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철강업 근로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구강보건행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06652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201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5.18 판사항(5)

      • DDC

        617.60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ii, 40장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39-4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를 조사하여, 근무형태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업장에서의 구강건강관리제도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연구방법은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 조사법이었으며,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광양시에 소재하는 제철소 내 근로자 894명이었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보건의식행태이었다.

      연구성적 :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다’라고 응답한 근로자가 65.7%로 근로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주관적인 구강건강수준은 높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수준이 89.2%로 높았다. 직장구강검진 수검율은 20.9%로 낮게 나타났으며 최근 1년간 노동손실일수는 결근일수 0.03일, 조퇴일수 0.15일, 결근 및 조퇴일수 0.18일 이었고 구강질환으로 인한 직장업무 지장경험율은 21.8%로 나타났다. 사무직 근로자에서 노동손실일수와 직장업무 지장경험율이 다른 근무형태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로자의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는 평균 2.92회로 나타났고 사무직에서는 3.07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기적인 잇솔질은 67.6%의 근로자에서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기적인 잇솔질을 하지 않는 이유는 ‘귀찮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로자의 감지구강보건상태는 치은출혈경험자의 비율이 37.8%, 치아동요증상보유자율이 17.6%, 지각과민증상보유자의 비율이 54.8%이었다. 치과질환지각율은 49.7%, 치과치료필요자율은 55.6%, 구호흡경험자는 29.1%의 비율을 보였다. 근로자의 92.8%는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근로자의 13.8%만이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사업장 구강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 또한 대부분의 근로자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 근로자는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으나 자신의 구강건강수준이 낮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해 염려를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병으로 인한 업무지장을 경험한 근로자가 많았다. 그러나 직장구강검진 수검율이 낮고 구강보건행태의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의 기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근로자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사업장 구강보건사업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를 조사하여, 근무형태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업장에서의 구강건강관리제도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를 조사하여, 근무형태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업장에서의 구강건강관리제도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연구방법은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 조사법이었으며,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광양시에 소재하는 제철소 내 근로자 894명이었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보건의식행태이었다.

      연구성적 :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다’라고 응답한 근로자가 65.7%로 근로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주관적인 구강건강수준은 높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수준이 89.2%로 높았다. 직장구강검진 수검율은 20.9%로 낮게 나타났으며 최근 1년간 노동손실일수는 결근일수 0.03일, 조퇴일수 0.15일, 결근 및 조퇴일수 0.18일 이었고 구강질환으로 인한 직장업무 지장경험율은 21.8%로 나타났다. 사무직 근로자에서 노동손실일수와 직장업무 지장경험율이 다른 근무형태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로자의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는 평균 2.92회로 나타났고 사무직에서는 3.07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기적인 잇솔질은 67.6%의 근로자에서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기적인 잇솔질을 하지 않는 이유는 ‘귀찮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로자의 감지구강보건상태는 치은출혈경험자의 비율이 37.8%, 치아동요증상보유자율이 17.6%, 지각과민증상보유자의 비율이 54.8%이었다. 치과질환지각율은 49.7%, 치과치료필요자율은 55.6%, 구호흡경험자는 29.1%의 비율을 보였다. 근로자의 92.8%는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근로자의 13.8%만이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사업장 구강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 또한 대부분의 근로자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 근로자는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으나 자신의 구강건강수준이 낮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해 염려를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병으로 인한 업무지장을 경험한 근로자가 많았다. 그러나 직장구강검진 수검율이 낮고 구강보건행태의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의 기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근로자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사업장 구강보건사업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s :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the conduct of dental health according to working type of workers, to help understanding the effect of working type on dental health, and to apply the information to dental health management system at workplace.

      Subjects and methods : Research method is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as the respondents filled in them.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 894 workers in a steel mill, which is located in Gwangyang-si, Jeollanamdo.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n terms of sociology of population and conduct and awareness of dental health.

