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 제주신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Myth Contents : Focused on Jeju Myth Cont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0949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 문화콘텐츠학 , 2016. 2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98.2095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ii, 20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윤준성
        참고문헌: p. 193-201

      • UCI식별코드

        I804:11044-000002220869

      • 소장기관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myth is considered as a cultural archetype that can make competitive stories in the storytelling industry. This study focused on Jeju, called ‘Island of Myth’ because of so many myths, and examined the storytelling strategy in terms of contents values of Jeju myth.
      First of all, in the second chapter, it examined the storytelling and the myth which are recently being reviewed. A storytelling of myth contents is a process not to follow but to change inner and outer elements of the myth for sympathizing the contemporaries. Therefore, the myth has been reproduced by being combined with various genres. Nowadays, the myth composes an imaginary world in cultural contents, or there are many variations of heroic narratives, and it reveals traditional original ceremonies or new myth contents have been created instantly by adopting archetypes symbolically.
      This study arranged the Vladimir Prop's study which analyzed the form of Russian fairy tale and Joseph Campbell's study that arrang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world's myth as an heroic travel. Prop classified Russian magical folk tales in 31 ways, and it is meaningful because it inferred various basic forms of the folktale. Campbell divided the heroic adventure into three as separation or start, ordeal and success of entrance, and reunion of return and society. Then, each stage is arranged as processes that heroes experience. Based on Campbell's study, Christoper Vogler arranged heroic adventures into 12 ways and established a creation theory of movie scenarios. This kind of heroic travel narrative structure is the universal story structure and it is used in the creation and analysis of real cultural contents. Thus, the heroic travel narrative structure in the storytelling of myth conten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heory for the analyses.
      In the third chapter, this study examined storytelling aspect of the Jeju myth contents. The Jeju myth can be divided into three ways of General God Bonpuri, Dangshinbonpuri, and Josangshinbonpuri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god and the acceptation range of the myth. Among them, Normal God Bonpuri provokes an attention because it reflects the world creation, birth, afterlife, heroic narrative, and fatal elements, revealing distinctive views of the world. Also, the Jeju myth shows features of sacredness, orality, fantasy, and rite. The sacredness feature makes the variation of characters, the oral feature has expanded probabilities of an accident, the feature of fantasy offers special experiences, and rite features produce catharses through emotional sympathies.
      Nowadays, there are many fairy tales, novels, comics/webtoons and animations based on the Jeju myth. In the case of fairy tales, most works show the limitation of reappearance of the myth, and in the case of novels, there are many works with fantasy not with artistic values. The webtoon accomplished a great deal with contemporary elements by using motifs of the myth. The animation is not animated, but there are many attempts to visualize the imaginary myth world.
      In the fourth chapter, this study examined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the Jeju myth contents. First, the Normal God Bonpuri is arranged as 34 ways for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Jeju myth by using Prop's analysis. The basic style of the Jeju myth is applied in Vogler's heroic travel narrative structure, and arranged as ①circumstance of lack ②search for investigator ③latent treat ④appearance of character ⑤consciousness to test and lack ⑥acceptance of adventure ⑦entry to the new world ⑧ordeal and meeting with adviser ⑨fight ⑩return ⑪solution of problem ⑫compensation and deifica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division of 'the world of lack - the world of consciousness - the world of confrontation - the world of comfort' to expand heroic travel narrative structure of the Jeju myth onto the story composition strategy. The world of lack is the presentation of problem stage and interpretation about an imperfect world. The world of consciousness is the stage that the hero appears to solve the problem. The world of confrontation is the stage that shows fights between hero and opposition power. The world of comfort is the stage that brings order recovery to solve the lack.
      Likewise, <With the God> with motifs of Ganglim, animation <Ghost Messenger> and novel <Way to the Home> show that the storytelling strategy analysis of the Jeju myth contents is possible.
      There are four proposals for storytelling of the Jeju myth contents.
      First, in the storytelling of Jeju myth, the reappearance is necessary to get repetitive fusion with contemporary elements, or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to have a new bond of sympathy.
      Second, a derivation of narration is essential to protect and apply traditional elements of Jeju myth maintaining and conserving the archetype.
      Third, the change of conflict with reinterpretation of Jeju myth characters can be used by interesting storytelling strategy which can make suspenseful conflict relations.
      Fourth, there must be a strategy to build an integrated world view which has an interrelation with each myth for applying to various characters and complicated events of Jeju myth.
      Jeju myth is an archetype which has infinite possibility. I hope many competitive contents with Jeju myth are coming out due to many studies which could use practical creations based on this study.
      번역하기

      Recently, the myth is considered as a cultural archetype that can make competitive stories in the storytelling industry. This study focused on Jeju, called ‘Island of Myth’ because of so many myths, and examined the storytelling strategy in terms ...

