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 비교연구 : 여성형상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female consciousness in the works of Choi Junghee and Zhanf Ailing : focused on feminine imagin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1872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813.62823.7 판사항(6)

      • DDC

        895.734895.13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 237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동하
        참고문헌: p. 223-23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i Junghee and Zhang Ailing started to create their works since 1930s-40s over for 40 years. Choi Junghee is a winner in '1st Korean Women's Literature Award' that is the first literature award for female writers in Korea. This shows that her female consciousness stands high in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On the other hand, Zhang Ailing, who is a writer deeply digging into the human mentality, particularly the women's one in China, receives attention from her young age, 23 years old starting her creation and does so more by reviewing her works.
      In respect to the creation of Choi Junghee and Zhang Ailing, the period and its pattern are similar and their start are so. By the women's resistance in the works at the start of full-scale creation, we can find the common backgrounds, that is, violence and hysteria. Their works show very fierce aspects of women. There are common backgrounds in female imaginary and female consciousness of their works except in the early times to the middle and late times. So even changing and deepening their female consciousness continuously, the common backgrounds are continuously found. Also, the difference in the common background of their works repeatedly deepens like the common backgrounds during their lifetime. Based on this, I started my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vertically analyzes and compares the works of two writers during their lifetime. Because the critical mind on women being central in their works changes over period and it is equally showed by two writers. This same changing aspec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writers in their identity make the base to interpret newly their works.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wo writers shows detailed features of their works. In Chapter 2, I reinterpreted their works over times by their common ground and difference in the common background. In Chapter 3, based on this reinterpretation, I analyzed the change of their works over time and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consciousness of both countrie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by comparison and the second purpose is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ies of both countries.
      In Section 1 of Chapter 2, I found the identity of hysteria and violence of female characters in their works before 1945. The violence of female characters in the works of Choi Junghee is straightforward and clear, and the one in the works of Zhang Ailing is unclear. Hysterical and violent method of resistance shows that the repression of patriarchy that they resist is exclusive.
      In Section 2 of Chapter 2, I analyzed 'non-independence' that female characters were not central in the relationship of male characters. In the common background 'non-independence', Choi Junghee shows non-independence related to the role of instinct and Zhang Ailing does so related to the values of love. 'Non-independence' shows that these two writers focus on detailed women's problem unlike before.
      In Section 3 of Chapter 2, I analyzed 'double women's problem' in their works of 1950s. They commonly used the indirect expression modes of double structure to convey the meaning of changing the fixed ideas of unfamiliar meanings, that is, basic consciousness level. Meanwhile, in respect to the deprivation of women, Choi Junghee focuses on the economical ․ social issues and Zhang Ailing does so on love ․ individual problems. Their approaching processes to basic areas by double structure are same, but their key points of deprivation forming the background of critical mind are different. These factors show Choi Junghee's social consciousness and Zhang Ailing's individual consciousness. Their difference can be summarized as 'social consciousness' and 'individual consciousness' before 1945 and from 1945 to 1950. This is also same in 1960s and 1970s.
      In Section 4 of Chapter 2, I analyzed the deprivation of 'tolerant ethical belief' in their works of 1960s. These two writers show that though the rights of women has grown, women are still in front of unstable choices and are sacrificed by inequally ethical standards as they are excluded within tolerant ethical belief. For showing deprivation of tolerant ethical belief, both writers reinstated women being sacrificed in the past in their works. However, the ways to be returned as a woman in the past for this reinstatement are different. Choi Junghee cited female characters in the past, but Zhang Ailing did so in her works of the past.
      In Section 5 of Chapter 2, I analyzed the writer's personal desire in their works. In this period, both writers showed their own desire serenely and felt the lack of not being realized any more. As Choi Junghee felt the lack of termination of social struggle, but Zhang Ailing did so the lack of termination of love.
      In Chapter 3, I summarized the changing pattern of their works over time by totally 5 areas and after then analyzed their relationship. Over period, the common female consciousness of their works and difference in it are gradually deepened. In addition, as the extremeness is reinforced in the works of Choi Junghee, but the hysteria is weakened in the ones of Zhang Ailing; the point showing the theme and its meaning in the works of both writers becomes deepened ․ externalized. These five patterns, that is, 'deepening of common female consciousness', 'deepening of difference in the common background', 'reinforcement of extreme in the works of Choi Junghee', 'weakening of hysteria in the works of Zhang Ailing' and 'deepening ․ externalization pattern of point showing the meaning' are related to the pattern of 'reinforcement of the writer's own personal inclination'. By this, I could infer that 'social consciousness' of Choi Junghee and 'individual(human) consciousness' Zhang Ailing in their works were relatively drawn by motivation of social reflection in the early times and then by one of personal reflection. However, as this is just inference and assumption, it is required to analyze statistically more by connection with other comparative studies among other writers of both countries similar to this study.
      번역하기

