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世界의 文字史와 『萬葉集』 = The Man’yōshū and the World History of Wri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11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recently, studies of the history of writing were shaped by the assumption that it continually evolved toward greater phonography. Ancient scripts—Mesopotamian, Egyptian, Chinese, and Mayan—had pictographic origins, but developed logographs(word-signs) as they became fully functioning writing systems. In those early systems, logographs were accompanied by phonographic indications of the sounds of language, whether as separate graphs or as components of compound graphs, but most later-developing scripts are largely or entirely phonographic. Since the early modern period, western scholars saw this progression towards greater phonography as an evolution towards more efficient and rational methods of writing, culmina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Latin alphabet. Less phonographic scripts, and especially those that maintained large logographic components, were accordingly seen as inferior and backward products of cultural interference with this “natural” evolutionary process.
      Contemporary scholarship has called into question much of this narrative. There are many cases of scripts progressing toward greater phonography, but there are also numerous examples of the persistence of logography, or even of shifts toward greater logography. Notions of the alphabet as a uniquely superior system of writing, or as the culmination of evolution toward greater efficiency and rationality, are products of Eurocentric models of human history rather than neutral descriptions of the principles of inscription.
      One of the great counter-examples to the old narrative of progression towards greater phonography is provided by the early Japanese experience of writing, especially as exemplified in the voluminous 8th century poetry anthology, the Man’yōshū. The poetry of this anthology is written in a variety of styles, from purely(or nearly purely) logographic, to a mixture of logographic and phonographic, to purely phonographic. Under the influence of the now outmoded evolutionary paradigm for writing in general, scholars of the Man’yōshū once saw this variety as the product of a historical development toward phonography, but this perspective was overturned by late 20th and early 21st century archaeological discoveries of all-phonograph poems that predate the compilation of the anthology itself. It is now clear that the variety of this work, and more generally of premodern Japanese inscription in general, was the product of complex decisions made by authors and scribes who selected among multiple co-existing styles of inscription, corresponding to different textual genres and modes of literacy. In this context there were rational reasons to preserve, or even to increase, the logographic components of writing.
      번역하기

      Until recently, studies of the history of writing were shaped by the assumption that it continually evolved toward greater phonography. Ancient scripts—Mesopotamian, Egyptian, Chinese, and Mayan—had pictographic origins, but developed logographs(w...

      Until recently, studies of the history of writing were shaped by the assumption that it continually evolved toward greater phonography. Ancient scripts—Mesopotamian, Egyptian, Chinese, and Mayan—had pictographic origins, but developed logographs(word-signs) as they became fully functioning writing systems. In those early systems, logographs were accompanied by phonographic indications of the sounds of language, whether as separate graphs or as components of compound graphs, but most later-developing scripts are largely or entirely phonographic. Since the early modern period, western scholars saw this progression towards greater phonography as an evolution towards more efficient and rational methods of writing, culmina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Latin alphabet. Less phonographic scripts, and especially those that maintained large logographic components, were accordingly seen as inferior and backward products of cultural interference with this “natural” evolutionary process.
      Contemporary scholarship has called into question much of this narrative. There are many cases of scripts progressing toward greater phonography, but there are also numerous examples of the persistence of logography, or even of shifts toward greater logography. Notions of the alphabet as a uniquely superior system of writing, or as the culmination of evolution toward greater efficiency and rationality, are products of Eurocentric models of human history rather than neutral descriptions of the principles of inscription.
      One of the great counter-examples to the old narrative of progression towards greater phonography is provided by the early Japanese experience of writing, especially as exemplified in the voluminous 8th century poetry anthology, the Man’yōshū. The poetry of this anthology is written in a variety of styles, from purely(or nearly purely) logographic, to a mixture of logographic and phonographic, to purely phonographic. Under the influence of the now outmoded evolutionary paradigm for writing in general, scholars of the Man’yōshū once saw this variety as the product of a historical development toward phonography, but this perspective was overturned by late 20th and early 21st century archaeological discoveries of all-phonograph poems that predate the compilation of the anthology itself. It is now clear that the variety of this work, and more generally of premodern Japanese inscription in general, was the product of complex decisions made by authors and scribes who selected among multiple co-existing styles of inscription, corresponding to different textual genres and modes of literacy. In this context there were rational reasons to preserve, or even to increase, the logographic components of wri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세계 문자사의 입장에서 『만엽집(萬葉集)』의 표기 방식에 관해 소개하면서 특히 『만엽집』의 表音과 表語 표기에 주목하여 그 특징과 역사성을 논하였다. 본고의 서론에서는 『만엽집』에 보이는 쓰기의 다양성, 표음문자와 표어문자라는 시각에 대해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세계 문자사의 전통적인 사관에서 ‘표어’와 ‘표음’의 관계를 논하였다. 이 장에서는 표어에서 표음으로 진화한다는 인식이 가진 문제점과 알파벳=문명이라는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 세계 문자사를 표어에서 표음으로 진화한다는 도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음을 밝혔다.
      3장에서는 표음으로 진화한다는 개념을 일본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20세기 중엽 알파넷역사 연구의 권위자인 디링거 사관이 가진 한계와 일본의 문자사를 ‘동양사에서의 비극’으로 평가한 산섬의 견해, 언문일치가 결코 당연하지 않다는 것에 관한 설명, 그리고 일본의 복잡한 문자체계에 관한 새로운 관점의 평가 필요성 등을 언급하였다.
      4장에서는 『만엽집』이 세계 문자사 연구에서 가지는 의미에 관해 설명하였다. 먼저 『만엽집』에는 표어문자 주체의 쓰기 보다는 표음문자 주체의 쓰기가 많다는 점을 확인하고, 1970~80년대에 표어문자 주체에서 표음문자로 변화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정설이었음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부터 우타 목간(歌木簡)이 발견되면서 표음문자 주체의 쓰기가 더 먼저 출현했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기존의 정설이 바뀌게 되었음을 논하였다. 그리고 『만엽집』에서 쓰기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표어문자로 쓰기도 하고 표음문자로 쓰기도 했으며, 표음문자 쓰기가 매우 다양했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향후에는 표음문자의 사용보다는 표어문자의 배제라는 문제가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세계 문자사의 입장에서 『만엽집(萬葉集)』의 표기 방식에 관해 소개하면서 특히 『만엽집』의 表音과 表語 표기에 주목하여 그 특징과 역사성을 논하였다. 본고의 서론에서는 『...