      Recently, the myth is considered as a cultural archetype that can make competitive stories in the storytelling industry. This study focused on Jeju, called ‘Island of Myth’ because of so many myths, and examined the storytelling strategy in terms of contents values of Jeju myth.
      First of all, in the second chapter, it examined the storytelling and the myth which are recently being reviewed. A storytelling of myth contents is a process not to follow but to change inner and outer elements of the myth for sympathizing the contemporaries. Therefore, the myth has been reproduced by being combined with various genres. Nowadays, the myth composes an imaginary world in cultural contents, or there are many variations of heroic narratives, and it reveals traditional original ceremonies or new myth contents have been created instantly by adopting archetypes symbolically.
      This study arranged the Vladimir Prop's study which analyzed the form of Russian fairy tale and Joseph Campbell's study that arrang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world's myth as an heroic travel. Prop classified Russian magical folk tales in 31 ways, and it is meaningful because it inferred various basic forms of the folktale. Campbell divided the heroic adventure into three as separation or start, ordeal and success of entrance, and reunion of return and society. Then, each stage is arranged as processes that heroes experience. Based on Campbell's study, Christoper Vogler arranged heroic adventures into 12 ways and established a creation theory of movie scenarios. This kind of heroic travel narrative structure is the universal story structure and it is used in the creation and analysis of real cultural contents. Thus, the heroic travel narrative structure in the storytelling of myth conten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heory for the analyses.
      In the third chapter, this study examined storytelling aspect of the Jeju myth contents. The Jeju myth can be divided into three ways of General God Bonpuri, Dangshinbonpuri, and Josangshinbonpuri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god and the acceptation range of the myth. Among them, Normal God Bonpuri provokes an attention because it reflects the world creation, birth, afterlife, heroic narrative, and fatal elements, revealing distinctive views of the world. Also, the Jeju myth shows features of sacredness, orality, fantasy, and rite. The sacredness feature makes the variation of characters, the oral feature has expanded probabilities of an accident, the feature of fantasy offers special experiences, and rite features produce catharses through emotional sympathies.
      Nowadays, there are many fairy tales, novels, comics/webtoons and animations based on the Jeju myth. In the case of fairy tales, most works show the limitation of reappearance of the myth, and in the case of novels, there are many works with fantasy not with artistic values. The webtoon accomplished a great deal with contemporary elements by using motifs of the myth. The animation is not animated, but there are many attempts to visualize the imaginary myth world.
      In the fourth chapter, this study examined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the Jeju myth contents. First, the Normal God Bonpuri is arranged as 34 ways for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Jeju myth by using Prop's analysis. The basic style of the Jeju myth is applied in Vogler's heroic travel narrative structure, and arranged as ①circumstance of lack ②search for investigator ③latent treat ④appearance of character ⑤consciousness to test and lack ⑥acceptance of adventure ⑦entry to the new world ⑧ordeal and meeting with adviser ⑨fight ⑩return ⑪solution of problem ⑫compensation and deifica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division of 'the world of lack - the world of consciousness - the world of confrontation - the world of comfort' to expand heroic travel narrative structure of the Jeju myth onto the story composition strategy. The world of lack is the presentation of problem stage and interpretation about an imperfect world. The world of consciousness is the stage that the hero appears to solve the problem. The world of confrontation is the stage that shows fights between hero and opposition power. The world of comfort is the stage that brings order recovery to solve the lack.
      Likewise, <With the God> with motifs of Ganglim, animation <Ghost Messenger> and novel <Way to the Home> show that the storytelling strategy analysis of the Jeju myth contents is possible.
      There are four proposals for storytelling of the Jeju myth contents.
      First, in the storytelling of Jeju myth, the reappearance is necessary to get repetitive fusion with contemporary elements, or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to have a new bond of sympathy.
      Second, a derivation of narration is essential to protect and apply traditional elements of Jeju myth maintaining and conserving the archetype.