      Choi Junghee and Zhang Ailing started to create their works since 1930s-40s over for 40 years. Choi Junghee is a winner in '1st Korean Women's Literature Award' that is the first literature award for female writers in Korea. This shows that her female...

      Choi Junghee and Zhang Ailing started to create their works since 1930s-40s over for 40 years. Choi Junghee is a winner in '1st Korean Women's Literature Award' that is the first literature award for female writers in Korea. This shows that her female consciousness stands high in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On the other hand, Zhang Ailing, who is a writer deeply digging into the human mentality, particularly the women's one in China, receives attention from her young age, 23 years old starting her creation and does so more by reviewing her works.
      In respect to the creation of Choi Junghee and Zhang Ailing, the period and its pattern are similar and their start are so. By the women's resistance in the works at the start of full-scale creation, we can find the common backgrounds, that is, violence and hysteria. Their works show very fierce aspects of women. There are common backgrounds in female imaginary and female consciousness of their works except in the early times to the middle and late times. So even changing and deepening their female consciousness continuously, the common backgrounds are continuously found. Also, the difference in the common background of their works repeatedly deepens like the common backgrounds during their lifetime. Based on this, I started my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vertically analyzes and compares the works of two writers during their lifetime. Because the critical mind on women being central in their works changes over period and it is equally showed by two writers. This same changing aspec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writers in their identity make the base to interpret newly their works.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wo writers shows detailed features of their works. In Chapter 2, I reinterpreted their works over times by their common ground and difference in the common background. In Chapter 3, based on this reinterpretation, I analyzed the change of their works over time and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consciousness of both countrie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by comparison and the second purpose is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ies of both countries.
      In Section 1 of Chapter 2, I found the identity of hysteria and violence of female characters in their works before 1945. The violence of female characters in the works of Choi Junghee is straightforward and clear, and the one in the works of Zhang Ailing is unclear. Hysterical and violent method of resistance shows that the repression of patriarchy that they resist is exclusive.
      In Section 2 of Chapter 2, I analyzed 'non-independence' that female characters were not central in the relationship of male characters. In the common background 'non-independence', Choi Junghee shows non-independence related to the role of instinct and Zhang Ailing does so related to the values of love. 'Non-independence' shows that these two writers focus on detailed women's problem unlike before.
