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벼 유전자원의 수당립수 증진 유전자 유전형 분석 = Genotype analysis of genes involved in increasing grain number per panicle in rice germpla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00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벼 수량성 증진을 위하여 수당립수 증진 유전자로 보고된 5종의 유전자에 대한 분자표지를 검정하고 유전자원 479점에서 이들의 유전자에 대한 유전형을 검정하였다. 판독이 용이한 Gn1a및 DEP...

      벼 수량성 증진을 위하여 수당립수 증진 유전자로 보고된 5종의 유전자에 대한 분자표지를 검정하고 유전자원 479점에서 이들의 유전자에 대한 유전형을 검정하였다. 판독이 용이한 Gn1a및 DEP1, Apo1유전자의 In/del 분자표지를 각각 개발하였고 Ghd7과 Nal1 유전자에 대하여서는 기존 보고된 SNP 분자표지를 이용하여 편리성을 검정하였다. 이들 분자표지는 아가로즈젤에서 각각의 유전형 판독이 용이하기에 벼 수량성 향상을 위한 분자육종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유전자원 479점에서 수당립수 증진 유전자 5종의 유전형을 분석하였을 때 총 13개의 haplogype으로 분류되었다. 대부분의 Indica 품종과 Japonica 품종은 haploptype 1과 haplotype 13에 속하였다. 나머지 haplotype에 속한 55점의 유전자원은 수당립수 증진 유전자에 대한 유전다양성을 보유한 자원으로 유전체 분석 등을 위한 핵심집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전자원 396점의 수량구성요소를 비교하였을 때, Nal1을 제외한 4종의 수당립수 증진 유전자의 수량증진 대립유전자형에서 이삭 수가 0.6 ~ 0.8개/주 감소하였으나 수당립수는 이삭당 27 ~ 29개 증진되었다. Nal1 유전자는 유전적 배경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Nal1-japonica 대립유전자형의 수당립수 증진 효과보다 Nal1-indica 대립유전자형이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추측되었다. 앞으로 본 논문에서 검정된 수당립수 증진 분자표지 5종과 유전자원의 유전형을 정보를 바탕으로 벼 수량성 증진 육종에 활용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ice is an important staple food in the world and rice yield is one of the main traits for rice breeding. Several genes involved in increasing the yield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map-based gene cloning within natural variations in rice. These iden...

      ARice is an important staple food in the world and rice yield is one of the main traits for rice breeding. Several genes involved in increasing the yield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map-based gene cloning within natural variations in rice. These identified genes are good targets for introducing a genetic trait in molecular breeding. Here, we chose five genes reported to be involved in increasing grain number per panicle in rice; Gn1a, dep1, Apo1, Ghd7, and Nal1. We developed In/Del markers for Gn1a, and dep1, Apo1, and applied the reported SNP markers for Ghd7 and Nal1. We were easily able to examine the genotype of each gene on agarose gel. We tested the genotypes on 479 rice resources that we held with evaluated molecular markers. According to the genotype of each gene, rice resources were divided into 13 haplotypes, and most of the Indica and Japonica varieties were included in haplotypes 1 and 13, respectively. When we examined the effect of each gene on grain number per panicle and panicle number per plant, panicle number per plant in the yield negative allele group for each gene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0.3 to 0.8 compared to that in the yield positive allele group. However, the number of yield positive alleles for each gene was higher by about 21 to 27 grains per panicle than that of yield negative alleles. Although most of the varieties were grouped in haplotypes 1 and 13, we believe that this genotype information with evaluated molecular markers will be useful in rice breeding for increasing the yield with grain number per panicl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