      Third, the change of conflict with reinterpretation of Jeju myth characters can be used by interesting storytelling strategy which can make suspenseful conflict relations.
      Fourth, there must be a strategy to build an integrated world view which has an interrelation with each myth for applying to various characters and complicated events of Jeju myth.
      Jeju myth is an archetype which has infinite possibility. I hope many competitive contents with Jeju myth are coming out due to many studies which could use practical creations based on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신화는 이야기산업에서 경쟁력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문화원형으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신화의 섬’으로 불릴 정도로 많은 신화가 남아있는 제주신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제주신화가 보여주는 서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스토리텔링으로 재조명되는 신화를 살펴보았다. 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은 신화를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오래전의 사고방식을 내포한 신화의 표층적, 심층적 요소들을 현 시대의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신화는 오랫동안 여러 장르와 결합하며 끊임없이 재생산되어 왔다. 오늘날 문화콘텐츠에서는 신화의 환상적 세계를 구현하거나, 영웅 서사의 다양한 변주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통적인 입사식(入社式)을 현대적으로 발현하거나, 신화적 원형을 상징적으로 수용하면서 새로운 신화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창작되고 있다.
      제주신화 콘텐츠의 분석을 위해 러시아 요정담의 형태를 분석한 블라디미르 프로프(V. Prop)의 연구와 세계 신화의 서사 구조를 영웅의 여행으로 정리한 조셉 캠벨(Joseph Campbell)의 연구를 정리하였다. 프로프는 공통적인 기능 분석을 통해 러시아 요정담의 기능을 31가지로 정리했는데, 다양한 민담의 기본 형태를 추론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캠벨은 신화에서 겪는 영웅의 모험을 ‘분리 혹은 출발’, ‘시련과 입문의 성공’, ‘회귀와 사회와의 재통합’의 세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의 영웅이 겪는 일련의 과정을 정리했다. 캠벨의 연구를 기반으로 크리스토퍼 보글러(Christoper Vogler)는 영웅의 여행을 12단계로 정리하여 영화 시나리오의 창작론으로 정립하였다. 이러한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는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인 이야기 구조이며, 실제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분석에도 자주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에서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는 유효한 분석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양상을 살펴보았다. 제주신화는 신의 성격과 신화를 받아들이는 범위에 따라 일반신본풀이와 당신(堂神)본풀이, 조상신본풀이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일반신본풀이는 세계 신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세계 창조, 생명 탄생, 사후 세계, 영웅 서사, 운명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되면서도 제주신화만의 독특한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제주신화는 신성성(神聖性), 구술성(口述性), 환상성(幻想性), 제의성(祭儀性)의 특성을 보여준다. 신성성은 인물의 다양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 구술성은 사건의 확장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 환상성은 일상적이지 않은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 제의성은 감정적인 공감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콘텐츠적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제주신화를 소재로 동화, 소설, 만화/웹툰, 애니메이션 장르의 콘텐츠들이 창작되고 있다. 동화의 경우 대부분의 작품이 신화의 재현에 그치고 있다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소설의 경우 예술성을 강조하던 경향에서 판타지를 접목한 작품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만화/웹툰의 경우 웹툰 장르에서의 성과가 두드러지는데, 신화의 모티프를 활용해 현대적 요소를 접목시키는 경향이 주를 이룬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활발하지는 않지만 환상적인 신화 세계관의 영상화가 시도되고 있었다.
      제4장에서는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살펴보았다. 먼저 일반신본풀이를 대상으로 프로프의 분석론을 활용하여 제주신화의 서사 구조를 34가지의 기능으로 정리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제주신화의 기본구조를 보글러의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를 활용하여 제주신화의 영웅의 여행 서사를 ①결핍의 상황 ②탐색자의 탐색 ③잠재된 위협 ④영웅의 등장 ⑤시험과 결핍에 대한 인식 ⑥모험의 수락 ⑦특별한 세계로 진입 ⑧시련과 조언자와의 만남 ⑨대결 ⑩귀환 ⑪난제의 해결 ⑫보상과 신격화로 정리하였다.
      또한 제주신화의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를 스토리 구성 전략으로 확장시켜 ‘결핍의 세계 - 인식의 세계 - 대립의 세계 - 안정의 세계’로 구분하였다. ‘결핍의 세계’는 불완전한 세계에 대한 해석과 문제 제시 단계이며, ‘인식의 세계’는 문제 해결을 위해 요구되는 영웅상이 등장하는 단계, ‘대립의 세계’는 영웅과 반대 세력 간의 대립 양상을 보여주는 단계, ‘안정의 세계’는 결핍을 해소한 질서 회복을 가져오는 단계이다.
      위와 같이 정리한 제주신화의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를 강림 신화를 소재로 한 웹툰 「신과 함께」, 애니메이션 「고스트 메신저」, 소설 「집으로 가는 길」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분석이 가능함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를 마무리하며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제주신화의 스토리텔링에 있어 과거의 재현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현대적 요소와의 융합 또는 현대적 해석을 통해 새롭게 공감대를 확보하려는 전략이 요구된다.
      둘째, 제주신화의 전통적인 요소에 대한 계승과 활용의 균형적인 접근을 위해 원형성의 유지를 통한 서사의 파생 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제주신화의 인물 재해석을 통한 갈등의 변화는 긴장감 있는 갈등관계를 만들어내는 흥미로운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제주신화의 다양한 인물과 복잡한 사건들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각 신화들의 연관성을 마련한 통합적인 세계관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주신화는 아직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이야기의 원형이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차후 실제 콘텐츠 창작으로 이어져 제주신화를 소재로 한 경쟁력 있는 콘텐츠가 나타나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최근 들어 신화는 이야기산업에서 경쟁력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문화원형으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신화의 섬’으로 불릴 정도로 많은 신화가 남아있는 제주신화...