      In Section 3 of Chapter 2, I analyzed 'double women's problem' in their works of 1950s. They commonly used the indirect expression modes of double structure to convey the meaning of changing the fixed ideas of unfamiliar meanings, that is, basic consciousness level. Meanwhile, in respect to the deprivation of women, Choi Junghee focuses on the economical ․ social issues and Zhang Ailing does so on love ․ individual problems. Their approaching processes to basic areas by double structure are same, but their key points of deprivation forming the background of critical mind are different. These factors show Choi Junghee's social consciousness and Zhang Ailing's individual consciousness. Their difference can be summarized as 'social consciousness' and 'individual consciousness' before 1945 and from 1945 to 1950. This is also same in 1960s and 1970s.
      In Section 4 of Chapter 2, I analyzed the deprivation of 'tolerant ethical belief' in their works of 1960s. These two writers show that though the rights of women has grown, women are still in front of unstable choices and are sacrificed by inequally ethical standards as they are excluded within tolerant ethical belief. For showing deprivation of tolerant ethical belief, both writers reinstated women being sacrificed in the past in their works. However, the ways to be returned as a woman in the past for this reinstatement are different. Choi Junghee cited female characters in the past, but Zhang Ailing did so in her works of the past.
      In Section 5 of Chapter 2, I analyzed the writer's personal desire in their works. In this period, both writers showed their own desire serenely and felt the lack of not being realized any more. As Choi Junghee felt the lack of termination of social struggle, but Zhang Ailing did so the lack of termination of love.
      In Chapter 3, I summarized the changing pattern of their works over time by totally 5 areas and after then analyzed their relationship. Over period, the common female consciousness of their works and difference in it are gradually deepened. In addition, as the extremeness is reinforced in the works of Choi Junghee, but the hysteria is weakened in the ones of Zhang Ailing; the point showing the theme and its meaning in the works of both writers becomes deepened ․ externalized. These five patterns, that is, 'deepening of common female consciousness', 'deepening of difference in the common background', 'reinforcement of extreme in the works of Choi Junghee', 'weakening of hysteria in the works of Zhang Ailing' and 'deepening ․ externalization pattern of point showing the meaning' are related to the pattern of 'reinforcement of the writer's own personal inclination'. By this, I could infer that 'social consciousness' of Choi Junghee and 'individual(human) consciousness' Zhang Ailing in their works were relatively drawn by motivation of social reflection in the early times and then by one of personal reflection. However, as this is just inference and assumption, it is required to analyze statistically more by connection with other comparative studies among other writers of both countries similar to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정희와 장아이링은 1930-40년대부터 창작활동을 시작하여 40여년이 넘게 창작활동을 했다. 최정희는 한국에서 여성을 작가대상으로 실시한 문학상으로는 처음인 ‘제1회 한국여류문학상’ 수상자이다. 이는 최정희의 여성의식이 한국 문학사에 있어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보여준다. 한편, 중국에서 인간의 심리, 특히 여성의 심리를 깊게 파고든 작가로 잘 알려져 있는 장아이링은 창작활동을 시작했던 23세의 어린나이부터 주목받았고 최근에도 다시 작품이 재조명되며 크게 주목받고 있다.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작품 활동을 보면, 그 기간과 호흡이 비슷하며 출발점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본격적 창작활동의 시작점에 놓인 작품들에 나타나는 여성의 저항에는 폭력과 히스테리라는 공통점이 발견된다. 이렇듯 이들의 작품에는 여성문제의 강렬한 일면에 관한 동질성이 나타난다. 