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세 독일헌법 연구 : 독일헌법의 기원: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헌법사 = Die Deutsche Verfassungsgeschichte im Mittelal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661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 Heilige Römische Reich Deutscher Nation im Mittelalter hatte keine umfassende Verfassungsurkunde. Im Laufe der Zeit wurden jedoch einige grundlegende Reichsgesetze erlassen, die als leges fundamentales oder Grundgesetze bezeichnet wurden. Zu erwähnen sind: Das Wormser Konkordat von 1122, Der Vertrag mit den Fürsten der Kirche von 1220, Die Satzung zugunsten der Fürsten von 1232, Der Mainzer Landfriede von 1235, Die Goldene Bulle von 1356, Der Ewige Landfriede von 1495, Die Reichskammergerichtsordnung von 1495, Der Westfällische Friedensvertrag von 1648 usw. In der Verfassungsgeschichte des Heiligen Römischen Reiches bestanden durchgehend zwei Einrichtungen: Der Reichskaiser und der Reichstag. Der Kaiser war das Oberhaupt des Reiches. Er erließ zusammen mit dem Reichstag die Reichsgesetze und war Gerichtsherr. Der Reichstag besand als Ständeversammlung aus den Reichsständen, d. h. den weltlichen und geistlichen Fürsten, zu denen später noch die Reichsstädte hinzutraten. Die Gerichtsbarkeit wurde in den ersten Jahrhunderten in wichtigen Fällen vom Kaiser selbst ausgeübt. Erhebliche Bedeutung für die weitere Rechtsentwicklung erlangten sodann das Reichskammergericht und der Reichshofrat. Die Verfassungsgeschichte des Heiligen Römischen Reiches gehen nicht spurlos zu Ende. Zu diesen Spuren gehöhrt zunächst die Rechtsstaatsidee. Der für Deutschland typische Förderalismus hat seine Wurzeln auch in der Verfassungsgeschichte des Heiligen Römischen Reiches. Ferner lassen sich auch einzelne Verfassungsinstitutionen, z. B. der Bundesrat und das Bundesverfassungsgericht auf den Reichstag, das Reichskammergericht und den Reichshofrat zurückzuführen.
      번역하기

      Das Heilige Römische Reich Deutscher Nation im Mittelalter hatte keine umfassende Verfassungsurkunde. Im Laufe der Zeit wurden jedoch einige grundlegende Reichsgesetze erlassen, die als leges fundamentales oder Grundgesetze bezeichnet wurden. Zu ...

      Das Heilige Römische Reich Deutscher Nation im Mittelalter hatte keine umfassende Verfassungsurkunde. Im Laufe der Zeit wurden jedoch einige grundlegende Reichsgesetze erlassen, die als leges fundamentales oder Grundgesetze bezeichnet wurden. Zu erwähnen sind: Das Wormser Konkordat von 1122, Der Vertrag mit den Fürsten der Kirche von 1220, Die Satzung zugunsten der Fürsten von 1232, Der Mainzer Landfriede von 1235, Die Goldene Bulle von 1356, Der Ewige Landfriede von 1495, Die Reichskammergerichtsordnung von 1495, Der Westfällische Friedensvertrag von 1648 usw. In der Verfassungsgeschichte des Heiligen Römischen Reiches bestanden durchgehend zwei Einrichtungen: Der Reichskaiser und der Reichstag. Der Kaiser war das Oberhaupt des Reiches. Er erließ zusammen mit dem Reichstag die Reichsgesetze und war Gerichtsherr. Der Reichstag besand als Ständeversammlung aus den Reichsständen, d. h. den weltlichen und geistlichen Fürsten, zu denen später noch die Reichsstädte hinzutraten. Die Gerichtsbarkeit wurde in den ersten Jahrhunderten in wichtigen Fällen vom Kaiser selbst ausgeübt. Erhebliche Bedeutung für die weitere Rechtsentwicklung erlangten sodann das Reichskammergericht und der Reichshofrat. Die Verfassungsgeschichte des Heiligen Römischen Reiches gehen nicht spurlos zu Ende. Zu diesen Spuren gehöhrt zunächst die Rechtsstaatsidee. Der für Deutschland typische Förderalismus hat seine Wurzeln auch in der Verfassungsgeschichte des Heiligen Römischen Reiches. Ferner lassen sich auch einzelne Verfassungsinstitutionen, z. B. der Bundesrat und das Bundesverfassungsgericht auf den Reichstag, das Reichskammergericht und den Reichshofrat zurückzufüh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기 800년경 성립하여 1806년까지 존속한 신성로마제국시대에 오늘날과 같은 완결된 의미의 성문헌법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국황제를 선출하는 절차, 제국황제의 권한을 제한하고 지방 영주의 권한을 강화한 규정, 사법권의 독립을 시도한 규정들이 제국법률의 형태로 제정되어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헌법적 문서로 평가받는다. 1122년 보름스 협약, 1220년 교회 영주들과의 협정, 1232년 세속 영주들을 위한 법령, 1235년 마인츠 란트평화령, 1356년 황금문서, 1495년 영구 란트평화령과 제국최고재판소령, 1648년 베스트팔렌 평화조약 등이 그 예이다. 신성로마제국은 제국황제와 제국의회라는 두 헌법기관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제국황제의 권한을 지방 영주와 제후들이 구성한 제국의회가 점차 견제하고 제한하는 과정에서 신성로마제국은 중앙집권적 국가체제가 아니라 지방분권적 체제로 변화되었다.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헌법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성로마제국 시대에 사적 무력행사를 금지하고 제국최고재판소와 제국궁정원을 통해 분쟁해결을 시도한 것은 훗날 법치국가원리의 기원이 되었다. 둘째, 신성로마제국 시대에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한 중앙집권적 국가가 아닌 여러 제후를 중심으로 한 독자적 지방국가 형태로 발전한 것은 이후 독일의 연방주의가 발전하게 된 기초를 의미한다. 셋째, 신성로마제국 시대에 등장한 여러 기관은 이후 독일의 주요 헌법기관으로 발전하였다. 가령 각 지방의 영주 또는 제국도시의 대표들로 구성된 제국의회는 오늘날 독일의 연방참사원으로 성장하였다. 제국최고재판소와 제국궁정원은 오늘날 연방헌법재판소의 기원이 되었으며, 이들이 담당한 신민소송은 헌법소원제도의 시작이 되었다.
      번역하기

