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가짜뉴스에 대한 청소년의 확증 편향 연구 : 경북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firmation Bias of Adolescents for Fake New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4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nfirmation bias of adolescents exposed to fake news. In other words, it examined whether the adolescents who had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those who had a strong positive perception had changed to strengthen their own views after being exposed to fake news about Nor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irmation bias of a group with a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has only a limited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fake news with negative content. Second, the confirmation bias of a group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had no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fake news with negative content. Rather, perception shift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confirmation bias.
      Previous studies have argued that those exposed to fake news have a confirmatory biased news consumption pattern. That is, news consumers accept fake news that enhances their existing perception and ignore fake news that is not. This meant that the impact of fake news could be limited. However, according to this study, a study of adolescents showed that those with unstable recognition tools could not ignore fake news that weakened their existing perception, but rather changed their existing perception under the influence of fake new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adolescents have found that the impact of fake news can be much stronger than that of adult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confirmation bias of adolescents exposed to fake news. In other words, it examined whether the adolescents who had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those who had a strong positive perception had changed to streng...

      This study analyzed the confirmation bias of adolescents exposed to fake news. In other words, it examined whether the adolescents who had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those who had a strong positive perception had changed to strengthen their own views after being exposed to fake news about Nor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irmation bias of a group with a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has only a limited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fake news with negative content. Second, the confirmation bias of a group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had no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fake news with negative content. Rather, perception shift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confirmation bias.
      Previous studies have argued that those exposed to fake news have a confirmatory biased news consumption pattern. That is, news consumers accept fake news that enhances their existing perception and ignore fake news that is not. This meant that the impact of fake news could be limited. However, according to this study, a study of adolescents showed that those with unstable recognition tools could not ignore fake news that weakened their existing perception, but rather changed their existing perception under the influence of fake new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adolescents have found that the impact of fake news can be much stronger than that of ad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가짜뉴스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확증 편향적 뉴스 소비 태도를 분석했다. 즉,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던 청소년들과 긍정적인 인식이 강했던청소년들이 북한에 대한 가짜뉴스에 노출된 뒤에 기존의 자기 견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의 확증 편향은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의 가짜뉴스 소비에 제한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의 확증 편향은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의 가짜뉴스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오히려 확증 편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식 변화가 일어났다.
      선행 연구들은 가짜뉴스에 노출된 성인들은 확증 편향적 뉴스 소비 형태를 띤다고주장했다. 즉, 뉴스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강화하는 가짜뉴스는 수용하고 그렇지 않은 가짜뉴스는 무시한다는 것이다. 가짜뉴스의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본 연구에 따르면, 확고한 인식 도구가 성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약화시키는 가짜뉴스를 무시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가짜뉴스의 영향으로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경우 가짜뉴스의 영향이 성인들에 비해 훨씬더 강력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가짜뉴스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확증 편향적 뉴스 소비 태도를 분석했다. 즉,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던 청소년들과 긍정적인 인식이 강했던청소년들이 북한에 대...

      본 연구에서는 가짜뉴스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확증 편향적 뉴스 소비 태도를 분석했다. 즉,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던 청소년들과 긍정적인 인식이 강했던청소년들이 북한에 대한 가짜뉴스에 노출된 뒤에 기존의 자기 견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의 확증 편향은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의 가짜뉴스 소비에 제한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의 확증 편향은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의 가짜뉴스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오히려 확증 편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식 변화가 일어났다.
      선행 연구들은 가짜뉴스에 노출된 성인들은 확증 편향적 뉴스 소비 형태를 띤다고주장했다. 즉, 뉴스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강화하는 가짜뉴스는 수용하고 그렇지 않은 가짜뉴스는 무시한다는 것이다. 가짜뉴스의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본 연구에 따르면, 확고한 인식 도구가 성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약화시키는 가짜뉴스를 무시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가짜뉴스의 영향으로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경우 가짜뉴스의 영향이 성인들에 비해 훨씬더 강력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영, "페이크 뉴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조사 결과" 2017

      2 이미리, "청소년학개론" 학지사 2014

      3 양정애, "일반 시민들이 생각하는 ‘뉴스’와 ‘가짜뉴스’" 5 (5): 1-16, 2019

      4 오세욱, "일반 국민들의 ‘가짜 뉴스’에 대한 인식" 3 (3): 1-13, 2017

      5 "에스엔유(SNU) 팩트체크"

      6 이은지,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뉴스 소비자의 확증편향과 관여도 매개효과: 진짜뉴스와 가짜뉴스 비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765-784, 2019