      Results : Workers who answered that they are highly interested in dental health were 65.7%, which shows that their interest in dental health was high. They did not think that their subjective level of dental health was not high, and the level of their concern on dental health was 89.2%, which was high percentage. 20.9% of respondents received oral examination, which was law. For the last one year, the days of loss of labour was 0.03 days for days of absences, 0.15 days for days of early leaves, and 0.18 days for days of absences and early leaves. The ratio of experiencing difficulties of working at workplace because of dental diseases was 21.8%. Office workers' days of loss of labour and ratio of experiencing difficulties of working at workplace because of dental diseases were higher than other working types. Workers' average number of toothbrushing daily were 2.92 times on average and for office workers, it was 3.07 times,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67.6% of workers perform brushing teeth regularly and the reason why workers do not brush their teeth regularly was because they feel tiresome,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responses. For workers' subjective dental health condition, the ratio of workers with gingival bleeding experience was 37.8%, the ratio of workers with tooth mobility symptoms 17.6%, and the ratio of workers with hyperesthesia symptoms 54.8%. The ratio of being aware of dental diseases is 49.7%, and the ratio of those who are needed dental care 55.6%, and the ratio of workers with mouth respiration experience 29.1%. 92.8%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need dental health training, but only 13.8%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have received dental health training. Most workers think that they need a dental health improvement project for workplace.
      Conclusion : There are many workers who think that they are highly interested in dental health but the level of their dental health is low, and they are concerned about their dental health. In addition, many work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working because of dental diseases. However, the ratio of workplace dental examination is low and there are less opportunities of dental health training to improve dental health conduct, which means that we need to develop a dental health project for workers' dental health improvement as soon as possible.
      번역하기

      Purposes :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the conduct of dental health according to working type of workers, to help understanding the effect of working type on dental health, and to apply the information to dental health management system at workp...

      Purposes :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the conduct of dental health according to working type of workers, to help understanding the effect of working type on dental health, and to apply the information to dental health management system at workplace.

      Subjects and methods : Research method is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as the respondents filled in them.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 894 workers in a steel mill, which is located in Gwangyang-si, Jeollanamdo.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n terms of sociology of population and conduct and awareness of dental health.

      Results : Workers who answered that they are highly interested in dental health were 65.7%, which shows that their interest in dental health was high. They did not think that their subjective level of dental health was not high, and the level of their concern on dental health was 89.2%, which was high percentage. 20.9% of respondents received oral examination, which was law. For the last one year, the days of loss of labour was 0.03 days for days of absences, 0.15 days for days of early leaves, and 0.18 days for days of absences and early leaves. The ratio of experiencing difficulties of working at workplace because of dental diseases was 21.8%. Office workers' days of loss of labour and ratio of experiencing difficulties of working at workplace because of dental diseases were higher than other working types. Workers' average number of toothbrushing daily were 2.92 times on average and for office workers, it was 3.07 times,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67.6% of workers perform brushing teeth regularly and the reason why workers do not brush their teeth regularly was because they feel tiresome,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responses. For workers' subjective dental health condition, the ratio of workers with gingival bleeding experience was 37.8%, the ratio of workers with tooth mobility symptoms 17.6%, and the ratio of workers with hyperesthesia symptoms 54.8%. The ratio of being aware of dental diseases is 49.7%, and the ratio of those who are needed dental care 55.6%, and the ratio of workers with mouth respiration experience 29.1%. 92.8%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need dental health training, but only 13.8%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have received dental health training. Most workers think that they need a dental health improvement project for workplace.
      Conclusion : There are many workers who think that they are highly interested in dental health but the level of their dental health is low, and they are concerned about their dental health. In addition, many work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working because of dental diseases. However, the ratio of workplace dental examination is low and there are less opportunities of dental health training to improve dental health conduct, which means that we need to develop a dental health project for workers' dental health improvement as soon as possi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2.1. 연구대상 4
      • 2.2. 연구방법 4
      • Ⅲ. 연구성적 6
      • Ⅰ. 서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2.1. 연구대상 4
      • 2.2. 연구방법 4
      • Ⅲ. 연구성적 6
      • 3.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6
      • 3.2. 근로자의 일반적인 구강보건의식행태 8
      • 3.2.1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8
      • 3.2.2 주관적 구강건강염려수준 10
      • 3.2.3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 12
      • 3.3. 직장구강검진 실태 14
      • 3.3.1 직장구강검진 수검 유무 14
      • 3.4. 근로자의 잇솔질 실태 16
      • 3.4.1 직장내 정기적 잇솔질 유무 16
      • 3.4.2 직장내 정기적 잇솔질을 하지 않는 이유 18
      • 3.4.3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 및 시기 19
      • 3.5. 구강병으로 인한 노동손실 21
      • 3.5.1 구강병으로 인한 직장업무 지장경험 21
      • 3.5.2 최근 1년간 구강병으로 인한 노동손실일수 22
      • 3.6 감지구강보건상태 23
      • 3.7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인식 25
      • 3.7.1 구강보건교육 필요성 인식 25
      • 3.7.2 구강보건교육 경험 및 참가의향 27
      • 3.8 사업장 구강건강증진사업 29
      • 3.8.1 사업장 구강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 29
      • 3.8.2 사업장 구강건강증진사업의 참가의향 31
      • Ⅳ. 고안 32
      • Ⅴ. 결론 37
      • 참고문헌 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