      6 A. Belaid, "α Scale spaces filters for phase based edge detection in ultrasound images" 1247-1250, 2014

      7 S. Kyle, "What are Biomarkers?" 5 (5): 463-466, 2011

      8 M. Felsberg, "The monogenic signal" 49 (49): 3136-3144, 2001

      9 G. Chandrika, "Study on Software Reliability and Reliability Testing"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1 (1): 7-20, 2015

      10 I. Hacihaliloglu, "Localization of bone surfaces from ultra sound data using local phase information and signal transmission maps" 1-11, 2017

      1 김형일, "혼합적 속성관계에 기반한 의료영상 분류"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2033-2039, 2020

      2 윤주영, "치매 진단을 위한 MRI 바이오마커 패치 영상 기반 3차원 심층합성곱신경망 분류 기술"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3 (23): 940-952, 2020

      3 손주형, "치매 진단을 위한 Faster R-CNN 활용 MRI 바이오마커 자동 검출 연동 분류 기술 개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2 (22): 1168-1177, 2019

      4 조영복, "초음파 영상에서 질병 추출을 위한Keras 기반의 CNN 모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9 (19): 1975-1980, 2018

      5 강신태, "두 가지 유형의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파킨슨병의 진단과 신경섬유 경로의 특징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3 (3): 421-428, 2014

      6 A. Belaid, "α Scale spaces filters for phase based edge detection in ultrasound images" 1247-1250, 2014

      7 S. Kyle, "What are Biomarkers?" 5 (5): 463-466, 2011

      8 M. Felsberg, "The monogenic signal" 49 (49): 3136-3144, 2001

      9 G. Chandrika, "Study on Software Reliability and Reliability Testing"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1 (1): 7-20, 2015

      10 I. Hacihaliloglu, "Localization of bone surfaces from ultra sound data using local phase information and signal transmission maps" 1-11, 2017

      11 G. Meng, "Efficient Image Dehazing with Boundary Constraint and Contextual Regularization" 1247-1250, 2013

      12 X. Qi, "Chest X-ray image phase features for improved diagnosis of COVID-19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16 : 197-206, 2021

      13 J. K. Aronso, "Biomarkers and surrogate endpoints" 59 (59): 491-494, 2005

      14 S. H. Le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rends Based on Medical Big Data" 37 (37): 85-91, 2020

      15 Han Moi Sim, "Analysis of an Axial T2 Weighted Brain MRI"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3 (3): 45-55,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 한국정보통신학회
      영문명 : 미등록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2 0.4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