창작활동 초기 이외에도 중기, 후기에 이르기까지 이들의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형상, 여성의식에는 공통점이 나타난다. 이들의 여성의식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심화되는 와중에도 그 공통점은 계속해서 발견된다. 또한, 이들의 공통점 내에서의 차이점도 공통점에서와 같이 심화되는 양상으로 전생애에 걸쳐 반복되어 나타난다. 이에 착안해 본고의 비교연구가 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두 작가가 전생애에 걸쳐 창작한 작품을 수직적으로 분석해 비교한다. 작품의 중심을 차지하는 여성에 관한 문제의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가 두 작가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동일한 변화 양상과 동일성내에서의 두 작가의 차이점은 이들의 작품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게 하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이 같은 차이점은 이들 작품의 세밀한 특징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제2장에서는 이들의 공통점과 공통점 내에서의 차이점을 통해 이들 작품을 시대별로 재해석한다. 제3장에서는 이러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두 작가의 작품의 시대별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것이 양국의 사회의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해 본다. 본고의 1차적 목적은 비교를 통한 재해석을 하는 데에 있고 2차적 목적은 두 작가와 양국사회의 관계를 밝혀내는 데에 있다.
      제2장 제1절에서는 1945년 이전시기에 이들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인물의 히스테리와 폭력의 동일성을 찾았고 폭력의 차이를 분석했다. 최정희의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인물의 폭력은 직선적이고 분명한 성격을 띠고 있고, 장아이링의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인물의 폭력은 불분명한 성격을 띠고 있다. 저항의 방식이 히스테리하고 폭력적인 것은 이들 작가가 저항하고자 한 가부장제의 억압이 폐쇄적 형태였음을 드러낸다.
      제2장 제2절에서는 1945-1950년에 이들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이 남성인물과의 관계에 있어 중심을 차지하지 못하는 ‘비주체성’을 분석했다. 이 같은 비주체성이라는 공통점 안에서 최정희는 본능의 역할에 관한 비주체성을, 장아이링은 사랑의 세계관에 관한 비주체성을 드러낸다. ‘비주체성’은 이들 두 작가가 이전과 달리 구체적인 여성문제를 찾아가고 있음을 드러낸다.
      제2장 제3절에서는 1950년대에 이들의 작품에 드러나는 ‘이중적 여성문제’를 분석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낯선 의미, 즉 기초의식 층위에서의 고정관념을 전복하는 의미를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이중구조의 우회적 표현방식을 활용했다. 한편, 여성의 박탈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 최정희는 경제ㆍ사회적 문제에, 장아이링은 사랑ㆍ개인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중구조를 통한 기초적 영역에의 접근과정은 동일했지만 문제의식의 바탕을 형성하고 있는 박탈의 핵심지점이 서로 다른 것이다. 이는 최정희의 사회적 의식, 장아이링의 개인적 의식을 드러낸다. 1945년 이전시기와 1945-50년에도 이들의 차이는 ‘사회적 의식’, ‘개인적 의식’으로 압축된다. 이 같은 차이는 1960년대, 1970년대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제2장 제4절에서는 1960년대 이들의 작품에 드러나는 ‘관용적 윤리관’의 박탈 문제를 분석했다. 이들 두 작가는 여성의 권위가 성장하였어도 여전히 여성은 불안정한 선택지 앞에 놓여있고 관용적 윤리관의 범위에서 제외된 채 불공평한 윤리의 잣대에 의해 희생되고 있는 문제를 그리고 있다. 이 같은 관용적 윤리관의 박탈 문제를 그리기 위해 두 작가는 과거 희생되었던 여성을 복권시키는 작업을 작품 속에서 수행했다. 그런데 이 복권의 과정에서 필요한 과거여성으로의 회귀의 방식이 두 작가에게 다르게 나타났다. 최정희는 과거 시대에서 여성인물을 끌어왔으며, 장아이링은 과거 자신의 소설 속에서 여성인물을 끌어왔다.
      제2장 제5절에서는 1970년대 이들의 작품 전면에 드러나는 작가 개인의 욕망을 분석했다. 이 시기에는 이들 두 작가가 담담히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며 그것이 더 이상 실현될 수 없음을 아쉬워하는 점이 드러난다. 최정희에게는 사회적 투쟁의 종료에 대한 아쉬움이, 장아이링에게는 사랑의 종료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다.
      제3장에서는 이들 작품의 시대별 변화양상의 추이를 총 다섯 개 분야에 걸쳐 정리하고 그것들의 관계를 분석했다. 시대 변화에 따라 이들 작품의 공통적 여성의식과 이 공통성 안에서의 차이는 점차 심층화되는 추이를 보인다. 또한, 최정희의 작품에는 극단성의 강화 추이, 장아이링의 작품에는 히스테리의 약화 추이가 보이며 두 작가가 작품에 주제, 의미를 담아내는 지점이 심층화ㆍ외부화 되는 추이를 보인다. 이 다섯 가지 추이, 즉 ‘공통적 여성의식의 심층화’, ‘공통점 내에서의 차이의 심층화’, ‘최정희의 극단성의 강화’, ‘장아이링의 히스테리의 약화’, ‘의미를 담아내는 지점의 심층화ㆍ외부화 추이’는 ‘작가 개인의 사적 경향 강화’ 추이와 관계된다. 이를 통해 작품에 나타나는 최정희의 ‘사회적 의식’, 장아이링의 ‘개인적(인간적) 의식’이 상대적으로 초기에는 사회적 반영의 동기에 의한 것이고, 후기에는 사적 반영의 동기에 의한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점은 어디까지나 추론, 추정에 불과하기에 본고와 유사한 양국의 여타 작가를 비교한 논문과의 연계를 통한 통계적 분석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최정희와 장아이링은 1930-40년대부터 창작활동을 시작하여 40여년이 넘게 창작활동을 했다. 최정희는 한국에서 여성을 작가대상으로 실시한 문학상으로는 처음인 ‘제1회 한국여류문학상’ ...