      최근 들어 신화는 이야기산업에서 경쟁력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문화원형으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신화의 섬’으로 불릴 정도로 많은 신화가 남아있는 제주신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제주신화가 보여주는 서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스토리텔링으로 재조명되는 신화를 살펴보았다. 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은 신화를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오래전의 사고방식을 내포한 신화의 표층적, 심층적 요소들을 현 시대의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신화는 오랫동안 여러 장르와 결합하며 끊임없이 재생산되어 왔다. 오늘날 문화콘텐츠에서는 신화의 환상적 세계를 구현하거나, 영웅 서사의 다양한 변주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통적인 입사식(入社式)을 현대적으로 발현하거나, 신화적 원형을 상징적으로 수용하면서 새로운 신화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창작되고 있다.
      제주신화 콘텐츠의 분석을 위해 러시아 요정담의 형태를 분석한 블라디미르 프로프(V. Prop)의 연구와 세계 신화의 서사 구조를 영웅의 여행으로 정리한 조셉 캠벨(Joseph Campbell)의 연구를 정리하였다. 프로프는 공통적인 기능 분석을 통해 러시아 요정담의 기능을 31가지로 정리했는데, 다양한 민담의 기본 형태를 추론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캠벨은 신화에서 겪는 영웅의 모험을 ‘분리 혹은 출발’, ‘시련과 입문의 성공’, ‘회귀와 사회와의 재통합’의 세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의 영웅이 겪는 일련의 과정을 정리했다. 캠벨의 연구를 기반으로 크리스토퍼 보글러(Christoper Vogler)는 영웅의 여행을 12단계로 정리하여 영화 시나리오의 창작론으로 정립하였다. 이러한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는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인 이야기 구조이며, 실제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분석에도 자주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에서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는 유효한 분석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양상을 살펴보았다. 제주신화는 신의 성격과 신화를 받아들이는 범위에 따라 일반신본풀이와 당신(堂神)본풀이, 조상신본풀이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일반신본풀이는 세계 신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세계 창조, 생명 탄생, 사후 세계, 영웅 서사, 운명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되면서도 제주신화만의 독특한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제주신화는 신성성(神聖性), 구술성(口述性), 환상성(幻想性), 제의성(祭儀性)의 특성을 보여준다. 신성성은 인물의 다양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 구술성은 사건의 확장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 환상성은 일상적이지 않은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 제의성은 감정적인 공감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콘텐츠적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제주신화를 소재로 동화, 소설, 만화/웹툰, 애니메이션 장르의 콘텐츠들이 창작되고 있다. 동화의 경우 대부분의 작품이 신화의 재현에 그치고 있다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소설의 경우 예술성을 강조하던 경향에서 판타지를 접목한 작품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만화/웹툰의 경우 웹툰 장르에서의 성과가 두드러지는데, 신화의 모티프를 활용해 현대적 요소를 접목시키는 경향이 주를 이룬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활발하지는 않지만 환상적인 신화 세계관의 영상화가 시도되고 있었다.
      제4장에서는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살펴보았다. 먼저 일반신본풀이를 대상으로 프로프의 분석론을 활용하여 제주신화의 서사 구조를 34가지의 기능으로 정리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제주신화의 기본구조를 보글러의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를 활용하여 제주신화의 영웅의 여행 서사를 ①결핍의 상황 ②탐색자의 탐색 ③잠재된 위협 ④영웅의 등장 ⑤시험과 결핍에 대한 인식 ⑥모험의 수락 ⑦특별한 세계로 진입 ⑧시련과 조언자와의 만남 ⑨대결 ⑩귀환 ⑪난제의 해결 ⑫보상과 신격화로 정리하였다.
