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칠산도 노랑부리백로 유조의 이소 후 하절기 행동권 = Home Range of Juvenile Chinese Egrets Egretta eulophotes during Post-fledging Stage in Chilsan Archipelago, Republic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18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standing the migration patterns and habitats of juvenile birds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is very important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ndividuals. The Chinese Egret is an internationally protected species. During the wintering season, they inhabit South-East Asia, such as the Philippines, Malaysia, and Taiwan, and breed in China, Russia, and uninhabited islands on the west coast of Korea. IIn this study, we attached a GPS telemetry tracking device to six juvenile Chinese Egrets breeding on Chilsan Archipelago in 2018 and 2019 to identify habitats by analyzing the home range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in the summer season. The individual CE1801 moved north and then returned to the Yeonggwang Baeksu tidal flat area, and CE1802 and CE1803 migrated north and inhabited Taean-gun. In 2019, CE1901 showed a similar pattern to CE1801, and CE1902 migrated southward to the Wando-gun area, while CE1903 moved south to the Sinan-gun area then returned to the Yeonggwang Baeksu tidal flat area, showing KDE 50%.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the Chinese Egret moved broadly around the flat tidal area on the west coast to find a stable habitat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Efforts to protect the habitat, such as limiting the development of this area and restricting human access, are necessary.
      번역하기

      Understanding the migration patterns and habitats of juvenile birds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is very important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ndividuals. The Chinese Egret is an internationally protected species. During the wintering season...

      Understanding the migration patterns and habitats of juvenile birds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is very important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ndividuals. The Chinese Egret is an internationally protected species. During the wintering season, they inhabit South-East Asia, such as the Philippines, Malaysia, and Taiwan, and breed in China, Russia, and uninhabited islands on the west coast of Korea. IIn this study, we attached a GPS telemetry tracking device to six juvenile Chinese Egrets breeding on Chilsan Archipelago in 2018 and 2019 to identify habitats by analyzing the home range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in the summer season. The individual CE1801 moved north and then returned to the Yeonggwang Baeksu tidal flat area, and CE1802 and CE1803 migrated north and inhabited Taean-gun. In 2019, CE1901 showed a similar pattern to CE1801, and CE1902 migrated southward to the Wando-gun area, while CE1903 moved south to the Sinan-gun area then returned to the Yeonggwang Baeksu tidal flat area, showing KDE 50%.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the Chinese Egret moved broadly around the flat tidal area on the west coast to find a stable habitat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Efforts to protect the habitat, such as limiting the development of this area and restricting human access, are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번식지에서 이소하여 분산한 유조의 이동 패턴과 서식지를 파악하는 것은 개체 보전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노랑부리백로는 국제적인 보호종으로 필리핀, 말레이시아, 대만 등지에서 월동하며, 중국, 러시아, 우리나라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와 2019년도에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하여 이소한 노랑부리백로 유조 총 6개체를 대상으로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하여 이소 후 하절기 동안 이동 경로 및 행동권 분석을 통해 주요 서식지 이용 양상을 파악하였다.
      2018년도에 번식한 노랑부리백로 유조 3개체 중 CE1801 개체는 이소 후 북상을 하다가 다시 영광 백수 갯벌 지역으로회귀하여 서식하였으며, 나머지 CE1802, CE1803 개체는 태안 지역으로 북상하여 서식하였다. 2019년도의 경우 CE1901 개체는 CE1801 개체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CE1902 개체는 완도 지역으로 남하하여 서식하였고, CE1903 개체는신안 지역으로 남하하다가 다시 영광 백수 갯벌 지역으로 회귀하여 핵심 행동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노랑부리백로 유조는하절기 동안 안정적인 서식지를 찾기 위해 서해안 갯벌 지역을 중심으로 폭 넓게 이동을 하였다. 향후 노랑부리백로 유조가이용하는 핵심 서식지에 대해 개발과 출입을 제한하는 등 서식지 보호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번식지에서 이소하여 분산한 유조의 이동 패턴과 서식지를 파악하는 것은 개체 보전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노랑부리백로는 국제적인 보호종으로 필리핀, 말레이시아, 대만 등지에...

      번식지에서 이소하여 분산한 유조의 이동 패턴과 서식지를 파악하는 것은 개체 보전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노랑부리백로는 국제적인 보호종으로 필리핀, 말레이시아, 대만 등지에서 월동하며, 중국, 러시아, 우리나라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와 2019년도에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하여 이소한 노랑부리백로 유조 총 6개체를 대상으로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하여 이소 후 하절기 동안 이동 경로 및 행동권 분석을 통해 주요 서식지 이용 양상을 파악하였다.
      2018년도에 번식한 노랑부리백로 유조 3개체 중 CE1801 개체는 이소 후 북상을 하다가 다시 영광 백수 갯벌 지역으로회귀하여 서식하였으며, 나머지 CE1802, CE1803 개체는 태안 지역으로 북상하여 서식하였다. 2019년도의 경우 CE1901 개체는 CE1801 개체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CE1902 개체는 완도 지역으로 남하하여 서식하였고, CE1903 개체는신안 지역으로 남하하다가 다시 영광 백수 갯벌 지역으로 회귀하여 핵심 행동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노랑부리백로 유조는하절기 동안 안정적인 서식지를 찾기 위해 서해안 갯벌 지역을 중심으로 폭 넓게 이동을 하였다. 향후 노랑부리백로 유조가이용하는 핵심 서식지에 대해 개발과 출입을 제한하는 등 서식지 보호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석준, "구지도, 칠산도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 비교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34 (34): 99-105, 2020

