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용석,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09
2 주호민, "신과 함께", 네이버 웹툰, -2012 연재, 2010
3 허난희, "「오늘이」", 키움, 2008
4 한림화, 한림화, "「자청비」", 『꽃 한송이 숨겨놓고』, 한길사, 1993
5 현용준, "제주도 신화", 서문문고, 1996
6 전승일, 전승일, "「하늘나무」", 미메시스 스튜디오, 2003
7 이석범, 이석범, "「할로영산」", 황금알, 2005
8 주호민, "「신과 함께」", 네이버 웹툰, -2012 연재, 2010
9 문선이, "마두의 말씨앗", 사계절, 2007
10 이대범, 조은하, 이대범, 조은하, "『스토리텔링』", 북스힐, 2006
11 한혜원, 한혜원, "『호모나랜스』", 살림, 2010
12 고은주, 고은주, "「신들의 황혼」", 문이당, 2005
13 현용준, "『제주도 신화』", 서문당, 서문문고, 1996
14 김 문, "판타지 제주신화", 지식의 숲, 2011
15 표정옥, "현대문화와 신화", 연세대학교출판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6
16 김병관, 이하림, 민숙영, 김병관, 이하림, 민숙영, "「제주구슬할망」", 네이버 웹툰, -2010 연재, 2009
17 김달림, 김달림, "「돌아온 자청비」", 다음 만화속세상, -2007 연재, 2006
18 문선이, "「마두의 말씨앗」", 사계절, 2007
19 현길언, "「자청비 자청비」", 계수나무, 계수나무, 2005
20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 2014
21 이청준, "「신화를 삼킨 섬」", 열림원, 열림원, 2003
22 박재형, "「아버지를 찾아서」", 푸른책들, 네버엔딩스토리, 2011
23 김문, "「판타지 제주신화」", 지식의 숲, 2011
24 이재홍, "『게임 스토리텔링』", 생각의 나무, 2011
25 이재홍, "『게임 스토리텔링』", 생각의나무, 생각의 나무, 2011
26 표정옥, "『현대문화와 신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6
27 현용준,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1992
28 주호민, "「신과 함께 - 신화편」", 애니북스, 애니북스, 2012
29 주호민, "「신과 함께 - 이승편」", 애니북스, 애니북스, 2011
30 주호민, "「신과 함께 - 저승편」", 애니북스, 2010
31 김윤아, "『신화, 영화와 만나다』", 아모르문디, 아모르문디, 2015
32 현용준,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집문당, 1992
33 구모니카, 홍종열, 조소연, 임준철, 유제상, 박치완, 김평수, 김정희, 김성수, 김기홍, 구모니카, 홍종열, 조소연, 임준철, 유제상, 박치완, 김평수, 김정희, 김성수, 김기홍, "『문화콘텐츠 입문사전』", 꿈꿀권리, 2013
34 정재서,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35 임금복, "『한국신화 새롭게 쓰기』", 모시는사람들, 모시는 사람들, 2012
36 장주근, "한국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집문당, 1995
37 현용준, "『제주도 무속 자료 사전」", 각, 각, 2007
38 김경란, "「니벨룽겐소재의 영화화」", 한국독일언어문학회, 『독일언어문학』 제57집, 독일언어문학연구회, 2012
39 진성기, 진성기,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2002
40 김의숙, "『한국신화와 스토리텔링』", 북스힐, 북스힐, 2008
41 이홍숙, 이홍숙, "「현대소설의 신화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42 송재찬, 송재찬, "「제주도 할머니를 찾습니다」", 대교출판, 2004
43 김헌선,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연구』", 보고사, 보고사, 2006
44 장주근, "『한국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집문당, 집문당, 1995
45 이인화, 이인화, "『한국형 디지털 스토리텔링』", 살림, 2011
46 최홍근, "「신화적 소재의 영화적 변용」",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 제19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3
47 최민성, "신화의 구조와 스토리텔링 모델", 『국제어문』제42집, 국제어문학회, 2008
48 김맹하, 장공남, 김맹하, 장공남, "「스토리텔링의 계보학적 고찰」", 『인문학연구』제12집,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49 문무병, "『제주도 본향당 신앙과 본풀이」", 민속원, 민속원, 2008
50 최민성, "「신화의 구조와 스토리텔링 모델」",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국제어문』제42집, 국제어문학회, 2008
51 박기수, 박기수, "「신화의 문화콘텐츠화 전환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20권,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6
52 한교경, "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 전략과 분석", 북코리아, 2013
53 한교경, "『문화원형의스토리텔링전략과분석』", 북코리아, 북코리아, 2013
54 김영순, "스토리텔링의 사회문화적 확장과 변용", 북코리아, 2011
55 오세정, "신화, 판타지, 팩션의 서사론과 가능세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7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0
