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디자인 요인(게임 시나리오, 게임 이용 편리성, 게임 비주얼)이 게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각된 상호작용성, 실재감, 이용자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95266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2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디자인 요인(게임 시나리오, 게임 이용 편리성, 게임 비주얼)이 게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각된 상호작용성, 실재감, 이용자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디자인 요인(게임 시나리오, 게임 이용 편리성, 게임 비주얼)이 게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각된 상호작용성, 실재감, 이용자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이용자 3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게임 디자인 요인의 하위요소(게임 시나리오, 게임 이용 편리성, 게임 비주얼)와 지각된 상호작용성, 실재감, 이용자 몰입, 게임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랩 방법을 활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모바일 게임 디자인의 하위 요소인 게임 시나리오, 게임 이용 편리성, 게임 비주얼이 모두 게임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게임 디자인의 모든 하위요소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실재감은 게임 이용 편리성 및 게임 비주얼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나, 게임 시나리오와 구매의도 간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용자 몰입은 게임 디자인의 모든 하위요소와 게임 구매의도 간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게임 디자인 요인이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지각된 상호작용성, 실재감, 이용자 몰입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게임 디자인 요인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게임 산업에서 효과적인 디자인 전략을 개발하는 데 구체적이고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mobile game design factors (game scenario, ease of use, and game visuals) on purchase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interactivity, mediated presence, and user immersion. This study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mobile game design factors (game scenario, ease of use, and game visuals) on purchase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interactivity, mediated presence, and user immers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383 mobile game users and employ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 metho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ame design factors (game scenario, ease of use, and game visuals), perceived interactivity, mediated presence, user immers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all sub-elements of mobile game design game scenario, ease of use, and game visuals had significant impacts on purchase intention. Mediating effect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interactivit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elements of game design and purchase intention. Mediated presence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of ease of use and game visuals on purchase intention, but it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scenario and purchase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User immersion demonstrat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elements of game design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mobile game design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with perceived interactivity, mediated presence, and user immersion playing important mediating roles in this process. These findings provide specific and useful insights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design factors and purchase intention, and for developing effective design strategies in the gaming industry.
시니어의 아코디언 연주훈련이 심리·정서적 및 사회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AI를 적용한 가구 디자인 특성이 판매자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EO Messages in Sustainability Reports: Evidence from Korea
지역사회 생활문화축제의 참여 활성화 제고 방안 연구: 우쿨렐레 생활문화동호회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