      또한 제주신화의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를 스토리 구성 전략으로 확장시켜 ‘결핍의 세계 - 인식의 세계 - 대립의 세계 - 안정의 세계’로 구분하였다. ‘결핍의 세계’는 불완전한 세계에 대한 해석과 문제 제시 단계이며, ‘인식의 세계’는 문제 해결을 위해 요구되는 영웅상이 등장하는 단계, ‘대립의 세계’는 영웅과 반대 세력 간의 대립 양상을 보여주는 단계, ‘안정의 세계’는 결핍을 해소한 질서 회복을 가져오는 단계이다.
      위와 같이 정리한 제주신화의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를 강림 신화를 소재로 한 웹툰 「신과 함께」, 애니메이션 「고스트 메신저」, 소설 「집으로 가는 길」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분석이 가능함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를 마무리하며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제주신화의 스토리텔링에 있어 과거의 재현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현대적 요소와의 융합 또는 현대적 해석을 통해 새롭게 공감대를 확보하려는 전략이 요구된다.
      둘째, 제주신화의 전통적인 요소에 대한 계승과 활용의 균형적인 접근을 위해 원형성의 유지를 통한 서사의 파생 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제주신화의 인물 재해석을 통한 갈등의 변화는 긴장감 있는 갈등관계를 만들어내는 흥미로운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제주신화의 다양한 인물과 복잡한 사건들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각 신화들의 연관성을 마련한 통합적인 세계관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주신화는 아직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이야기의 원형이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차후 실제 콘텐츠 창작으로 이어져 제주신화를 소재로 한 경쟁력 있는 콘텐츠가 나타나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ⅹ
      • 제1장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ⅹ
      • 제1장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9
      • 1.3 연구 범위 및 방법 15
      • 제2장 스토리텔링을 통한 신화의 재조명 19
      • 2.1 스토리텔링과 신화적 상상력 19
      • 2.1.1 스토리텔링의 속성 19
      • 2.1.2 신화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개념 27
      • 2.2 스토리텔링을 통한 신화의 변모 양상 33
      • 2.2.1 신화의 환상적 세계의 구현 33
      • 2.2.2 영웅 서사의 다양한 변주 36
      • 2.2.3 입사식의 현대적 발현 38
      • 2.2.4 신화적 원형의 상징적 수용 41
      • 2.3 신화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분석 이론 44
      • 2.3.1 블라디미르 프로프의 민담의 구조 44
      • 2.3.2 조셉 캠벨의 영웅의 여행 서사 구조 51
      • 제3장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양상 61
      • 3.1 제주신화의 현황 61
      • 3.1.1 제주신화의 종류 61
      • 3.1.2 제주신화의 콘텐츠적 의미 79
      • 3.2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현황 84
      • 3.2.1 동화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84
      • 3.2.2 소설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90
      • 3.2.3 만화/웹툰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96
      • 3.2.4 애니메이션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102
      • 제4장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107
      • 4.1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107
      • 4.1.1 제주신화의 서사 구조 108
      • 4.1.2 제주신화의 영웅의 여행 128
      • 4.1.3 제주신화 기반의 스토리 구성 전략 134
      • 4.2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적용 및 분석 138
      • 4.2.1 웹툰 「신과 함께 - 저승편」 스토리텔링 분석 138
      • 4.2.2 애니메이션 「고스트 메신저」 스토리텔링 분석 152
      • 4.2.3 소설 「집으로 가는 길」 스토리텔링 분석 163
      • 4.3 제주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제언 174
      • 4.3.1 현재성의 투영을 통한 공감대 확보 174
      • 4.3.2 원형성 유지를 통한 서사의 파생 177
      • 4.3.3 신화 인물의 재해석을 통한 갈등의 강화 180
      • 4.3.4 판타지적인 접근을 위한 통합적 세계관 구축 183
      • 제5장 결론 188
      • 참고문헌 19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용석,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09

