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경쟁상태불안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대학 운동선수의 경기력을 높이는 심리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훈련 과정에서 개...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경쟁상태불안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대학 운동선수의 경기력을 높이는 심리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훈련 과정에서 개별적인 성향에 따라 다양한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소재의 대학교 중에서 엘리트 스포츠를 하는 남자 대학 운동선수를 비확률표본추출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학교에 사전에 연락하여 감독 및 코치들에게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연구방법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하였고 조사 시간을 허락 받았다. 대학 운동선수에게도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하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선정된 대상자 총 30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0부를 제외하고, 270명의 설문자료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 α 계수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Windows용 SPSS Version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인지적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목표성향은 인지적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신체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목표성향은 신체적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상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목표성향은 상태 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목표성향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목표성향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대학 운동선수의 경쟁상태불안 중 인지적 불안과 상태 자신감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불안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대학운동선수의 경쟁상태불안 중 인지적 불안과 상태 자신감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신체적 불안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