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여가기능과 의사소통능력, 자기표현행동과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8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lected the study subjects of 48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aking physical education course as cultural subject in the universities in Seoul, ChoongcheongProvince, and Daegu area. To verify the effect of their leisure function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xpression behavior,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s using SPSS 15.0.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 First, following to based on gender the verification of recreational features, communication skills, self-expression validation results, from all the elements, men benefit more than women. The women`s ability to communicate impressions is much higher than men, but strictly speaking, there is 110 different with acting self-expression. In addition, the controlling of recreational features are showed that 2, 3 and 4 grade have benefit significantly more than first grade, but communications of self-expression abil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 Second, leisure confidence among leisure functions appears to affect careful listening skill in communication ability, self-exposure, and relationship formation. Leisure control ability has significant effect on self-exposure, relationship formation, and empathy formation. In addition, leisure admira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self-exposure. Third, the effect of leisure function on self-expression behavior shows that leisure confidence and leisure admiration have significant effect self-expression behavior. In addition, leisure control ability and leisure admira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passive self-expression behavior.
      번역하기

      This study selected the study subjects of 48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aking physical education course as cultural subject in the universities in Seoul, ChoongcheongProvince, and Daegu area. To verify the effect of their leisure function on commun...

      This study selected the study subjects of 48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aking physical education course as cultural subject in the universities in Seoul, ChoongcheongProvince, and Daegu area. To verify the effect of their leisure function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xpression behavior,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s using SPSS 15.0.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 First, following to based on gender the verification of recreational features, communication skills, self-expression validation results, from all the elements, men benefit more than women. The women`s ability to communicate impressions is much higher than men, but strictly speaking, there is 110 different with acting self-expression. In addition, the controlling of recreational features are showed that 2, 3 and 4 grade have benefit significantly more than first grade, but communications of self-expression abil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 Second, leisure confidence among leisure functions appears to affect careful listening skill in communication ability, self-exposure, and relationship formation. Leisure control ability has significant effect on self-exposure, relationship formation, and empathy formation. In addition, leisure admira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self-exposure. Third, the effect of leisure function on self-expression behavior shows that leisure confidence and leisure admiration have significant effect self-expression behavior. In addition, leisure control ability and leisure admira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passive self-expression behavi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창성, "학생들이 선호하는 여가활동의 유형에 따른 안전도 및 만족도의 실태" 5 (5): 5-20, 2002

      2 박중길, "표현활동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57-74, 2007

      3 김선희, "청소년의 여가활동관여도와 정서표현성 및 여가자신감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3 (33): 135-144, 2009

      4 박수정, "청소년의 여가태도와 여가기능의 인과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3 (43): 223-230, 2004

      5 이진갑, "청소년의 여가스포츠활동참가유형과 정도에 따른 자기표현행동과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1 (41): 147-158, 2002

      6 신혁구,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자기표현행동과 조절능력 및 여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2006

      7 정상욱,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자기표현행동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2004

      8 조용학,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2006

      9 하지연, "직장인 여가 스포츠 활동의 참여요인 구명을 위한 탐색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04

      10 김홍남, "중학생의 힙합 특기·적성교육 활동이 학업성취 목표성향과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18 : 19-35, 2007

      1 박창성, "학생들이 선호하는 여가활동의 유형에 따른 안전도 및 만족도의 실태" 5 (5): 5-20, 2002

      2 박중길, "표현활동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57-74, 2007

      3 김선희, "청소년의 여가활동관여도와 정서표현성 및 여가자신감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3 (33): 135-144, 2009

      4 박수정, "청소년의 여가태도와 여가기능의 인과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3 (43): 223-230, 2004

      5 이진갑, "청소년의 여가스포츠활동참가유형과 정도에 따른 자기표현행동과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1 (41): 147-158, 2002

      6 신혁구,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자기표현행동과 조절능력 및 여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2006

      7 정상욱,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자기표현행동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2004

      8 조용학,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2006

      9 하지연, "직장인 여가 스포츠 활동의 참여요인 구명을 위한 탐색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04

      10 김홍남, "중학생의 힙합 특기·적성교육 활동이 학업성취 목표성향과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18 : 19-35, 2007

      11 최미숙, "중학생의 여가활동유형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5 (15): 1-13, 2003

      12 김준희, "중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의사소통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05

      13 이광민, "중학생들의 여가만족과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2008

      14 김근곤, "전공 간 협력 프로젝트 학습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252-261, 2008

      15 김정숙, "자기표현훈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자기표현행동 및 대인관계변화에 미치는 영향" 37 (37): 59-61, 1998

      16 최형심, "자기표현훈련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14 : 23-47, 2001

      17 송소원, "자기표현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대인관계,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상담원 16 (16): 103-117, 2008

      18 최은경, "자기표현 훈련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2006

      19 이원석,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2004

      20 신윤주, "자기주장훈련이 간호사의 자기표현성, 자기 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2009

      21 모의희,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부부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양대학교 2001

      22 최연자, "자기노출과 합리적 정서 훈련이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치는 효과 최연자·이경완·정춘화" 정신간호학회 18 (18): 186-196, 2009

      23 현미열,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의 효과 측정"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5-11, 2008

      24 김지숙, "인간관계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9 : 97-113, 2006

      25 곽효정, "성인 여성의 댄스스포츠 참가가 신체이미지와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25 (25): 131-150, 2007

      26 정영주, "대학소재 지역 및 성별에 따른 여가기능과 여가만족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1999

      27 박헌일, "대학생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성격특성과의 관계" 18 : 25-41, 2000

      28 김선희, "대학생의 여가스포츠 관여정도가 인간관계 및 자기표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3 (23): 69-79, 2009

      29 김영규, "대학 교양체육수업 참가자의 여가기능이 재미거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1 (31): 37-50, 2007

      30 황혜자,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30 : 75-93, 2005

      31 장해순, "대인갈등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상호관계, 매력간의 관계" 3 (3): 104-130, 2003

      32 송강영, "기혼여성의 여가활동참여와 의사소통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4 (14): 39-50, 2003

      33 송강영, "기혼여성의 여가활동 참여와 의사소통, 가족스트레스,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에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155-162, 2005

      34 조남옥, "간호사의 인간관계 갈등과 의사소통에 관한 조사연구" 7 (7): 369-378, 2001

      35 한금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행, 자기효능감, 감정조절, 대처방법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 17 (17): 28-34, 2008

      36 정국현, "가족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가 세대간 커뮤니케이션 촉진 및 세대차이, 세대갈등 그리고 갈등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 19 (19): 373-392, 2006

      37 최길례, "가족의 여가 활동이 정서적 역동성과 가족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2003

      38 전나래, "가족 여가 활동이 가족응집성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2005

      39 Dunn, J, "Understanding othe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friendship interactions in young children" London Blackwell Publishers Ltd 1999

      40 Witt, P. A, "Leisure diagnostic battery: Conceptualization,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and procedure for testing and scoreing. Devision of Recreation and Leisure Studies" North Texas State University 1987

      41 Navran, L.,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in marriage" 6 : 173-184, 1967

      42 Landa, R. J., "Assessment of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preschoolers" 11 (11): 247-252, 2005

      43 Galassi,J.P., "Assert yourself: How to be your own person" Human Science Press 1977

      44 Rathus, S. A., "An Experimentalin a group setting" 3 : 179-183, 1973

      45 김영화, "2006학년도 재학생 실태조사연구" 20 : 135-164,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8 0.8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