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부의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Appellation on the Communication and Intimacy of Married Cou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66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부의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과 사회복지학전공 한명화 지도교수 김문성 호칭은 상대를 부르는 상황에서 서로의 관계와 감정...

      부부의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과
      사회복지학전공 한명화
      지도교수 김문성

      호칭은 상대를 부르는 상황에서 서로의 관계와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부부 관계에서 간과해 왔던 배우자에 대한 호칭이 부부의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부부의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호칭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개인적 특성이 호칭의 선택과 의사소통 그리고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것이다.
      둘째, 부부가 선택하여 사용하는 긍정적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일원에 거주하고 있는 20대에서 60대까지의 기혼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260명의 유효 설문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은 이경희(1998)가 개발한 방법을 참고하여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에는 빈도 분석, t검증과 f분석, 요인 분석, 회기 분석과 경로 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학력, 생활수준, 결혼 기간, 가족 구성, 자녀수, 부부의 나이 차이, 현재 생활 만족도로 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자들의 생활 만족도는 매우 만족이 4명(1.5%), 만족이 35명(13.5%), 불만족이 168명(64.6%), 매우 불만족은 53명(20.4%)로 ‘불만족’ 또는 ‘매우 불만족’의 경우가 약 85% 정도로 대체로 생활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부의 호칭을 알아보기 위해 긍정적 호칭의 사용 정도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호칭의 종류 별 분포, 그리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부부의 호칭 종류에 대한 빈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부가 긍정적 호칭을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답변에 부정적(11.9%), 보통(31.2%), 긍정적(56.2%)로 나타나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답변이 88.2%(평균은 5점 만점에 3.64)를 차지했다. 부부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호칭은 ‘○○엄마, ○○아빠’로 34.2%를 나타냈으며,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호칭으로는 ‘여보, 당신’이 70%로 가장 많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3. 의사소통을 분석하기 위해 요인 분석을 이용하여 의사소통에 대한 하위변수들이 하나의 변수로 묶이는지 확인 하였다. 분석 결과 고유값이 2.349로 하나의 요인으로 묶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설명력이 58.72%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신뢰도 검증 값(Cronbach’s α)은 0.639로 신뢰할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종교, 학력, 생활 수준, 결혼 기간, 생활 만족도의 변수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 연령별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지만 생활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4. 부부간 친밀감을 알아보기 위해 배우자와의 생활이 따분하게 느끼는 감정의 변수로 알아본 결과 대체로 친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연령은 30대 이하(평균=3.64)가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친밀감이(평균=3.34)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생활의 만족이 높을수록 부부의 친밀감의 정도가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5. 친밀감 영향 분석에서는 첫째, 긍정적 부부 호칭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회기 분석 결과 유의 수준 0.05에서 긍정적 부부 호칭이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9.244, p<0.01). 둘째, 의사소통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회기 분석 결과 의사소통이 친밀감에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긍정적 영향(베타=0.643)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13.488, p<0.01). 이 분석 결과는 부부간의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부부의 친밀감의 정도가 높아짐을 보여준다. 셋째, 호칭 및 의사소통과 친밀감과의 다중회기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부부의 긍정적 호칭이 부부의 친밀감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0.556이고, 의사소통을 걸쳐 친밀감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0.321(0.499*0.643)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총 효과는 0.877(직접효과 + 간접효과)이다.
      이 연구에 의하면 부부의 긍정적 호칭은 부부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의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Influence of the Appellation on the Communication and Intimacy of Married Couple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Studies, HAN, Myunghwa Academic Adviser, ...

      ABSTRACT

      The Influence of the Appellation
      on the Communication and Intimacy of Married Couple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Studies, HAN, Myunghwa
      Academic Adviser, KIM, Moonseong