      7 최경숙, "발달심리학 : 아동 청소년기" 교문사 2001

      8 김대경, "대선후보 검증 보도 문제점과 개선 방향" (142) : 11-18, 2017

      9 김미경, "뉴스신뢰도, 뉴스관여도와 확증편향이 소셜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미치는 영향: 가짜뉴스와 팩트뉴스 수용자 비교"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52) : 5-48, 2019

      10 조은희, "뉴스 미디어의 이용과 신뢰가 가짜 뉴스의 인식, 식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9 (19): 180-213, 2019

      1 배영, "페이크 뉴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조사 결과" 2017

      2 이미리, "청소년학개론" 학지사 2014

      3 양정애, "일반 시민들이 생각하는 ‘뉴스’와 ‘가짜뉴스’" 5 (5): 1-16, 2019

      4 오세욱, "일반 국민들의 ‘가짜 뉴스’에 대한 인식" 3 (3): 1-13, 2017

      5 "에스엔유(SNU) 팩트체크"

      6 이은지,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뉴스 소비자의 확증편향과 관여도 매개효과: 진짜뉴스와 가짜뉴스 비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765-784, 2019

      7 최경숙, "발달심리학 : 아동 청소년기" 교문사 2001

      8 김대경, "대선후보 검증 보도 문제점과 개선 방향" (142) : 11-18, 2017

      9 김미경, "뉴스신뢰도, 뉴스관여도와 확증편향이 소셜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미치는 영향: 가짜뉴스와 팩트뉴스 수용자 비교"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52) : 5-48, 2019

      10 조은희, "뉴스 미디어의 이용과 신뢰가 가짜 뉴스의 인식, 식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9 (19): 180-213, 2019

      11 전준영, "개인화 알고리즘으로 필터 버블이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검"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1 (21): 369-381, 2018

      12 이재국, "가짜뉴스의 폐해와 규제 논란의 배경" (149) : 11-17, 2018

      13 유의선, "가짜뉴스의 법적 규제 — 사회적 법익 보호를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7 (17): 39-68, 2018

      14 한갑운, "가짜뉴스의 규율방법에 대한 법적 고찰" 법학연구소 8 (8): 59-90, 2017

      15 황용석,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 인터넷서비스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6 (16): 53-101, 2017

      16 지성우, "가짜뉴스와 언론, 미디어의 공적책임: 어떻게 바른 뉴스를정립할 것인가?" 2017

      17 염정윤, "가짜뉴스에 대한 인식과 팩트체크 효과 연구 : 기존 신념과의 일치 여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2 (62): 41-80, 2018

      18 이완수, "가짜뉴스(fake news)란 무엇인가? - 가짜뉴스 개념과 범위에 대한 다차원적 논의 -" 언론중재위원회 4 (4): 173-214, 2018

      19 염정윤, "가짜 뉴스와 팩트체크 효과 연구 : 수용자의 심리적 기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20 심홍진, "가짜 뉴스(Fake News)와 민주주의" KDF 1-21, 2017

      21 박보희, "檢, 대선 앞두고 ‘가짜 뉴스’와 전쟁 선포한 배경은"

      22 노성종, "‘가짜뉴스효과’의 조건: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가짜뉴스효과’의 견인 및 견제 요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99-149, 2017

      23 김지현, "‘가짜뉴스’ 대응책 고민하는 정치권・언론계" (554) : 100-103, 2017

      24 Maier, H. W., "Three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8

      25 Silverman, C., "This analysis shows how fake election news stories outperformed real news on facebook"

      26 Pariser, E., "The filter bubble : What the internet is hiding from you" Penguin Press 2011

      27 Piaget, J.,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the child"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52

      28 Piaget, J., "Six psychological studies" Cornwell University Press 1967

      29 Sunstein, C. R., "Republic: Divided democracy in the age of social me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30 Wadsworth, B. J.,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Longman 1979

      31 Piaget, J., "Piaget rediscovered: A report of the conference on cognitive studi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Cornwell University Press 1964

      32 Stroud, N. J., "Niche news: The politics of news cho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3 Baumgartner, J. C., "MyFace tube politics : Social networking web sites and political engagement of young adults" 28 (28): 24-44, 2010

      34 Hart, W., "Feeling validated versus being correct : A Meta-analysis of selective exposure to information" 135 (135): 555-588, 2009

      35 Dewey, C., "Facebook fake-news writer: ‘I think Donald Trump is in the White House because of me’"

      36 Nickerson, R. S., "Confirmation bias : A Ubiquitous phenomenon in many guises" 2 (2): 175-220, 1998

      37 Steinberg, L., "Adolescence" McGraw-Hill 2011

      38 오수정, "2018 청소년의 뉴스 이용 및 리터러시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