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새로운 가치 분류를 위한 시론 = The New Value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35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의 형태를 성격별로 분류하고 그 내용을 살피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분류작업을 통해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를 새롭게 분류함으로써 커뮤니티 댄스가 갖고 있는 의미와 그 가치를 논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댄스는 무용교육을 바탕으로 신체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새로운 자신의 발견과 신체를 통한 자신감을 얻는 활동이자 사회적 공통분모가 소통하고 정보통신 기술발달로 인한 인간의 소통 단절을 춤으로 교류 하는 것이다.
      한국에서의 커뮤니티 댄스는 일반인들이 춤을 통해 즐거움과 치유 그리고 타인과의 교류하는 활동에서 교육적 측면을 지닌 프로그램들까지 여러 시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댄스를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첫째, 공연 지향의 커뮤니티 댄스는 참여하는 공동체가`함께`라는 의식을 공유하며 생산물을 만들어 내는 행위에 바탕을 두면서 무대공연에 대중이 참여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세대와 만남을 통해 계층의 시대정신을 구현하면서 예술성을 확보하였다. 커뮤니티 댄스 활동을 확산시키고 춤추는 일반인들과 전문무용수의 거리를 좁혔다는 점 그리고 공연을 지향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점에서 특징을 지닌다.
      둘째, 지역 중심의 커뮤니티 댄스는 그 지역의 문화의 정체성을 춤을 통해 공유하며 커뮤니티 댄스를 통해 다른 커뮤니티를 재생산하였다. 이는 지역민들을 위한 춤이자 지역을 기반으로 두는 활동으로 그 지역만이 갖고 있는 특징과 그 지역민들의 스토리텔링을 찾아 낼 수 있다.
      셋째, 불특정 다수의 참여 커뮤니티 댄스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티 댄스로 세대 간의 교류의 장으로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커뮤니티 댄스이다. 그 동안 각기 다르게 정의 되고 있는 커뮤니티댄스를 집약하고 있으며, 같은 생각을 하고 한데 모여 있는 커뮤니티가 춤을 통해 집결되어 있다.
      넷째, 무용교육의 커뮤니티 댄스는 무용교육의 일환이자 사람과 사람이 춤을 통해 소통하는 장소로서 여러 대상에게 무용교육을 통해 자기표현 능력의 향상과 자신감 및 창의적인 사고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의 형태를 성격별로 분류하고 그 내용을 살피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분류작업을 통해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를 새롭게 분류...