56 강명주, "<이공본풀이 >의 현대적 콘텐츠화 樣相硏究",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57 박기수,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전략』", 논형, 2015
58 김영순, "「스토리텔링의 사회문화적 확장과 변용」", 북코리아, 2011
59 한혜원, "『아이의 마음을 훔치는 스토리텔링 전략』", 알에이치코리아, 알에치코리아, 2012
60 오세정, "「신화, 판타지, 팩션의 서사론과 가능세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7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0
61 강소전, "<천지왕본풀이 >의 의례적 기능과 신화적 의미", 『탐라문화』 제32호, 탐라문화연구소, 2008
62 이동은, "신화적 사고의 부활과 디지털 게임스토리텔링",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27호, 인문콘텐츠학회, 2012
63 임정식(Im, Jeong Sig), "스포츠영화의 영웅 신화 서사구조 수용과 의미",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34호, 인문콘텐츠학회, 2014
64 강명주, "『<이공본풀이>의 현대적 콘텐츠화 樣相 硏究』",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65 김진철 ( Jin Chul Kim ), "제주신화 <차사본풀이>의 문화콘텐츠 변용 양상", 대한수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한국콘텐츠학회, 2015
66 김보람, 김보람, "(플라워리), 「이탄국의 자청비」, 카카오페이지", -2015 연재, 2014
67 강소전, "「<천지왕본풀이>의 의례적 기능과 신화적 의미」",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탐라문화』 제32호, 탐라문화연구소, 2008
68 이혜원, 이혜원, "「디즈니애니메이션의 영웅서사와 환상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69 김유진, "원천강 본풀이의 신화적 성격과 현대적 변용 양상",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제6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0
70 이상대, "「발해건국 신화를 이용한 게임컨텐츠 요소 개발」",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대학원, 2008
71 이상대, "「발해건국 신화를 이용한 게임컨텐츠 요소 개발」",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대학원, 2008
72 송희영, "「바그너의 오페라와 북유럽신화의 게임콘텐츠화」", 한국카프카학회, 『카프카연구』 제27집, 한국카프카학회, 2012
73 김유진, "「원천강본풀이의 신화적 성격과 현대적 변용 양상」",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제6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0
74 송태현, "신화와 문화콘텐츠 - 제주신화 ‘자청비’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 제22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75 양지혜, 양지혜, "「게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곶자왈 세계관 설계 연구」",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76 안숭범, 최혜실, "「멜로영화 스토리텔링의 신화 구조 분석에 관한 시론」",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27호, 인문콘텐츠학회, 2012
77 한혜원, "「신화 퀘스트에 기반한 디지털 게임 스토리텔링 연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탐라문화』34호, 탐라문화연구소, 2009
78 김용범, 신현욱, "「영웅서사시「베오울프」의 문화콘텐츠화 과정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한국문예창작』 제7권 제1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08
79 이수자, "「무속의례(巫俗儀禮)의 꽃장식, 그 기원적 성격과 의미」", 『한국무속학』14집, 한국무속학회, 2007
80 송태현, "「신화와 문화콘텐츠-제주신화 ‘자청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제22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81 박은경, 박은경, "「소설+영화+문화원형 : 문화원형 콘텐츠, 변주의 즐거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82 김정호, 홍은아, "애니메이션 <천년여우>와 <파프리카>에 나타난 신화 이미지",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vol.8 no.2 통권21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83 이수자, "「무속의례(巫俗儀禮)의 꽃 장식, 그 기원적 성격과 의미」", 『한국무속학』14집, 한국무속학회, 2007
84 방지영, 방지영, "「「김수로왕 신화」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85 이종호, "서사무가 <원텬강본푸리 >와 애니메이션 <오늘이 > 비교 연구", 『온지논총』 제27호, 온지학회, 2011
86 Abbott, H., Abbott, H., "Porter, 『서사학 강의』, 우찬제․이소연․박상익․공성수 역", 문학과지성사, 2010