      The appellation shows interrelationship itself and makes their relations better or worse. Therefore, the appellation used by a married couple, which has been ignored in marital relations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ir communication and intimac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o verify the impact of appellation on their communication and intimacy of a married couple, and the difference of appellation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developed. The first question is i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 married couple can have an effect on the choice of appellation, their communication and their intimacy. The second one is if the affirmative appellation which a married couple choose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and intimacy.
      For solving thes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carried out with referring to the method which was developed by Lee Kyeonghee(1998) covers 300 married people from aged 20’s to 60’s living in Seoul and Kyeonggi-do area. Among them, 260 valid surveys are analyzed with methods of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below.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are composed of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the standard of living, marriage duration, family members, number of children, age difference of a couple,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research subjects is as follows. Four people(1.5%) are very satisfied with their life, and 35 people(13.5%) satisfied. 168 people(64.6%) aren’t satisfied, and 53 people(20.4%) are very dissatisfied with their life. Considering about 85 percent of the research subjects are dissatisfied and very dissatisfied with their life, most people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life.
      2. As for appellation of a married couple, the level of using the affirmative appellation, the dispersion of kinds of currently used appellations, and the kinds of desirable appellation of a married couple a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As for the level of using the affirmative appellation, 11.9 percent of the research subjects give a negative answer, 31.2 percent a litmusless answer, and 56.2 percent a positive answer. Therefore, 88.2 percent of the research subjects answer affirmatively(An average is 3.64 out of 5). Most used appellations are ‘OO Umma,’ and ‘OOAbba’ which 34.2 percent of the research subjects are using. As for the most desirable appellations of a married couple, 70 percent of the research subjects choose ‘Yeobo,’ and ‘Dangsin.’
      3. To analyse the level of communication, first of all, it is examined that subordinate variables in communication can be combined to a variable by the factor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y can be a variable according as the eigen value is 2.349, and the explanation power is 58.72 percent. The degree of reliability(Cronbach’s α) is 0.639, which means the level of that can be acceptable. The gender, age, religion, academic background,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re us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abl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but valid difference is showed i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4. To research the couple’s intimacy, the emotion variable of feeling marital life tedious is used,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research subjects mostly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Considering a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the intimacy level of an age group under 30s is high (an average is 3.64) and a group which shows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also shows a high level intimacy(an average is 3.34). The more satisfied the research subjects are, the higher intimacy of a couple they show.
      5.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of intimacy, first, affirmative appellations of a married couple give a valid effect on communication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t=9.244, p<0.01). Second,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about impact of communication on intimacy shows communication give an valid positive impact (β=0.643) on intimacy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t=13.488, p<0.01).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ore communication there is between a couple, the higher intimacy of a couple there is.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intimacy, the degree of direct effect of the affirmative appellations on their intimacy is 0.556, and the degree of indirect effect on intimacy through communication is 0.321(0.499*0.643). Therefore, total effect (direct effect + indirect effect) is 0.877.
      This research shows that affirmative appellations of a married couple positively influence on marital relations, and the level of impact of appellations of a married couple give on their communication and their intimacy is very significa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3
      • 목 차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3
      • 제3절 연구 문제 4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절 부부의 호칭 6
      • 1. 호칭의 개념 6
      • 2. 호칭의 기능 8
      • 3. 호칭의 유형 11
      • 4. 부부 호칭에 대한 선행 연구 13
      • 제2절 부부의 의사소통 19
      • 1. 의사소통의 개념 19
      • 2. 의사소통의 유형 20
      • 3. 부부의 의사소통에 대한 선행 연구 24
      • 제3절 부부의 친밀감 27
      • 1. 부부의 친밀감의 개념 27
      • 2. 친밀감의 이론 30
      • 3. 부부의 친밀감에 대한 선행 연구 34
      • 제4절 부부의 의사소통과 친밀감의 관계 36
      • 제3장 연구 설계 및 분석 방법 40
      • 제1절 연구 설계 40
      • 1. 연구 모형 40
      • 2. 연구 가설 43
      • 제2절 연구 분석 방법 44
      • 1. 조사 대상 44
      • 2. 자료 수집 44
      • 3. 설문 구성 45
      • 4. 측정 도구 46
      • 제4장 연구 결과와 해석 49
      • 제1절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9
      • 제2절 부부의 호칭 52
      • 1. 부부의 호칭 분석 52
      • 2.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부의 긍정적 호칭사용 차이 분석 54
      • 제3절 의사소통 56
      • 1. 의사소통 분석 56
      • 2.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 차이 분석 58
      • 제4절 친밀감 61
      • 1. 친밀감 분석 61
      • 2.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친밀감 차이 분석 67
      • 제5절 친밀감 영향 분석 69
      • 1. 긍정적 부부 호칭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69
      • 2. 의사소통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70
      • 3. 호칭 및 의사소통과 친밀감과의 다중회귀 분석 70
      • 제5장 결론 73
      • 제1절 연구의 요약 73
      • 제2절 결론 및 제언 76
      • 참고문헌 79
      • 1. 국내 문헌 79
      • 2. 외국 문헌 84
      • 설문지 86
      • Abstract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