      2 주호민, "신과 함께", 네이버 웹툰, -2012 연재, 2010

      3 허난희, "「오늘이」", 키움, 2008

      4 한림화, 한림화, "「자청비」", 『꽃 한송이 숨겨놓고』, 한길사, 1993

      5 현용준, "제주도 신화", 서문문고, 1996

      6 전승일, 전승일, "「하늘나무」", 미메시스 스튜디오, 2003

      7 이석범, 이석범, "「할로영산」", 황금알, 2005

      8 주호민, "「신과 함께」", 네이버 웹툰, -2012 연재, 2010

      9 문선이, "마두의 말씨앗", 사계절, 2007

      10 이대범, 조은하, 이대범, 조은하, "『스토리텔링』", 북스힐, 2006

      1 김용석,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09

      2 주호민, "신과 함께", 네이버 웹툰, -2012 연재, 2010

      3 허난희, "「오늘이」", 키움, 2008

      4 한림화, 한림화, "「자청비」", 『꽃 한송이 숨겨놓고』, 한길사, 1993

      5 현용준, "제주도 신화", 서문문고, 1996

      6 전승일, 전승일, "「하늘나무」", 미메시스 스튜디오, 2003

      7 이석범, 이석범, "「할로영산」", 황금알, 2005

      8 주호민, "「신과 함께」", 네이버 웹툰, -2012 연재, 2010

      9 문선이, "마두의 말씨앗", 사계절, 2007

      10 이대범, 조은하, 이대범, 조은하, "『스토리텔링』", 북스힐, 2006

      11 한혜원, 한혜원, "『호모나랜스』", 살림, 2010

      12 고은주, 고은주, "「신들의 황혼」", 문이당, 2005

      13 현용준, "『제주도 신화』", 서문당, 서문문고, 1996

      14 김 문, "판타지 제주신화", 지식의 숲, 2011

      15 표정옥, "현대문화와 신화", 연세대학교출판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6

      16 김병관, 이하림, 민숙영, 김병관, 이하림, 민숙영, "「제주구슬할망」", 네이버 웹툰, -2010 연재, 2009

      17 김달림, 김달림, "「돌아온 자청비」", 다음 만화속세상, -2007 연재, 2006

      18 문선이, "「마두의 말씨앗」", 사계절, 2007

      19 현길언, "「자청비 자청비」", 계수나무, 계수나무, 2005

      20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 2014

      21 이청준, "「신화를 삼킨 섬」", 열림원, 열림원, 2003

      22 박재형, "「아버지를 찾아서」", 푸른책들, 네버엔딩스토리, 2011

      23 김문, "「판타지 제주신화」", 지식의 숲, 2011

      24 이재홍, "『게임 스토리텔링』", 생각의 나무, 2011

      25 이재홍, "『게임 스토리텔링』", 생각의나무, 생각의 나무, 2011

      26 표정옥, "『현대문화와 신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6

      27 현용준,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1992

      28 주호민, "「신과 함께 - 신화편」", 애니북스, 애니북스, 2012

      29 주호민, "「신과 함께 - 이승편」", 애니북스, 애니북스, 2011

      30 주호민, "「신과 함께 - 저승편」", 애니북스, 2010

      31 김윤아, "『신화, 영화와 만나다』", 아모르문디, 아모르문디, 2015

      32 현용준,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집문당, 1992

      33 구모니카, 홍종열, 조소연, 임준철, 유제상, 박치완, 김평수, 김정희, 김성수, 김기홍, 구모니카, 홍종열, 조소연, 임준철, 유제상, 박치완, 김평수, 김정희, 김성수, 김기홍, "『문화콘텐츠 입문사전』", 꿈꿀권리, 2013

      34 정재서,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35 임금복, "『한국신화 새롭게 쓰기』", 모시는사람들, 모시는 사람들, 2012

      36 장주근, "한국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집문당, 1995

      37 현용준, "『제주도 무속 자료 사전」", 각, 각, 2007

      38 김경란, "「니벨룽겐소재의 영화화」", 한국독일언어문학회, 『독일언어문학』 제57집, 독일언어문학연구회, 2012

      39 진성기, 진성기,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2002

      40 김의숙, "『한국신화와 스토리텔링』", 북스힐, 북스힐, 2008

      41 이홍숙, 이홍숙, "「현대소설의 신화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42 송재찬, 송재찬, "「제주도 할머니를 찾습니다」", 대교출판, 2004

