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張愛玲, "색, 계", 랜덤하우스코리아, 랜덤하우스, 2008
2 장애령, "반생연", 문일, 문일, 1999
3 Milne, Lorus J, "「산」", タイム ライフ ブックス, 문학사상, 1976
4 장애령, "적지지련", 시공사, 시공사, 2012
5 서영은, "강물의 끝", 문학사상사, 문학사상사, 1984
6 천이두, "원숙과 패기", 문학과 지성, 1976
7 김순진, "첫번째 향로", 문학과지성사, 2005
8 최정희, "최정희 선집", 어문각, 어문각, 1974
9 백철, "신문학사조사", 백양당, 1947
10 곽종원, "「崔貞熙論」", 문예, 1949
11 황수진, "「최정희론」",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건국어문학 21ㆍ22집, 1997
12 최정희, "젊은날의 증언", 육민사, 1962
13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79
14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성문각, 1982
15 조연현, "현대한국작가론", 文藝社, 문예사, 1953
16 박죽심, "최정희 문학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7 황수남, "최정희 소설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8 조연현, "한국현대작가연구", 새문사, 새문사, 1981
19 김광섭, "「人間 崔貞熙 女史」", 조광, 1939
20 林善愛, "「최정희 소설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실, 국문학연구 제13집, 1990
21 조병무, "「최정희론」, 탑돌이", 범우사, 1976
22 이재선, "전쟁체험과 50년대 소설", 현대문학, 1989
23 최정희, "「나의 문학생활자서」", 백민, 1948
24 구인환, "「한국여류작가의 기법」", 아세아 여성 연구 9집, 1970
25 강진구, "「국제결혼과 혼혈의 탄생」", 현대문학의 연구 제45집, 2011
26 유남옥, "「최정희 노년기소설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어문논집 제7집, 1997
27 김동리, "「女性作家의 回顧와 展望」", 문화, 1947
28 서영인, "「순응적 여성성과 국가주의」",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 2005
29 김은주, "「張愛玲 十八春 의 여성형상」", 중국어문논총 제22집, 2002
30 김복순, "나는 여자다-방법으로서의 젠더", 소명출판, 2012
31 이혜숙, "「최정희 소설의 여성의식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2 서정자, "「일제강점기 한국 여류소설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33 이병순(Byung Soon Lee), "「현실추수와 낭만적 서정의 세계」",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 26호, 2005
34 정창범, "「결백의 정신」, 한국단편문학대계5", 삼성출판사, 1969
35 김윤식, "「모녀가 완성한 어떤 소설의 미학」", 문학사상, 1980
36 심진경, "「여성작가 친일소설 연구」, 배달말", 배달말학회, 2003
37 이병순,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모성 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성문학연구 13, 2005
38 김주리, "「비체화한 모성의 우울증과 육친애」", 인문연구 55, 2008
39 김윤식, "「인형의식의 파멸」, 한국문학사논고", 법무사, 1974
40 이병순,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전쟁의 의미」", 한국사상문화학회, 한국사상과 문화 제50 집, 2009
41 홍기삼, "「최정희와 그 문학」, 신한국문학전집12", 어문각, 1970
42 김혜정, "「최정희의 ‘天脈’에 나타난 여성성」", 개신어문학, 1992
43 신춘호, "「해방직후 농민소설연구」, 학술지 29집", 건국대 인문사회과학편, 1985
44 김홍월(Jin, Hong Yue),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여성의식 비교 연구", 중국인문학회, 중국인문과학 57 집, 2014
45 김복순(Kim Bok-soon), "「소녀의 탄생과 반공주의 서사의 계보」", 한국근대문학회, 한국근대문학연구 18 호, 2008
46 김인철, "「장애령의 반공소설- 앙가 ㆍ 적지지련 」", 중국인문과학 제28 집, 2004
47 함인희, "「한국전쟁, 가족, 여성의 다중적 근대성」", 사회와 이론 2호, 2006
48 홍준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남자의 성, 여자의 성", 아난케, 2008
49 황유정, "「한국의 여성고용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4
50 김윤경, "1950년대 미국문화의 유입과 여성의 근대경험", 한국비평문학회, 비평문학 34 호, 2009
