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작품 제작과정은 3단계의 생성-소성-적용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생성단계에서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여 절대적인 물리적 시간과 재작업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작작품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69100
2009
-
KCI등재
학술저널
381-389(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자작품 제작과정은 3단계의 생성-소성-적용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생성단계에서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여 절대적인 물리적 시간과 재작업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작작품 제...
도자작품 제작과정은 3단계의 생성-소성-적용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생성단계에서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여 절대적인 물리적 시간과 재작업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작작품 제작에 있어 디지털 표현 방법론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표현 방법을 찾고자 함을 연구의 근본적인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도자의 디자인은 제작과정에서 다양한 변수를 내재하고 있는 제작물을 수년간에 걸쳐 db를 분석하여 디지털화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된 결과를 갖고 디지털 표현 방법론을 통한 도자작품에 다양한 기획과 적용에 대한 결과물을 얻고자 한다. 도자작품에서 세라믹 엘리먼트들을 LED 조명을 통한 작가의 의도나 작가의 감성으로 다양한 시각적 표현방법을 찾는 작품이다. 관람자가 인지하는 시간 동안 시각적 감성에 주목한다는 사실을 갖고 대상물에 대한 빛의 조건을 변화시켜 대상물과 대상물을 관람하는 시각적인 감성을 평가하도록 한다. 실험대상은 Moon이라는 테마를 갖고 제작한 작품으로 제한 한다. 또한 빛의 조건을 시간의 축하여 연출되는 것을 이미지 시퀀스라 정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관람자의 감성을 기반으로 한 작품을 3차원 그래픽스(3DC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자 이미지 표현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미, "프랙탈 개념에 기초한 조형원리와 표현특성 - 회화와 공간조형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7 : 12-20, 2003
2 황인영, "박물관 전시조명에 따른 가시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1
3 임은영, "공간조형에 표현된 비선형 동력학 현상" 한국디자인학회 15 (15): 37-390, 2002
4 Henrik Wann Jensen, "Realistic Image Synthesis Using Photon Mapping" A K Peters, Ltd. 2001
5 구상권, "3D 컴퓨터그래픽 렌더링 기술의 합리적 발전 과정과 그 과정에서 고안-전유된 이중 인터페이스의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7 (7): 121-132, 2007
1 김주미, "프랙탈 개념에 기초한 조형원리와 표현특성 - 회화와 공간조형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7 : 12-20, 2003
2 황인영, "박물관 전시조명에 따른 가시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1
3 임은영, "공간조형에 표현된 비선형 동력학 현상" 한국디자인학회 15 (15): 37-390, 2002
4 Henrik Wann Jensen, "Realistic Image Synthesis Using Photon Mapping" A K Peters, Ltd. 2001
5 구상권, "3D 컴퓨터그래픽 렌더링 기술의 합리적 발전 과정과 그 과정에서 고안-전유된 이중 인터페이스의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7 (7): 121-132, 2007
도시특성화를 위한 가로경관디자인 사례분석연구 - 인천광역시 부평구 3개 상업가로를 대상으로 -
한국 디자인역사 연구에 있어 일상사적 방법론의 적용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12-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8 | 0.81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