87 김수정(Soo Jeoung Kim), "「12영웅여정단계 내러티브 분류에 기초한 애니메이션 분석」",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 제11권 제3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88 이수자, "제주도 무속을 통해서 본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 집문당, 집문당, 2004
89 이종호, "「서사무가 <원텬강본푸리>와 애니메이션 <오늘이> 비교 연구」", 온지학회, 『온지논총』 제27호, 온지학회, 2011
90 강미선, "웹툰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웹툰 「신과 함께」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제5호, 카톨릭대학교 콘텐츠산업과 문화정책연구소, 2011
91 蔡榮姬(Chae Young Hee), 黃京淑(Whang Kyung Suk), "「바리공주 무가의 애니메이션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가능성 모색」",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연구』제11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92 이재숙, 이재숙, "「제주 당신(堂神)본풀이 백주또신화의 공동창작 연극스토리텔링」",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93 김진철, "「웹툰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 『신과 함께』<신화편>을 중심으로 -」", 『영주어문』 제31집, 영주어문학회, 2015
94 임병희, "「바그너의 오페라와 문화콘텐츠 : 『니벨룽의 반지』와 애니메이션」", 한국독어독문학회, 『독일문학』 제52권 1호, 한국독어독문학회, 2011
95 조미라,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2007
96 이민용, "「신화와 문화콘텐츠 : 게르만 신화와 영화 <지옥의 묵시록>을 중심으로」", 한국헤세학회, 『헤세연구』제18집, 한국헤세학회, 2007
97 이채영, 이채영, "「원형서사의 스토리텔링 전환 전략 연구 - 춘향 원형서사를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98 오세정, "「뮈토스와 스토리텔링 : 한국 신화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서사학적 접근」", 한국기호학회, 『기호학연구』제34집, 한국기호학회, 2013
99 이동은, "「신화적 사고의 부활과 디지털 게임스토리텔링」, 『인문콘텐츠』 제27호", 인문콘텐츠학회, 2012
100 김동윤, 김동윤, "「현대소설의 제주설화 수용 양상 연구 - 자청비설화의 수용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31호, 한국비평문학회, 2009
101 김성호, "「단군신화의 재해석을 통한 상호문화주의 기반 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102 양지욱, 양지욱,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적용 연구 : 「삼국유사」소재 스토리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4
103 김성호, "「단군신화의 재해석을 통한 상호문화주의 기반 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 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104 안종혁, 안종혁,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신화적 기능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중심으로」", 『디지털영상학술지』Vol.1 No.1,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04
105 김정호, 홍은아, "「애니메이션 <천년여우>와 <파프리카>에 나타난 신화 이미지」,『애니메이션연구』vol.8 no.2 통권21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106 조미라,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2007
107 강미선, "「웹툰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웹툰 「신과 함께」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제5호", 카톨릭대학교 콘텐츠산업과 문화정책연구소, 2011
108 신현욱, 신현욱, "「글로벌문화콘텐츠 창작소재로서 영웅서사시의 가치에 관한 연구 :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109 송희영, "「<하록사가>와 <마법망치의 전설 토르> :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북유럽신화와 바그너의 <니벨룽겐의 반지>」", 한국브레히트학회,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28집, 한국브레이트학회, 2013
110 최원오(Choi Won-Oh), "한국 무속신화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점검 - 스토리 창작을 위한 신화소 추출과 분류 및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한국문학논총』 제46집, 한국문학회, 2007
111 최원오, "한국 무속신화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점검 - 스토리 창작을 위한 신화소 추출과 분류 및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제46집, 한국문학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