      이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의 형태를 성격별로 분류하고 그 내용을 살피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분류작업을 통해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를 새롭게 분류함으로써 커뮤니티 댄스가 갖고 있는 의미와 그 가치를 논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댄스는 무용교육을 바탕으로 신체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새로운 자신의 발견과 신체를 통한 자신감을 얻는 활동이자 사회적 공통분모가 소통하고 정보통신 기술발달로 인한 인간의 소통 단절을 춤으로 교류 하는 것이다.
      한국에서의 커뮤니티 댄스는 일반인들이 춤을 통해 즐거움과 치유 그리고 타인과의 교류하는 활동에서 교육적 측면을 지닌 프로그램들까지 여러 시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댄스를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첫째, 공연 지향의 커뮤니티 댄스는 참여하는 공동체가`함께`라는 의식을 공유하며 생산물을 만들어 내는 행위에 바탕을 두면서 무대공연에 대중이 참여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세대와 만남을 통해 계층의 시대정신을 구현하면서 예술성을 확보하였다. 커뮤니티 댄스 활동을 확산시키고 춤추는 일반인들과 전문무용수의 거리를 좁혔다는 점 그리고 공연을 지향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점에서 특징을 지닌다.
      둘째, 지역 중심의 커뮤니티 댄스는 그 지역의 문화의 정체성을 춤을 통해 공유하며 커뮤니티 댄스를 통해 다른 커뮤니티를 재생산하였다. 이는 지역민들을 위한 춤이자 지역을 기반으로 두는 활동으로 그 지역만이 갖고 있는 특징과 그 지역민들의 스토리텔링을 찾아 낼 수 있다.
      셋째, 불특정 다수의 참여 커뮤니티 댄스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티 댄스로 세대 간의 교류의 장으로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커뮤니티 댄스이다. 그 동안 각기 다르게 정의 되고 있는 커뮤니티댄스를 집약하고 있으며, 같은 생각을 하고 한데 모여 있는 커뮤니티가 춤을 통해 집결되어 있다.
      넷째, 무용교육의 커뮤니티 댄스는 무용교육의 일환이자 사람과 사람이 춤을 통해 소통하는 장소로서 여러 대상에게 무용교육을 통해 자기표현 능력의 향상과 자신감 및 창의적인 사고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seeks to provide and examine a new value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ance. Community dance, which is based on dance education, is an act of interacting with others, discovering oneself, and gaining confidence through physical movements. It also represents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common denominators and the restoration of interactions that were cut off by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ommunity dance in Korea is utilized in various ways: it is an activity for people to engage in for pleasure, to improve their health, to interact with others, and to learn new things. Community dance may be classifi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First, community dance as performance focuses on producing outputs with a sense of the community being together. It generates new meaning as members of the public take part in stage performances. In addition, it attains artistic value by expressing the zeitgeist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various generations. Community dance as performance is distinct because it popularizes community dance, bringing professional choreographers and laypersons together. It also gives an enhanced sense of completeness with its orientation as performance.
      Second, community-centered dance uses dance to share the cultural identity of a community and can be reproduced by different communities. As a dance centered on the community, it can present the unique features of a community and tell the stories of the people of the community.
      Third, community dance for unspecified groups of people is a dance in which anyone can participate.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different generations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This category includes various community dances that bring together like-minded communities through dance.
      Fourth, community dance as dance educa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people to dance and learn together. It helps people express themselves better, gain self-confidence, think creatively, and enjoy art and culture.
      번역하기

      The current study seeks to provide and examine a new value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ance. Community dance, which is based on dance education, is an act of interacting with others, discovering oneself, and gaining confidence through physical moveme...

      The current study seeks to provide and examine a new value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ance. Community dance, which is based on dance education, is an act of interacting with others, discovering oneself, and gaining confidence through physical movements. It also represents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common denominators and the restoration of interactions that were cut off by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ommunity dance in Korea is utilized in various ways: it is an activity for people to engage in for pleasure, to improve their health, to interact with others, and to learn new things. Community dance may be classifi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First, community dance as performance focuses on producing outputs with a sense of the community being together. It generates new meaning as members of the public take part in stage performances. In addition, it attains artistic value by expressing the zeitgeist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various generations. Community dance as performance is distinct because it popularizes community dance, bringing professional choreographers and laypersons together. It also gives an enhanced sense of completeness with its orientation as performance.
      Second, community-centered dance uses dance to share the cultural identity of a community and can be reproduced by different communities. As a dance centered on the community, it can present the unique features of a community and tell the stories of the people of the community.
      Third, community dance for unspecified groups of people is a dance in which anyone can participate.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different generations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This category includes various community dances that bring together like-minded communities through dance.
      Fourth, community dance as dance educa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people to dance and learn together. It helps people express themselves better, gain self-confidence, think creatively, and enjoy art and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은예술창작센터 프로그램 소개"

      2 "홍은예술창작센터 프로그램 소개"

      3 "홍은예술창작센터 프로그램 소개"

      4 최해리,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근원, 흐름, 확장" 무용역사기록학회 36 : 49-68, 2015

      5 "평범한 용인주부들 ‘댄싱퀸’ 변신… 내일 ‘용비女천가’ 프로젝트"

      6 황정옥, "커뮤니티댄스의 문화예술교육적 실천 전략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3 (23): 51-69, 2012

      7 김옥희, "커뮤니티댄스 실행 모델 생태감성 무용 구조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3 (23): 71-85, 2012