      최정희와 장아이링은 1930-40년대부터 창작활동을 시작하여 40여년이 넘게 창작활동을 했다. 최정희는 한국에서 여성을 작가대상으로 실시한 문학상으로는 처음인 ‘제1회 한국여류문학상’ 수상자이다. 이는 최정희의 여성의식이 한국 문학사에 있어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보여준다. 한편, 중국에서 인간의 심리, 특히 여성의 심리를 깊게 파고든 작가로 잘 알려져 있는 장아이링은 창작활동을 시작했던 23세의 어린나이부터 주목받았고 최근에도 다시 작품이 재조명되며 크게 주목받고 있다.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작품 활동을 보면, 그 기간과 호흡이 비슷하며 출발점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본격적 창작활동의 시작점에 놓인 작품들에 나타나는 여성의 저항에는 폭력과 히스테리라는 공통점이 발견된다. 이렇듯 이들의 작품에는 여성문제의 강렬한 일면에 관한 동질성이 나타난다. 창작활동 초기 이외에도 중기, 후기에 이르기까지 이들의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형상, 여성의식에는 공통점이 나타난다. 이들의 여성의식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심화되는 와중에도 그 공통점은 계속해서 발견된다. 또한, 이들의 공통점 내에서의 차이점도 공통점에서와 같이 심화되는 양상으로 전생애에 걸쳐 반복되어 나타난다. 이에 착안해 본고의 비교연구가 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두 작가가 전생애에 걸쳐 창작한 작품을 수직적으로 분석해 비교한다. 작품의 중심을 차지하는 여성에 관한 문제의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가 두 작가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동일한 변화 양상과 동일성내에서의 두 작가의 차이점은 이들의 작품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게 하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이 같은 차이점은 이들 작품의 세밀한 특징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제2장에서는 이들의 공통점과 공통점 내에서의 차이점을 통해 이들 작품을 시대별로 재해석한다. 제3장에서는 이러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두 작가의 작품의 시대별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것이 양국의 사회의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해 본다. 본고의 1차적 목적은 비교를 통한 재해석을 하는 데에 있고 2차적 목적은 두 작가와 양국사회의 관계를 밝혀내는 데에 있다.
      제2장 제1절에서는 1945년 이전시기에 이들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인물의 히스테리와 폭력의 동일성을 찾았고 폭력의 차이를 분석했다. 최정희의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인물의 폭력은 직선적이고 분명한 성격을 띠고 있고, 장아이링의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인물의 폭력은 불분명한 성격을 띠고 있다. 저항의 방식이 히스테리하고 폭력적인 것은 이들 작가가 저항하고자 한 가부장제의 억압이 폐쇄적 형태였음을 드러낸다.
      제2장 제2절에서는 1945-1950년에 이들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이 남성인물과의 관계에 있어 중심을 차지하지 못하는 ‘비주체성’을 분석했다. 이 같은 비주체성이라는 공통점 안에서 최정희는 본능의 역할에 관한 비주체성을, 장아이링은 사랑의 세계관에 관한 비주체성을 드러낸다. ‘비주체성’은 이들 두 작가가 이전과 달리 구체적인 여성문제를 찾아가고 있음을 드러낸다.
      제2장 제3절에서는 1950년대에 이들의 작품에 드러나는 ‘이중적 여성문제’를 분석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낯선 의미, 즉 기초의식 층위에서의 고정관념을 전복하는 의미를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이중구조의 우회적 표현방식을 활용했다. 한편, 여성의 박탈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 최정희는 경제ㆍ사회적 문제에, 장아이링은 사랑ㆍ개인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중구조를 통한 기초적 영역에의 접근과정은 동일했지만 문제의식의 바탕을 형성하고 있는 박탈의 핵심지점이 서로 다른 것이다. 