      43 김헌선,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연구』", 보고사, 보고사, 2006

      44 장주근, "『한국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집문당, 집문당, 1995

      45 이인화, 이인화, "『한국형 디지털 스토리텔링』", 살림, 2011

      46 최홍근, "「신화적 소재의 영화적 변용」",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 제19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3

      47 최민성, "신화의 구조와 스토리텔링 모델", 『국제어문』제42집, 국제어문학회, 2008

      48 김맹하, 장공남, 김맹하, 장공남, "「스토리텔링의 계보학적 고찰」", 『인문학연구』제12집,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49 문무병, "『제주도 본향당 신앙과 본풀이」", 민속원, 민속원, 2008

      50 최민성, "「신화의 구조와 스토리텔링 모델」",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국제어문』제42집, 국제어문학회, 2008

      51 박기수, 박기수, "「신화의 문화콘텐츠화 전환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20권,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6

      52 한교경, "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 전략과 분석", 북코리아, 2013

      53 한교경, "『문화원형의스토리텔링전략과분석』", 북코리아, 북코리아, 2013

      54 김영순, "스토리텔링의 사회문화적 확장과 변용", 북코리아, 2011

      55 오세정, "신화, 판타지, 팩션의 서사론과 가능세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7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0

      56 강명주, "<이공본풀이 >의 현대적 콘텐츠화 樣相硏究",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57 박기수,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전략』", 논형, 2015

      58 김영순, "「스토리텔링의 사회문화적 확장과 변용」", 북코리아, 2011

      59 한혜원, "『아이의 마음을 훔치는 스토리텔링 전략』", 알에이치코리아, 알에치코리아, 2012

      60 오세정, "「신화, 판타지, 팩션의 서사론과 가능세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7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0

      61 강소전, "<천지왕본풀이 >의 의례적 기능과 신화적 의미", 『탐라문화』 제32호, 탐라문화연구소, 2008

      62 이동은, "신화적 사고의 부활과 디지털 게임스토리텔링",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27호, 인문콘텐츠학회, 2012

      63 임정식(Im, Jeong Sig), "스포츠영화의 영웅 신화 서사구조 수용과 의미",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34호, 인문콘텐츠학회, 2014

      64 강명주, "『<이공본풀이>의 현대적 콘텐츠화 樣相 硏究』",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65 김진철 ( Jin Chul Kim ), "제주신화 <차사본풀이>의 문화콘텐츠 변용 양상", 대한수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한국콘텐츠학회, 2015

      66 김보람, 김보람, "(플라워리), 「이탄국의 자청비」, 카카오페이지", -2015 연재, 2014

      67 강소전, "「<천지왕본풀이>의 의례적 기능과 신화적 의미」",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탐라문화』 제32호, 탐라문화연구소, 2008

      68 이혜원, 이혜원, "「디즈니애니메이션의 영웅서사와 환상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69 김유진, "원천강 본풀이의 신화적 성격과 현대적 변용 양상",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제6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0

      70 이상대, "「발해건국 신화를 이용한 게임컨텐츠 요소 개발」",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대학원, 2008

      71 이상대, "「발해건국 신화를 이용한 게임컨텐츠 요소 개발」",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대학원, 2008

      72 송희영, "「바그너의 오페라와 북유럽신화의 게임콘텐츠화」", 한국카프카학회, 『카프카연구』 제27집, 한국카프카학회, 2012

      73 김유진, "「원천강본풀이의 신화적 성격과 현대적 변용 양상」",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제6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0

      74 송태현, "신화와 문화콘텐츠 - 제주신화 ‘자청비’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 제22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75 양지혜, 양지혜, "「게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곶자왈 세계관 설계 연구」",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76 안숭범, 최혜실, "「멜로영화 스토리텔링의 신화 구조 분석에 관한 시론」",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27호, 인문콘텐츠학회, 2012

      77 한혜원, "「신화 퀘스트에 기반한 디지털 게임 스토리텔링 연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탐라문화』34호, 탐라문화연구소, 2009

      78 김용범, 신현욱, "「영웅서사시「베오울프」의 문화콘텐츠화 과정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한국문예창작』 제7권 제1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08