51 강이수, "해방 후 한국경제의 변화와 여성의 노동경험", 여성과 역사, 2006
52 신양숙, "「여자의 병: 해체 페미니즘과 히스테리아」", 열음사, 외국문학 43, 1995
53 신동욱, "「崔貞熙의 作品에 나타난 女性과 人間意識」", 청파문학 13집, 1980
54 조연현, "「感銘의 所在 「風流잡히는 마을」을 읽고」", 문예, 1949
55 정영자, "「최정희 소설연구-내용적 특성을 중심으로」", 睡蓮語文論集 제13 집, 1986
56 박금주, "“한국 근대 여성소설의 타자적 여성성 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02
57 김현주, "「최정희 친일과 불안의식의 대응 양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3
58 방민호, "1930년대 후반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의미", 현대소설 연구 30, 2006
59 김동식, "「여성과 모성을 넘어서」, 한국소설문학대계 31", 동아출판사, 1995
60 박정애,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의 특성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61 심진경(Shim Jin-Keong), "「최정희 문학의 여성성-여성작가로 산다는 것」", 한국근대문학회, 한국근대문학연 구 제7집, 2006
62 임진영, "「8ㆍ15직후 단편소설 연구」, 해방공간의 문학연구 Ⅱ", 태학사, 1990
63 전혜자, "「母權에의 유토피아 지향-해방기 최정희 소설 연구」", 어문논집, 1994
64 김복순, "「범주 우선성의 문제와 최정희의 식민지 시기 소설」", 상허학회, 2008
65 김양선, "「일제 말기 여성작가들의 친일담론 연구」, 어문연구", 가 을호, 2005
66 신영희, "「태평양전쟁기 최정희의 ‘군국모성’에 대한 고찰」", 경성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4
67 노승희, "「레즈비언ㆍ게이 이론」, 김성곤 편저, 21세기 문예이론", 문학사 상, 2005
68 이호숙, "「결백한 도전과 수용: 최정희론」, 페미니즘과 소설비평", 한길사, 1995
69 최정아, "「최정희의 녹색의 문 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 탐구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 소설연구 44집, 2010
70 김형자, "「최정희 소설의 바람 공간적 의미」, 한국 여성 소설 연구", 민지 사, 1991
71 김재용, "「여성성과 국민주의의 결합으로서의 친일문학」, 실천문학", 봄호, 2004
72 황수진, "「최정희론-‘녹색의 문’과 ‘끝없는 낭만’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제21집, 1997
73 이상신, "「최정희의 풍류잡히는 마을 에 나타난 쪽제비와 닭의 표상」", 장안논총 13집, 1993
74 홍석표, "「장아이링과 최승희, 한국전쟁 서사 그리고 김일성 사망 소식」", 중국어문학지 제48집, 2014
75 이선옥, "「평등에 대한 유혹-여성 지식인과 친일의 내적 논리」, 실천문학", 가을호, 2002
76 김연숙, "「저널리즘과 여성작가의 탄생--30년대 여기자 집단을 중심 으로」", 여성문학 14집, 2005, 1920
77 엄미옥, "「한국 전쟁기 여성 종군작가 소설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21 집", 한국근대문학회, 2010
78 김정숙, "「최정희의 해방기 소설과 녹색의 문 에 나타난 현실 인식의 변 화」", 한국비평문학회, 비평문학 제34호, 2009
79 서여진, "「해방 후 최정희 소설 연구: 여성 목소리의 재현양상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80 최경희, "「친일 문학의 또 다른 층위-젠더와 <야국초>」, 해방전후사의 재 인식1", 책세상, 2006
81 박재섭, "「해방직후 소설에 나타난 선택적 행위」, 이우용, 해방공간의 문 학연구", 태학사, 1990
82 정은아, "張愛玲과 최정희 소설의 비교연구: 1930-40년대 소설의 여성형 상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83 홍순애, "「국민문학에 나타난 파시즘 양상연구; 최정희와 野菊抄」, 한민족 문화학회", 봄호, 2004
84 김순진, "「張愛玲 소설 연구 - 여성주의 시각으로 본 몸․권력구조․서사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85 이상경, "「식민지에서의 여성과 민족의 문제-일제 파시즘하의 최정희와 임 순득」, 실천문학", 봄호, 2003
86 김금란, "「장애령과 최정희의 소설에서의 여성비극의식 비교연구」, 서울여 자대학교 연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87 김윤환, "「경제체제개혁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문제연구소, 중국여성연구", 숙명여자대학교,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