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경쟁상태불안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8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flu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physical self-efficacy and provide psychological data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college athlete and provide data for various activities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 For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on male college athlete doing elite sports on colleg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he study contacted the colleges in advance and got permission by after explaining necessity of research,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method to supervisor and coach. The study also explained research purpose to college athletes and handed out questionnaire with the consent and had athletes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by self-administration. The study used survey data of 270 college athletes by excluding 30 inadequate questionnaires from total of 300.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content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 a coefficient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4.0 for Windows. From the data analysis, following results obtained.
      First, task goal orientation among colleg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had negative (-) influence on cognitive anxiety and self-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 influence on cognitive anxiety.
      Second, task goal orientation among colleg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did not influence physical anxiety and self-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 influence on physical anxiety.
      Third, task goal orientation among colleg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did not influence state confidence and self-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 influence on state confidence.
      Fourth, task goal orientation among colleg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had negative (-) influence on recognized physical performance and self-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 influence on physical performance.
      Fifth, task goal orientation among colleg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had positive (+) influence on physical self expressive confidence and self-goal orientation did not influence physical self expressive confidence.
      Sixth, cognitiv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among college athlete’s competitive state anxiety had positive(+) influence on recognized physical performance, and physical anxiety had negative(-) influence on recognized physical performance.
      Lastly, cognitiv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among college athlete’s competitive state anxiety did not influence physical self expressive confidence and physical anxiety had negative (-) influence on physical self expressive confidenc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flu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physical self-efficacy and provide psychological data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college athlete and provide data for various activities based on i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flu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physical self-efficacy and provide psychological data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college athlete and provide data for various activities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 For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on male college athlete doing elite sports on colleg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he study contacted the colleges in advance and got permission by after explaining necessity of research,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method to supervisor and coach. The study also explained research purpose to college athletes and handed out questionnaire with the consent and had athletes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by self-administration. The study used survey data of 270 college athletes by excluding 30 inadequate questionnaires from total of 300.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content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 a coefficient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4.0 for Windows. From the data analysis, following results obtained.
      First, task goal orientation among colleg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had negative (-) influence on cognitive anxiety and self-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 influence on cognitive anxiety.
      Second, task goal orientation among colleg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did not influence physical anxiety and self-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 influence on physical anxiety.
      Third, task goal orientation among colleg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did not influence state confidence and self-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 influence on state confidence.
      Fourth, task goal orientation among colleg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had negative (-) influence on recognized physical performance and self-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 influence on physical performance.
      Fifth, task goal orientation among colleg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had positive (+) influence on physical self expressive confidence and self-goal orientation did not influence physical self expressive confidence.
      Sixth, cognitiv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among college athlete’s competitive state anxiety had positive(+) influence on recognized physical performance, and physical anxiety had negative(-) influence on recognized physical performance.
      Lastly, cognitiv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among college athlete’s competitive state anxiety did not influence physical self expressive confidence and physical anxiety had negative (-) influence on physical self expressive confid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경쟁상태불안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대학 운동선수의 경기력을 높이는 심리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훈련 과정에서 개별적인 성향에 따라 다양한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소재의 대학교 중에서 엘리트 스포츠를 하는 남자 대학 운동선수를 비확률표본추출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학교에 사전에 연락하여 감독 및 코치들에게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연구방법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하였고 조사 시간을 허락 받았다. 대학 운동선수에게도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하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선정된 대상자 총 30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0부를 제외하고, 270명의 설문자료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 α 계수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Windows용 SPSS Version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인지적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목표성향은 인지적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신체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목표성향은 신체적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상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목표성향은 상태 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목표성향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목표성향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대학 운동선수의 경쟁상태불안 중 인지적 불안과 상태 자신감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불안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대학운동선수의 경쟁상태불안 중 인지적 불안과 상태 자신감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신체적 불안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경쟁상태불안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대학 운동선수의 경기력을 높이는 심리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훈련 과정에서 개...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경쟁상태불안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대학 운동선수의 경기력을 높이는 심리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훈련 과정에서 개별적인 성향에 따라 다양한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소재의 대학교 중에서 엘리트 스포츠를 하는 남자 대학 운동선수를 비확률표본추출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학교에 사전에 연락하여 감독 및 코치들에게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연구방법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하였고 조사 시간을 허락 받았다. 대학 운동선수에게도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하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선정된 대상자 총 30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0부를 제외하고, 270명의 설문자료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 α 계수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Windows용 SPSS Version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인지적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목표성향은 인지적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신체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목표성향은 신체적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상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목표성향은 상태 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목표성향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목표성향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목표성향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대학 운동선수의 경쟁상태불안 중 인지적 불안과 상태 자신감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불안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대학운동선수의 경쟁상태불안 중 인지적 불안과 상태 자신감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신체적 불안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