      서기 800년경 성립하여 1806년까지 존속한 신성로마제국시대에 오늘날과 같은 완결된 의미의 성문헌법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국황제를 선출하는 절차, 제국황제의 권한을 제한하고 ...

      서기 800년경 성립하여 1806년까지 존속한 신성로마제국시대에 오늘날과 같은 완결된 의미의 성문헌법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국황제를 선출하는 절차, 제국황제의 권한을 제한하고 지방 영주의 권한을 강화한 규정, 사법권의 독립을 시도한 규정들이 제국법률의 형태로 제정되어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헌법적 문서로 평가받는다. 1122년 보름스 협약, 1220년 교회 영주들과의 협정, 1232년 세속 영주들을 위한 법령, 1235년 마인츠 란트평화령, 1356년 황금문서, 1495년 영구 란트평화령과 제국최고재판소령, 1648년 베스트팔렌 평화조약 등이 그 예이다. 신성로마제국은 제국황제와 제국의회라는 두 헌법기관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제국황제의 권한을 지방 영주와 제후들이 구성한 제국의회가 점차 견제하고 제한하는 과정에서 신성로마제국은 중앙집권적 국가체제가 아니라 지방분권적 체제로 변화되었다.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헌법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성로마제국 시대에 사적 무력행사를 금지하고 제국최고재판소와 제국궁정원을 통해 분쟁해결을 시도한 것은 훗날 법치국가원리의 기원이 되었다. 둘째, 신성로마제국 시대에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한 중앙집권적 국가가 아닌 여러 제후를 중심으로 한 독자적 지방국가 형태로 발전한 것은 이후 독일의 연방주의가 발전하게 된 기초를 의미한다. 셋째, 신성로마제국 시대에 등장한 여러 기관은 이후 독일의 주요 헌법기관으로 발전하였다. 가령 각 지방의 영주 또는 제국도시의 대표들로 구성된 제국의회는 오늘날 독일의 연방참사원으로 성장하였다. 제국최고재판소와 제국궁정원은 오늘날 연방헌법재판소의 기원이 되었으며, 이들이 담당한 신민소송은 헌법소원제도의 시작이 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독일 헌법사의 배경 Ⅲ.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역사적 배경 Ⅳ.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헌법문서들 Ⅴ.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헌정상황 Ⅵ. 신성로마제국의 종말과 그 헌법사적 의의 Ⅶ. 결론
      • Ⅰ. 서론 Ⅱ. 독일 헌법사의 배경 Ⅲ.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역사적 배경 Ⅳ.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헌법문서들 Ⅴ. 신성로마제국 시대의 헌정상황 Ⅵ. 신성로마제국의 종말과 그 헌법사적 의의 Ⅶ.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영수, "헌법사의 의의와 접근방법" 법학연구원 (75) : 127-159, 2014