      79 이수자, "「무속의례(巫俗儀禮)의 꽃장식, 그 기원적 성격과 의미」", 『한국무속학』14집, 한국무속학회, 2007

      80 송태현, "「신화와 문화콘텐츠-제주신화 ‘자청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제22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81 박은경, 박은경, "「소설+영화+문화원형 : 문화원형 콘텐츠, 변주의 즐거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82 김정호, 홍은아, "애니메이션 <천년여우>와 <파프리카>에 나타난 신화 이미지",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vol.8 no.2 통권21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83 이수자, "「무속의례(巫俗儀禮)의 꽃 장식, 그 기원적 성격과 의미」", 『한국무속학』14집, 한국무속학회, 2007

      84 방지영, 방지영, "「「김수로왕 신화」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85 이종호, "서사무가 <원텬강본푸리 >와 애니메이션 <오늘이 > 비교 연구", 『온지논총』 제27호, 온지학회, 2011

      86 Abbott, H., Abbott, H., "Porter, 『서사학 강의』, 우찬제․이소연․박상익․공성수 역", 문학과지성사, 2010

      87 김수정(Soo Jeoung Kim), "「12영웅여정단계 내러티브 분류에 기초한 애니메이션 분석」",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 제11권 제3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88 이수자, "제주도 무속을 통해서 본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 집문당, 집문당, 2004

      89 이종호, "「서사무가 <원텬강본푸리>와 애니메이션 <오늘이> 비교 연구」", 온지학회, 『온지논총』 제27호, 온지학회, 2011

      90 강미선, "웹툰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웹툰 「신과 함께」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제5호, 카톨릭대학교 콘텐츠산업과 문화정책연구소, 2011

      91 蔡榮姬(Chae Young Hee), 黃京淑(Whang Kyung Suk), "「바리공주 무가의 애니메이션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가능성 모색」",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연구』제11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92 이재숙, 이재숙, "「제주 당신(堂神)본풀이 백주또신화의 공동창작 연극스토리텔링」",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93 김진철, "「웹툰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 『신과 함께』<신화편>을 중심으로 -」", 『영주어문』 제31집, 영주어문학회, 2015

      94 임병희, "「바그너의 오페라와 문화콘텐츠 : 『니벨룽의 반지』와 애니메이션」", 한국독어독문학회, 『독일문학』 제52권 1호, 한국독어독문학회, 2011

      95 조미라,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2007

      96 이민용, "「신화와 문화콘텐츠 : 게르만 신화와 영화 <지옥의 묵시록>을 중심으로」", 한국헤세학회, 『헤세연구』제18집, 한국헤세학회, 2007

      97 이채영, 이채영, "「원형서사의 스토리텔링 전환 전략 연구 - 춘향 원형서사를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98 오세정, "「뮈토스와 스토리텔링 : 한국 신화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서사학적 접근」", 한국기호학회, 『기호학연구』제34집, 한국기호학회, 2013

      99 이동은, "「신화적 사고의 부활과 디지털 게임스토리텔링」, 『인문콘텐츠』 제27호", 인문콘텐츠학회, 2012

      100 김동윤, 김동윤, "「현대소설의 제주설화 수용 양상 연구 - 자청비설화의 수용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31호, 한국비평문학회, 2009

      101 김성호, "「단군신화의 재해석을 통한 상호문화주의 기반 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102 양지욱, 양지욱,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적용 연구 : 「삼국유사」소재 스토리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4

      103 김성호, "「단군신화의 재해석을 통한 상호문화주의 기반 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 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104 안종혁, 안종혁,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신화적 기능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중심으로」", 『디지털영상학술지』Vol.1 No.1,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04

      105 김정호, 홍은아, "「애니메이션 <천년여우>와 <파프리카>에 나타난 신화 이미지」,『애니메이션연구』vol.8 no.2 통권21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106 조미라,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2007

      107 강미선, "「웹툰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웹툰 「신과 함께」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제5호", 카톨릭대학교 콘텐츠산업과 문화정책연구소, 2011

      108 신현욱, 신현욱, "「글로벌문화콘텐츠 창작소재로서 영웅서사시의 가치에 관한 연구 :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109 송희영, "「<하록사가>와 <마법망치의 전설 토르> :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북유럽신화와 바그너의 <니벨룽겐의 반지>」", 한국브레히트학회,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28집, 한국브레이트학회, 2013

      110 최원오(Choi Won-Oh), "한국 무속신화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점검 - 스토리 창작을 위한 신화소 추출과 분류 및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한국문학논총』 제46집, 한국문학회, 2007

      111 최원오, "한국 무속신화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점검 - 스토리 창작을 위한 신화소 추출과 분류 및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제46집, 한국문학회,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