      8 문영, "커뮤니티 댄스의 진단과 조망" 대한무용학회 70 (70): 75-98, 2012

      9 이영일, "커뮤니티 댄스의 문화적 사회가치연구" 우리춤연구소 10 (10): 75-101, 2014

      10 한혜리, "커뮤니티 댄스에서 참여 무용의 복합성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61-76, 2014

      1 "홍은예술창작센터 프로그램 소개"

      2 "홍은예술창작센터 프로그램 소개"

      3 "홍은예술창작센터 프로그램 소개"

      4 최해리,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근원, 흐름, 확장" 무용역사기록학회 36 : 49-68, 2015

      5 "평범한 용인주부들 ‘댄싱퀸’ 변신… 내일 ‘용비女천가’ 프로젝트"

      6 황정옥, "커뮤니티댄스의 문화예술교육적 실천 전략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3 (23): 51-69, 2012

      7 김옥희, "커뮤니티댄스 실행 모델 생태감성 무용 구조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3 (23): 71-85, 2012

      8 문영, "커뮤니티 댄스의 진단과 조망" 대한무용학회 70 (70): 75-98, 2012

      9 이영일, "커뮤니티 댄스의 문화적 사회가치연구" 우리춤연구소 10 (10): 75-101, 2014

      10 한혜리, "커뮤니티 댄스에서 참여 무용의 복합성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61-76, 2014

      11 최경실, "춤 표현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2 "춘천아트페스티벌 소개"

      13 김미령, "청소년미혼모 사회교육현황 및 Community Dance 적용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4 김영미, "진지한 여가로서 성인여성의 커뮤니티댄스 공연 체험의 의미" 무용역사기록학회 29 : 43-61, 2013

      15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댄스, 마을프로젝트‘이것도 춤이다’"

      16 김영미, "주민복지를 위한 지역사회무용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한국무용과학회 (25) : 53-70, 2011

      17 "이것도 춤이다! 마을무용프로젝트"

      18 "안산거리극 축제 소개"

      19 김옥희, "신노년층의 창의적 사회참여를 위한 커뮤니티댄스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4 (24): 121-136, 2013

      20 "시민참여로 펼치는 커뮤니티 댄스 ‘위대한 도시’"

      21 "서울댄스프로젝트 소개"

      22 한혜리, "생태환경 사회 커뮤니티댄스에서 공동체와 전인교육의 의미"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1-16, 2014

      23 김영미, "무용참가동기가 무용참가에 미치는 영향" 40 (40): 549-561, 2011

      24 김전미,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아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체육학회 42 (42): 621-630, 2003

      25 한혜리, "무용의 사회적 개념 연구 - 공동체무용과 교육의 관계 -" 한국무용교육학회 22 (22): 17-31, 2011

      26 김재리, "무용의 공공성: 국내 커뮤니티 댄스 사례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32 : 21-50, 2014

      27 권오정, "무대에 선 관객들: 커뮤니티 댄스 참여자들의 심리적 체험" 대한무용학회 72 (72): 1-24, 2014

      28 "마포동네축제, 우리 함께해요!"

      29 "땐씽마마 프로젝트로 신나는 행주문화제"

      30 "대한민국 아저씨들 춤바람 났네"

      31 황정옥, "거주지 문화 공유를 위한 커뮤니티댄스 기능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4 (24): 85-99, 2013

      32 "“춘천 여성의 드라마를 무대 위로”, 춘천아트페스티벌 커뮤니티 댄스 프로젝트"

      33 "‘보는’춤 아닌 ‘추는’춤의 확산"

      34 김혜민, "The Effects of the Community Dance Program on Socialization and Emotional Competency in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국특수체육학회 22 (22): 39-53, 2014

      35 "<조상님께 바치는 댄스> ‘막춤’의 재발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DDH -> Asian Dance journal KCI등재
      2020-04-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8-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DSDH -> The Journal of SDDH KCI등재
      2014-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 -> 무용역사기록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KCI등재
      2014-04-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무용역사기록학
      외국어명 : The Korean Jounal of Dance Documentation -> The Journal of DSD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0.943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