      2 임윤수, "통일헌법의 제정방향에 관한 연구 -헌법사 및 통일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19 (19): 305-324, 2019

      3 유정희, "케임브리지 독일사" 시공사 2014

      4 이경덕, "지금, 신성로마제국" 다른세상 2003

      5 허완중, "독일통일과정의 헌법적 문제-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 헌법재판연구원 2 (2): 167-199, 2015

      6 박경철, "독일민족의 신성로마제국시대의 제국최고재판소제도에 관한 연구 ― 헌법소원제도의 원형과 관련하여 ―" 한국헌법학회 18 (18): 343-387, 2012

      7 김백유, "독일 바이마르공화국의 탄생과 의원내각제 헌법논쟁" 29 (29): 213-232, 2001

      8 신우철, "대한민국헌법(1948)의 형성에 외국 헌법이 미친 영향— 그 기본원리·기본가치·기본제도의 비교법적 연원" 한국사회사학회 (101) : 67-140, 2014

      9 Kloepfer, Michael, "Verfassungsrecht I Grundlagen, Staatsorganisationsrecht, Bezüge zum Völker- und Europarecht" C. H. Beck 2011

      10 Frotscher, Werner, "Verfassungsgeschichte" C. H. Beck 2018

      1 장영수, "헌법사의 의의와 접근방법" 법학연구원 (75) : 127-159, 2014

      2 임윤수, "통일헌법의 제정방향에 관한 연구 -헌법사 및 통일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19 (19): 305-324, 2019

      3 유정희, "케임브리지 독일사" 시공사 2014

      4 이경덕, "지금, 신성로마제국" 다른세상 2003

      5 허완중, "독일통일과정의 헌법적 문제-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 헌법재판연구원 2 (2): 167-199, 2015

      6 박경철, "독일민족의 신성로마제국시대의 제국최고재판소제도에 관한 연구 ― 헌법소원제도의 원형과 관련하여 ―" 한국헌법학회 18 (18): 343-387, 2012

      7 김백유, "독일 바이마르공화국의 탄생과 의원내각제 헌법논쟁" 29 (29): 213-232, 2001

      8 신우철, "대한민국헌법(1948)의 형성에 외국 헌법이 미친 영향— 그 기본원리·기본가치·기본제도의 비교법적 연원" 한국사회사학회 (101) : 67-140, 2014

      9 Kloepfer, Michael, "Verfassungsrecht I Grundlagen, Staatsorganisationsrecht, Bezüge zum Völker- und Europarecht" C. H. Beck 2011

      10 Frotscher, Werner, "Verfassungsgeschichte" C. H. Beck 2018

      11 Maurer, Hartmut, "Staatsrecht I Grundlagen Verfassungsorgane Staatsfunktionen" C. H. Beck 2007

      12 Zippelius, Reinhold, "Kleine Deutsche Verfassgungsgeschichte Vom frühen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C. H. Beck 2006

      13 Roelleck, Gerd, "HStR II" 665-682, 1998

      14 Stolleis, Michael, "Geschichte des öffentlichen Rechts in Deutschland, Bd. 1" C. H. Beck 1988

      15 Gombrich, Ernst H., "Eine kurze Weltgeschichte für junge Leser" Dumont 2013

      16 성낙인, "Die koreanische Gesellschaft nach der Wiedervereinigung"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2 (22): 1-34, 2016

      17 Grimm, Dieter, "Die Zukunft der Verfassung" Suhrkamp 1991

      18 Vorländer, Hans, "Die Verfassung Idee und Geschichte" WC. H. Beck 1999

      19 Hartung, Fritz, "Deutsche Verfassungsgeschichte vom 15. Jahrhundert bis zur Gegenwart" K. F. Koehler Verlag Stuttgart 1964

      20 Scheyhing, Robert, "Deutsche Verfassungsgeschichte der Neuzeit" Carl Heymanns Verlag KG 1968

      21 Willoweit, Dietmar, "Deutsche Verfassungsgeschichte Vom Frankenreich bis zu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C. H. Beck 2019

      22 Buschmann, Arno, "Der Mainzer Reichslandfriede von 1235 - Anfänge einer geschriebenen Verfassung im Heiligen Römischen Reich" JuS 453-460, 1991

      23 Robbers, Gerhard, "Bundesverfassungsgerichtsgesetz" C. F. Müller 2005

      24 Kagerhuber, "Bernd, Das Gesetz als Geschichtsquelle am Beispiel des „Ewigen Landfriedens“ von 1495" Grin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영문명 : 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anl Law ->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1 1.46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