이는 최정희의 사회적 의식, 장아이링의 개인적 의식을 드러낸다. 1945년 이전시기와 1945-50년에도 이들의 차이는 ‘사회적 의식’, ‘개인적 의식’으로 압축된다. 이 같은 차이는 1960년대, 1970년대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제2장 제4절에서는 1960년대 이들의 작품에 드러나는 ‘관용적 윤리관’의 박탈 문제를 분석했다. 이들 두 작가는 여성의 권위가 성장하였어도 여전히 여성은 불안정한 선택지 앞에 놓여있고 관용적 윤리관의 범위에서 제외된 채 불공평한 윤리의 잣대에 의해 희생되고 있는 문제를 그리고 있다. 이 같은 관용적 윤리관의 박탈 문제를 그리기 위해 두 작가는 과거 희생되었던 여성을 복권시키는 작업을 작품 속에서 수행했다. 그런데 이 복권의 과정에서 필요한 과거여성으로의 회귀의 방식이 두 작가에게 다르게 나타났다. 최정희는 과거 시대에서 여성인물을 끌어왔으며, 장아이링은 과거 자신의 소설 속에서 여성인물을 끌어왔다.
      제2장 제5절에서는 1970년대 이들의 작품 전면에 드러나는 작가 개인의 욕망을 분석했다. 이 시기에는 이들 두 작가가 담담히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며 그것이 더 이상 실현될 수 없음을 아쉬워하는 점이 드러난다. 최정희에게는 사회적 투쟁의 종료에 대한 아쉬움이, 장아이링에게는 사랑의 종료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다.
      제3장에서는 이들 작품의 시대별 변화양상의 추이를 총 다섯 개 분야에 걸쳐 정리하고 그것들의 관계를 분석했다. 시대 변화에 따라 이들 작품의 공통적 여성의식과 이 공통성 안에서의 차이는 점차 심층화되는 추이를 보인다. 또한, 최정희의 작품에는 극단성의 강화 추이, 장아이링의 작품에는 히스테리의 약화 추이가 보이며 두 작가가 작품에 주제, 의미를 담아내는 지점이 심층화ㆍ외부화 되는 추이를 보인다. 이 다섯 가지 추이, 즉 ‘공통적 여성의식의 심층화’, ‘공통점 내에서의 차이의 심층화’, ‘최정희의 극단성의 강화’, ‘장아이링의 히스테리의 약화’, ‘의미를 담아내는 지점의 심층화ㆍ외부화 추이’는 ‘작가 개인의 사적 경향 강화’ 추이와 관계된다. 이를 통해 작품에 나타나는 최정희의 ‘사회적 의식’, 장아이링의 ‘개인적(인간적) 의식’이 상대적으로 초기에는 사회적 반영의 동기에 의한 것이고, 후기에는 사적 반영의 동기에 의한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점은 어디까지나 추론, 추정에 불과하기에 본고와 유사한 양국의 여타 작가를 비교한 논문과의 연계를 통한 통계적 분석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동기 및 연구 목적 1
      •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17
      • 제2장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작품발표 시기별 여성의식 비교 36
      • 제1절 1945년 이전시기: 폐쇄적 억압과 여성인물의 파괴성 3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동기 및 연구 목적 1
      •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17
      • 제2장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작품발표 시기별 여성의식 비교 36
      • 제1절 1945년 이전시기: 폐쇄적 억압과 여성인물의 파괴성 36
      • 1. 결혼풍속과 충동 36
      • 2. 저항적 폭력과 히스테리 44
      • 1) 反모성과 히스테리 44
      • 2) 부권의 약화와 폭력 56
      • 제2절 1945-1950년: 여성의 비주체성 문제의 구체화 64
      • 1. 여성의 비주체성 문제 64
      • 2. 구시대적 억압에 대한 거부 방식 80
      • 제3절 1950년대: 이중적 여성문제에 대한 우회적 접근 90
      • 1. 이중구조를 통한 여성에의 접근 94
      • 1) 기초의식 층위의 여성문제 94
      • 2) 이념(남성)과 여성의 분리 112
      • 2. 사랑과 경제의 관계 조명 124
      • 제4절 1960년대: 불안정한 자유와 여성문제 130
      • 1. 극단적 여성에 대한 설명 방식 130
      • 2. 회귀의 방식 171
      • 제5절 1970년대: 종료에 대한 의식 174
      • 1. 인간적 쓸쓸함과 개인의 욕망 174
      • 2. 모국을 떠난 장아이링의 망명의식 182
      • 제3장 시대별 작품의 변화양상과 최정희ㆍ장아이링 의식의 관계 198
      • 제4장 결론 218
      • □ 참고문헌 223
      • □ Abstract 23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張愛玲, "색, 계", 랜덤하우스코리아, 랜덤하우스, 2008