      본고는 세계 문자사의 입장에서 『만엽집(萬葉集)』의 표기 방식에 관해 소개하면서 특히 『만엽집』의 表音과 表語 표기에 주목하여 그 특징과 역사성을 논하였다. 본고의 서론에서는 『만엽집』에 보이는 쓰기의 다양성, 표음문자와 표어문자라는 시각에 대해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세계 문자사의 전통적인 사관에서 ‘표어’와 ‘표음’의 관계를 논하였다. 이 장에서는 표어에서 표음으로 진화한다는 인식이 가진 문제점과 알파벳=문명이라는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 세계 문자사를 표어에서 표음으로 진화한다는 도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음을 밝혔다.
      3장에서는 표음으로 진화한다는 개념을 일본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20세기 중엽 알파넷역사 연구의 권위자인 디링거 사관이 가진 한계와 일본의 문자사를 ‘동양사에서의 비극’으로 평가한 산섬의 견해, 언문일치가 결코 당연하지 않다는 것에 관한 설명, 그리고 일본의 복잡한 문자체계에 관한 새로운 관점의 평가 필요성 등을 언급하였다.
      4장에서는 『만엽집』이 세계 문자사 연구에서 가지는 의미에 관해 설명하였다. 먼저 『만엽집』에는 표어문자 주체의 쓰기 보다는 표음문자 주체의 쓰기가 많다는 점을 확인하고, 1970~80년대에 표어문자 주체에서 표음문자로 변화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정설이었음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부터 우타 목간(歌木簡)이 발견되면서 표음문자 주체의 쓰기가 더 먼저 출현했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기존의 정설이 바뀌게 되었음을 논하였다. 그리고 『만엽집』에서 쓰기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표어문자로 쓰기도 하고 표음문자로 쓰기도 했으며, 표음문자 쓰기가 매우 다양했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향후에는 표음문자의 사용보다는 표어문자의 배제라는 문제가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上野誠, "難波津歌典禮唱和說批判" 54 (54): 2009

      2 龜井孝, "言語學大辭典 7권" 三省堂 2001

      3 稻岡耕二, "萬葉表記論" 塙書房 1976

      4 榮原永遠男, "萬葉歌木簡を追う" 和泉書院 2010

      5 乾善彦, "漢字による日本語書記の史的硏究" 塙書房 2003

      6 乾善彦, "歌表記と仮名使用" 31 : 2009

      7 犬飼隆, "木簡から探る和歌の起源" 笠間書院 2008

      8 龜井孝, "古事記大成 3권" 平凡社 1962

      9 乾善彦, "仮名の位相と萬葉集仮名書歌卷" 29 : 2007

      10 稻岡耕二, "セミナー萬葉の歌人と作品 2" 和泉書院 1999

      1 上野誠, "難波津歌典禮唱和說批判" 54 (54): 2009

      2 龜井孝, "言語學大辭典 7권" 三省堂 2001

      3 稻岡耕二, "萬葉表記論" 塙書房 1976

      4 榮原永遠男, "萬葉歌木簡を追う" 和泉書院 2010

      5 乾善彦, "漢字による日本語書記の史的硏究" 塙書房 2003

      6 乾善彦, "歌表記と仮名使用" 31 : 2009

      7 犬飼隆, "木簡から探る和歌の起源" 笠間書院 2008

      8 龜井孝, "古事記大成 3권" 平凡社 1962

      9 乾善彦, "仮名の位相と萬葉集仮名書歌卷" 29 : 2007

      10 稻岡耕二, "セミナー萬葉の歌人と作品 2" 和泉書院 1999

      11 神野志隆光, "「歷史」としての 『萬葉集』ー『萬葉集』のテキスト理解のために" 87 (87): 2010

      12 神野志隆光, "「人麻呂歌集」の書記についてー『萬葉集』のテキスト理解のために" 31 : 2010

      13 Colulmas, Florian, "Writing Systems: An Introduction to Their Linguistic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4 Dringer, David, "Writing" Praeger 1962

      15 Daniels, Peter T.,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6 Havelock, Eric, "The Muse Learns to Write: Reflections on Orality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Yale University Press 1986

      17 Colulmas, Florian, "Evaluating Merit: The Evolution of Writing Reconsiderde" 1 (1): 5-17, 2009

      18 Gelb, I. J.,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