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행정기관의 특별사법경찰권 확장 논의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57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행정사무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특별사법경찰은 각 기관의 고유 행정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행정법 내에 사법경찰작용을 담당하는 행정 공무원을 의미한다. 특별사...

      행정사무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특별사법경찰은 각 기관의 고유 행정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행정법 내에 사법경찰작용을 담당하는 행정 공무원을 의미한다. 특별사법경찰관리제도의 취지는 소관 행정업무가 고도로 전문 화됨에 따라 일반사법경찰이 수사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성과 긴 급성 등을 근거로 행정공무원에게 사법경찰권을 부여하여 신속하고 원활한 수사 활동을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된다. 또한 최근 행정부의 기능과 권한이 강화되고 있음에도 사회의 급속한 분화와 전문화, 다양화에 따라 행정형법상의 범죄도 전문 화와 광역화되고 있는 추세가 되면서 행정법상의 행정범수사에도 효율성을 추구 하면서 전문지식을 갖춘 행정공무원의 수사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7개 정부부처 중 교육부, 외무부, 통일부를 제외한 14개 정부기관 인 법무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여성가족부, 해양수산부, 국방부 등과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에서 특별사법경찰제도를 운영하면서 행정에 관한 공법인 행정법을 중심관념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화 된 행정조직의 행정작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범죄 수사업 무를 주로 하는 특별사법경찰 업무가 지속 증가추세에 있는 현황과 문제점 및 실 태분석을 통해 행정기관의 특별사법경찰제도 운영이 정상적 괘도에 안착될 수 있 도록 미래지향적 제언을 전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ers, organized by agencies that are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are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who take the role of judicial police officers in order to boost the efficiency of inherent administrative affairs...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ers, organized by agencies that are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are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who take the role of judicial police officers in order to boost the efficiency of inherent administrative affairs each agency has. The initial aim of the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is to encourage rapid, accurate investigations by granting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with the rights as soecial judicial police officers, as they can rapidly and professionally investigate administrative affairs in a world where administrative affair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and professionalized. Furthermore, the rapid social differentiation and diversification has opened doors for complicated professional crimes under the criminal law. This has resulted in more participation of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wh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regarding their inherent field of affairs, in investigations in order to boost efficiency. In South Korea, seventeen regional local governments and fourteen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Justic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he Ministry of Defense, etc, exclud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Foreign Affairs, and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re running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s based on the administrative law. In this study, we aim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he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and any problems that exist regarding the system, and provide a futuristic suggestion so that the sysrem can safely settle in administrative agenc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특별사법경찰관리제도의 고찰
      • III. 행정기관의 특별사법경찰제도 운영현황 분석
      • IV. 특별사법경찰제도 확장 논의에 대한 미래지향적 제언
      • <국문초록>
      • I. 서론
      • II. 특별사법경찰관리제도의 고찰
      • III. 행정기관의 특별사법경찰제도 운영현황 분석
      • IV. 특별사법경찰제도 확장 논의에 대한 미래지향적 제언
      • V.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