      2 장애령, "반생연", 문일, 문일, 1999

      3 Milne, Lorus J, "「산」", タイム ライフ ブックス, 문학사상, 1976

      4 장애령, "적지지련", 시공사, 시공사, 2012

      5 서영은, "강물의 끝", 문학사상사, 문학사상사, 1984

      6 천이두, "원숙과 패기", 문학과 지성, 1976

      7 김순진, "첫번째 향로", 문학과지성사, 2005

      8 최정희, "최정희 선집", 어문각, 어문각, 1974

      9 백철, "신문학사조사", 백양당, 1947

      10 곽종원, "「崔貞熙論」", 문예, 1949

      1 張愛玲, "색, 계", 랜덤하우스코리아, 랜덤하우스, 2008

      2 장애령, "반생연", 문일, 문일, 1999

      3 Milne, Lorus J, "「산」", タイム ライフ ブックス, 문학사상, 1976

      4 장애령, "적지지련", 시공사, 시공사, 2012

      5 서영은, "강물의 끝", 문학사상사, 문학사상사, 1984

      6 천이두, "원숙과 패기", 문학과 지성, 1976

      7 김순진, "첫번째 향로", 문학과지성사, 2005

      8 최정희, "최정희 선집", 어문각, 어문각, 1974

      9 백철, "신문학사조사", 백양당, 1947

      10 곽종원, "「崔貞熙論」", 문예, 1949

      11 황수진, "「최정희론」",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건국어문학 21ㆍ22집, 1997

      12 최정희, "젊은날의 증언", 육민사, 1962

      13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79

      14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성문각, 1982

      15 조연현, "현대한국작가론", 文藝社, 문예사, 1953

      16 박죽심, "최정희 문학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7 황수남, "최정희 소설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8 조연현, "한국현대작가연구", 새문사, 새문사, 1981

      19 김광섭, "「人間 崔貞熙 女史」", 조광, 1939

      20 林善愛, "「최정희 소설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실, 국문학연구 제13집, 1990

      21 조병무, "「최정희론」, 탑돌이", 범우사, 1976

      22 이재선, "전쟁체험과 50년대 소설", 현대문학, 1989

      23 최정희, "「나의 문학생활자서」", 백민, 1948

      24 구인환, "「한국여류작가의 기법」", 아세아 여성 연구 9집, 1970

      25 강진구, "「국제결혼과 혼혈의 탄생」", 현대문학의 연구 제45집, 2011

      26 유남옥, "「최정희 노년기소설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어문논집 제7집, 1997

      27 김동리, "「女性作家의 回顧와 展望」", 문화, 1947

      28 서영인, "「순응적 여성성과 국가주의」",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 2005

      29 김은주, "「張愛玲 十八春 의 여성형상」", 중국어문논총 제22집, 2002

      30 김복순, "나는 여자다-방법으로서의 젠더", 소명출판, 2012

      31 이혜숙, "「최정희 소설의 여성의식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2 서정자, "「일제강점기 한국 여류소설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33 이병순(Byung Soon Lee), "「현실추수와 낭만적 서정의 세계」",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 26호, 2005

      34 정창범, "「결백의 정신」, 한국단편문학대계5", 삼성출판사, 1969

      35 김윤식, "「모녀가 완성한 어떤 소설의 미학」", 문학사상, 1980

      36 심진경, "「여성작가 친일소설 연구」, 배달말", 배달말학회, 2003

      37 이병순,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모성 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성문학연구 13, 2005

      38 김주리, "「비체화한 모성의 우울증과 육친애」", 인문연구 55, 2008

      39 김윤식, "「인형의식의 파멸」, 한국문학사논고", 법무사, 1974

      40 이병순,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전쟁의 의미」", 한국사상문화학회, 한국사상과 문화 제50 집, 2009

      41 홍기삼, "「최정희와 그 문학」, 신한국문학전집12", 어문각, 1970

      42 김혜정, "「최정희의 ‘天脈’에 나타난 여성성」", 개신어문학, 1992

      43 신춘호, "「해방직후 농민소설연구」, 학술지 29집", 건국대 인문사회과학편, 1985

      44 김홍월(Jin, Hong Yue),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여성의식 비교 연구", 중국인문학회, 중국인문과학 57 집, 2014

      45 김복순(Kim Bok-soon), "「소녀의 탄생과 반공주의 서사의 계보」", 한국근대문학회, 한국근대문학연구 18 호, 2008

      46 김인철, "「장애령의 반공소설- 앙가 ㆍ 적지지련 」", 중국인문과학 제28 집, 2004

      47 함인희, "「한국전쟁, 가족, 여성의 다중적 근대성」", 사회와 이론 2호, 2006

      48 홍준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남자의 성, 여자의 성", 아난케, 2008

