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학생의 일반중학교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Study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15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5 (15): 157-184, 2002

      2 김용래, "학교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 분석" 17 : 3-37, 2000

      3 유윤희, "학교적응·불안·학업성취간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4

      4 김정환, "학교의 물리적 환경변인이 아동의 정의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1

      5 민병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6 이상필, "학교생활 적응수준에 따른 학업 성적 및 행동특성의 차이분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7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통계"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지성애,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27 (27): 1-15, 2006

      9 이예승, "청소년의 학교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여자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10 김효진, "청소년의 출생순위와 성에 따른 자아개념, 학교생활 적응능력 및 사회적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5 (15): 157-184, 2002

      2 김용래, "학교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 분석" 17 : 3-37, 2000

      3 유윤희, "학교적응·불안·학업성취간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4

      4 김정환, "학교의 물리적 환경변인이 아동의 정의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1

      5 민병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6 이상필, "학교생활 적응수준에 따른 학업 성적 및 행동특성의 차이분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7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통계"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지성애,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27 (27): 1-15, 2006

      9 이예승, "청소년의 학교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여자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10 김효진, "청소년의 출생순위와 성에 따른 자아개념, 학교생활 적응능력 및 사회적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1 이경님,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2 노숙영, "중학생의 학교적응, 학업성취, 정서 및 문제행동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7

      13 이규미,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83-398, 2005

      14 이규미,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27-40, 2008

      15 전용태, "중고등학생의 욕구수준과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16 이귀숙,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아동을 위한 학교적응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0

      17 김용래, "정의적 특성과 그 선행변인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9 : 5-113, 1993

      18 김성화, "자아존중감 증진 집단 상담이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9 이영재,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8

      20 임정순, "아동의 의존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3

      21 정현희, "아동용 학교적응 평가척도의 표준화 연구" 605-610, 2002

      22 이유선, "사회적 지지와 자기지각이 장애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23 박현선, "빈곤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24 이정은, "남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79-102, 2007

      25 최장숙, "국민학교 아동의 충동성 성격 특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26 신현숙, "교사보고형 초등학생 학교적응행동 평정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3 (3): 1-26, 2006

      27 Cowen, E. L, "Relationships between retrospective parent reports of developmental milestones and school adjustment at ages 10 to 12 years" 33 (33): 400-406, 1994

      28 Kurdek, L. A, "Relation of eighth graders' family structure, gender, and family environment with academic performance" 80 (80): 90-94, 1988

      29 Ladd, G. W,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67 (67): 1103-1118, 1996

      30 Berndt, T, "Friends' influence on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66 (66): 1312-1329, 1995

      31 DuBois, D. L,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arly adolescence" 56 (56): 405-414, 1994

      32 Carlson, E. A, "Early environmental support and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as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in middle adolescence" 14 (14): 72-94, 1999

      33 Flanagan, C. A, "Changes in parents' work status and adolescents' adjustment at school" 64 (64): 246-257, 1993

      34 Berndt, T. J,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 stressful and desirable aspects of the transition to junior high school" 5 (5): 123-142, 1995

      35 Roeser, R. W, "Adolescent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Relation to longitudinal changes in academic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8 (8): 123-158, 1998

      36 교육과학기술부, "2007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