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전외측인대 손상 및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남아있는 pivot-shift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치유되지 않은 전외측인대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pivot-shift가 남아있는 것이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21636
최남홍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이동민 (광명성애병원 정형외과) ; 허욱 (광명성애병원 정형외과) ; Brian Nicholas Victoroff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leveland, OH, USA.)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37(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전외측인대 손상 및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남아있는 pivot-shift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치유되지 않은 전외측인대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pivot-shift가 남아있는 것이 연...
목적: 전외측인대 손상 및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남아있는 pivot-shift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치유되지 않은 전외측인대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pivot-shift가 남아있는 것이 연관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수상 후 6주 이내에 자가 슬곽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환자들을포함했다. 전방십자인대 수술 전 전외측인대 손상과 수술 후 치유 상태는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으로 평가했고 수술 후 MRI 평가는 평균 7.8개월 후에 촬영했다. 수술 후 1년째에 전외측인대의 치유 상태에 따라 환자를 분류하여임상 스코어(Lysholm score and Tegner activity scale) 및 관절 동요(Lachman test and pivot-shift test) 결과를 비교했다.
결과: 총 145명의 환자 중 128명(88.3%)이 동반된 전외측인대 손상을 가지고 있었다. 수술 전 grade B (부분 파열) 환자 86명 중16명(18.6%)은 수술 후 grade 1 (양호), 70명(81.4%)은 grade 2 (부분 파열) 전외측인대를 보였고 수술 전 grade C (완전 파열) 환자 42명 중 1명(2.4%)은 수술 후 grade 1, 21명(50.0%)은 grade 2, 20명(47.6%)은 grade 3 (비가시화) 전외측인대를 보였다. 수술 전 grade C 그룹이 수술 후 grade 3 전외측인대를 보일 가능성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p<0.001). 수술 후 Lachman 검사, KT-1000 관절측정기(MEDmetric Corp.) 검사에서 건측 대비 환측 슬관절의 전방 동요(side-to-side difference), Lysholm 점수, Tegner activity 지수는 수술 후 전외측인대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ivot-shift 검사에서는 grade 3 전외측인대 그룹이 다른 전외측인대 그룹에 비해 pivot-shift의 발생률이 높았다(p=0.001).
결론: 전방십자인대 수술 전 grade C 전외측인대 그룹은 수술 후 grade 3 그룹의 비율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고 grade 3 전외측인대 그룹은 다른 그룹에 비해 pivot-shift 발생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전방십자인대 수술 전 전외측인대의 완전 파열이 동반된경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전외측인대의 재건술을 고려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ealing of an injured anterolateral ligament (ALL) and residual pivot-shift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s is rarely reporte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healed ALL a...
Purpos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ealing of an injured anterolateral ligament (ALL) and residual pivot-shift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s is rarely reporte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healed ALL and residual pivot-shift after an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inclusion criteria were patients who underwent autologous hamstring ACL reconstructions within 6 weeks after injury from January 2008 to March 2021. Preoperative ALL injuries and postoperative ALL healing were graded according to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classification, with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performed 7.8 months after surgery on average. The patie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postoperative ALL healing, and the clinical scores (Lysholm score and Tegner activity scale) and knee stability (Lachman test and pivot-shift test) were assessed at the 1-year postoperative follow-up.
Results: One hundred and forty-fiv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One hundred and twenty-eight (88.3%) patients had a concomitant ALL injury. Among 86 patients with preoperative grade B, 16 (18.6%) patients showed grade 1 (good), and 70 (81.4%) showed grade 2 (partial) ALL postoperatively. Among the 42 patients with preoperative grade C (complete tear), 1 (2.4%) patient showed grade 1 (good), 21 (50.0%) showed grade 2 (partial), and 20 (47.6%) showed grade 3 (non-visualized) ALL. Preoperative grade C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grade 3 (non-visualized) postoperatively than the other groups (p<0.001). Postoperatively, the Lachman test, KT-1000 (MEDmetric Corp.) arthrometer (side-to-side difference), Lysholm score, and Tegner activity scal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intact, grade 1, grade 2, and grade 3 ALL groups. The pivot-shift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LL grades (p=0.001). Grade 3 ALL group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pivot-shift than the intact, grade 1, and grade 2 ALL groups.
Conclusion: Patients with preoperative grade C had a higher rate of grade 3 postoperatively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addition, the grade 3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a pivot-shift. Therefore, in cases of ACL injuries with concomitant complete ALL tears, ALL reconstruction should be considered during ACL reconstruction.
어깨 관절경 수술: 당일 수술이 가능한가? -단일 기관 연구-
동일 환자에서 시행한 단계적 직접 전방 도달법과 측방 도달법을 통한 양측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환자가 보고하는 치료 결과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전방부위의 형태학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