      49 황유정, "「한국의 여성고용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4

      50 김윤경, "1950년대 미국문화의 유입과 여성의 근대경험", 한국비평문학회, 비평문학 34 호, 2009

      51 강이수, "해방 후 한국경제의 변화와 여성의 노동경험", 여성과 역사, 2006

      52 신양숙, "「여자의 병: 해체 페미니즘과 히스테리아」", 열음사, 외국문학 43, 1995

      53 신동욱, "「崔貞熙의 作品에 나타난 女性과 人間意識」", 청파문학 13집, 1980

      54 조연현, "「感銘의 所在 「風流잡히는 마을」을 읽고」", 문예, 1949

      55 정영자, "「최정희 소설연구-내용적 특성을 중심으로」", 睡蓮語文論集 제13 집, 1986

      56 박금주, "“한국 근대 여성소설의 타자적 여성성 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02

      57 김현주, "「최정희 친일과 불안의식의 대응 양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3

      58 방민호, "1930년대 후반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의미", 현대소설 연구 30, 2006

      59 김동식, "「여성과 모성을 넘어서」, 한국소설문학대계 31", 동아출판사, 1995

      60 박정애,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의 특성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61 심진경(Shim Jin-Keong), "「최정희 문학의 여성성-여성작가로 산다는 것」", 한국근대문학회, 한국근대문학연 구 제7집, 2006

      62 임진영, "「8ㆍ15직후 단편소설 연구」, 해방공간의 문학연구 Ⅱ", 태학사, 1990

      63 전혜자, "「母權에의 유토피아 지향-해방기 최정희 소설 연구」", 어문논집, 1994

      64 김복순, "「범주 우선성의 문제와 최정희의 식민지 시기 소설」", 상허학회, 2008

      65 김양선, "「일제 말기 여성작가들의 친일담론 연구」, 어문연구", 가 을호, 2005

      66 신영희, "「태평양전쟁기 최정희의 ‘군국모성’에 대한 고찰」", 경성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4

      67 노승희, "「레즈비언ㆍ게이 이론」, 김성곤 편저, 21세기 문예이론", 문학사 상, 2005

      68 이호숙, "「결백한 도전과 수용: 최정희론」, 페미니즘과 소설비평", 한길사, 1995

      69 최정아, "「최정희의 녹색의 문 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 탐구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 소설연구 44집, 2010

      70 김형자, "「최정희 소설의 바람 공간적 의미」, 한국 여성 소설 연구", 민지 사, 1991

      71 김재용, "「여성성과 국민주의의 결합으로서의 친일문학」, 실천문학", 봄호, 2004

      72 황수진, "「최정희론-‘녹색의 문’과 ‘끝없는 낭만’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제21집, 1997

      73 이상신, "「최정희의 풍류잡히는 마을 에 나타난 쪽제비와 닭의 표상」", 장안논총 13집, 1993

      74 홍석표, "「장아이링과 최승희, 한국전쟁 서사 그리고 김일성 사망 소식」", 중국어문학지 제48집, 2014

      75 이선옥, "「평등에 대한 유혹-여성 지식인과 친일의 내적 논리」, 실천문학", 가을호, 2002

      76 김연숙, "「저널리즘과 여성작가의 탄생--30년대 여기자 집단을 중심 으로」", 여성문학 14집, 2005, 1920

      77 엄미옥, "「한국 전쟁기 여성 종군작가 소설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21 집", 한국근대문학회, 2010

      78 김정숙, "「최정희의 해방기 소설과 녹색의 문 에 나타난 현실 인식의 변 화」", 한국비평문학회, 비평문학 제34호, 2009

      79 서여진, "「해방 후 최정희 소설 연구: 여성 목소리의 재현양상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80 최경희, "「친일 문학의 또 다른 층위-젠더와 <야국초>」, 해방전후사의 재 인식1", 책세상, 2006

      81 박재섭, "「해방직후 소설에 나타난 선택적 행위」, 이우용, 해방공간의 문 학연구", 태학사, 1990

      82 정은아, "張愛玲과 최정희 소설의 비교연구: 1930-40년대 소설의 여성형 상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83 홍순애, "「국민문학에 나타난 파시즘 양상연구; 최정희와 野菊抄」, 한민족 문화학회", 봄호, 2004

      84 김순진, "「張愛玲 소설 연구 - 여성주의 시각으로 본 몸․권력구조․서사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85 이상경, "「식민지에서의 여성과 민족의 문제-일제 파시즘하의 최정희와 임 순득」, 실천문학", 봄호, 2003

      86 김금란, "「장애령과 최정희의 소설에서의 여성비극의식 비교연구」, 서울여 자대학교 연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87 김윤환, "「경제체제개혁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문제연구소, 중국여성연구", 숙명여자대학교,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