      2 Rappole, J. H., "The avian migration: The biology of bird migr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435-, 2013

      3 Hancock, J., "The Herons of the World" Harper & Row 304-, 1978

      4 Kushlan, J. A., "The Herons" Oxford University Press 433-, 2005

      5 Kays, R., "Terrestrial animal tracking as an eye on life and planet" 348 : 6240-, 2015

      6 Alerstam, T.,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of repeated migratory journeys by ospreys" 71 (71): 555-566, 2006

      7 Davis, J. M., "Survival and movements of juvenile burrowing owls during the postfledging period" 108 (108): 282-291, 2006

      8 R Development Core Team,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9 Van der Winden, J., "Pre-migratory behaviour of the Purple Heron in the Netherlands" 59 : 3-15, 2012

      10 Wiens, J. D., "Post-fledging survival of northern goshawks : The importance of prey abundance, weather, and dispersal" 16 (16): 406-418, 2006

      1 손석준, "구지도, 칠산도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 비교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34 (34): 99-105, 2020

      2 Rappole, J. H., "The avian migration: The biology of bird migr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435-, 2013

      3 Hancock, J., "The Herons of the World" Harper & Row 304-, 1978

      4 Kushlan, J. A., "The Herons" Oxford University Press 433-, 2005

      5 Kays, R., "Terrestrial animal tracking as an eye on life and planet" 348 : 6240-, 2015

      6 Alerstam, T.,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of repeated migratory journeys by ospreys" 71 (71): 555-566, 2006

      7 Davis, J. M., "Survival and movements of juvenile burrowing owls during the postfledging period" 108 (108): 282-291, 2006

      8 R Development Core Team,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9 Van der Winden, J., "Pre-migratory behaviour of the Purple Heron in the Netherlands" 59 : 3-15, 2012

      10 Wiens, J. D., "Post-fledging survival of northern goshawks : The importance of prey abundance, weather, and dispersal" 16 (16): 406-418, 2006

      11 Walton, L. R., "Movement patterns of barren-ground wolves in the central Canadian Arctic" 82 (82): 867-876, 2001

      1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onitoring of Natural Monumen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24-, 2006

      13 Ueta, M., "Migration routes and differences of migration schedule between adult and young Steller's Sea Eagles Haliaeetus pelagicus" 142 (142): 35-39, 2000

      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research for reproduction and conservation of natural monument(animal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3-53, 2020

      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research for reproduction and conservation of natural monument(animal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2-25, 2019

      16 Roff, D. A., "Life history evolution" Sinauer 93-150, 2002

      17 Anders, A. D., "Juvenile survival in a population of neotropical migrant birds" 11 (11): 698-707, 1997

      18 Litvinenko, N. M., "Importance of Furugelm Island in the Sea of Japan for wetland birds: The first record of a breeding colony of the Chinese egret Egretta eulophotes" 34 (34): 335-337, 2000

      19 Jung-Hoon Kang, "Home range and movement of juvenil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in South Korea"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41 (41): 2017

      20 Aboushiba, A. B. H., "Foraging behaviour of five egret species in POME Pond Area at Carey Island, Peninsular Malaysia" 23 (23): 129-135, 2013

      21 BirdLife International, "Egretta eulophotes"

      22 Kang, J. H., "Distribution and breeding status of Chinese egret Egretta eulophotes in South Korea" 12 (12): 618-620, 2013

      23 Robinson, R. A., "Demographic mechanisms of the population decline of the song thrush Turdus philomelos in Britain" 73 (73): 670-682, 2004

      24 Guo-An, W., "Copulations and mate guarding of the Chinese Egret" 28 (28): 527-530, 2005

      25 손석준, "Breeding and wintering home ranges of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국립중앙과학관 13 (13): 7-12, 2020

      26 Son, S. J.,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population trends, breeding success, and nest characteristics in the Chilsan Archipelago, South Korea" 20 (20): 57-64, 2021

      27 ESRI, "ArcGIS 10.3. 1 for Desktop"

      28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nouncement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5

      29 Yin, Z. H., "A preliminary study of the breeding biology of the Chinese egret" 48 (48): 824-827, 2002

      30 Koford, R. R., "A glossary for avian conservation biology" 106 : 121-137,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