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생에 대한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 방향에 관한 연구 :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Utilizing Popular Music for Middle School Student : a Case Study on the 7th Amendment of N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049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목적은 중학생에 대한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학의 중요 이론인 김호권·김종서의 '교육과정 개념모형'의 세 수준을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제 1수준에서는 중학교 음악 9종의 교과서에 수록 된 대중음악들을 분석해 보았고, 제 2수준에서는 음악교사들의 대중음악 활용실태를 파악했다. 그리고 제 3수준에서는 학생들의 입장을 중심으로 세분된 환경·정서적인 측면, 수업적 측면, 교육 과정적 측면에서 전주시내 남, 여 중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하였다.
      대중음악의 활용실태를 음악교과서로 분석한 결과, 현행 음악교과서에서 다루는 대중음악의 내용은 중학생들의 음악환경에서 쉽게 접하고 있는 대중음악의 성격과 많은 차이가 있음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문제점과 대중음악에 관한 청소년들의 설문지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방향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환경 정서적 측면의 설문분석 결과, 대중음악 중 대중가요를 선호하는 이유인 '리듬'과 '가락'의 활용도를 높여서 음악수업에 흥미를 느끼게 해야 한다. 특히 음악특별활동에서 '리듬의 표현력'과 '가락, 가사간의 미적 흐름'을 심도 있게 다루어 주어 음악을 즐기고 생활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교적 차원에서 학생들에게 클래식 연주회 참석만을 고집하기보다는 교사 동반 하에 대중가요 콘서트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수업적 측면의 설문분석 결과, 시험을 위한 이론위주와 수행평가를 위한 가창 위주의 수업보다는 대중음악과 클래식을 접목시킨 곡의 '감상'하게 하여 편안한 음악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그 동안 등안시하였던 락, 째즈 등의 다양한 리듬을 활용한 '기악수업', 다양 한 장르에 표현의 자유를 부여해 주는 '창작수업'으로 참여 학습을 실현해 나가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적 측면의 설문분석 결과, 음악교과서에 고정된 대중음악이 진부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의 음악환경을 교사의 이해와 관심으로 수용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제시된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방향을 향후 음악교과서 편찬 시에 참고해 주길 바란다. 그리고 음악교사들이 학교음악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대중음악 선정기준을 제시해 주고, 대중음악을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수업할 수 있게 보다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목적은 중학생에 대한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학의 중요 이론인 김호권·김종서의 '교육과정 개념모형'의 세 수준을 중...

      본 연구목적은 중학생에 대한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학의 중요 이론인 김호권·김종서의 '교육과정 개념모형'의 세 수준을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제 1수준에서는 중학교 음악 9종의 교과서에 수록 된 대중음악들을 분석해 보았고, 제 2수준에서는 음악교사들의 대중음악 활용실태를 파악했다. 그리고 제 3수준에서는 학생들의 입장을 중심으로 세분된 환경·정서적인 측면, 수업적 측면, 교육 과정적 측면에서 전주시내 남, 여 중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하였다.
      대중음악의 활용실태를 음악교과서로 분석한 결과, 현행 음악교과서에서 다루는 대중음악의 내용은 중학생들의 음악환경에서 쉽게 접하고 있는 대중음악의 성격과 많은 차이가 있음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문제점과 대중음악에 관한 청소년들의 설문지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방향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환경 정서적 측면의 설문분석 결과, 대중음악 중 대중가요를 선호하는 이유인 '리듬'과 '가락'의 활용도를 높여서 음악수업에 흥미를 느끼게 해야 한다. 특히 음악특별활동에서 '리듬의 표현력'과 '가락, 가사간의 미적 흐름'을 심도 있게 다루어 주어 음악을 즐기고 생활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교적 차원에서 학생들에게 클래식 연주회 참석만을 고집하기보다는 교사 동반 하에 대중가요 콘서트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수업적 측면의 설문분석 결과, 시험을 위한 이론위주와 수행평가를 위한 가창 위주의 수업보다는 대중음악과 클래식을 접목시킨 곡의 '감상'하게 하여 편안한 음악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그 동안 등안시하였던 락, 째즈 등의 다양한 리듬을 활용한 '기악수업', 다양 한 장르에 표현의 자유를 부여해 주는 '창작수업'으로 참여 학습을 실현해 나가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적 측면의 설문분석 결과, 음악교과서에 고정된 대중음악이 진부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의 음악환경을 교사의 이해와 관심으로 수용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제시된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방향을 향후 음악교과서 편찬 시에 참고해 주길 바란다. 그리고 음악교사들이 학교음악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대중음악 선정기준을 제시해 주고, 대중음악을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수업할 수 있게 보다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ducational method utilizing popular music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reviewed the curriculum of the music in the middle school adopting the three parts of the "The conceptual model of education curriculum(Kim Ho Kwan and Kim Jong Seo)" which is an important principle in the pedagogy.
      In the first part, it reviewed the popular music collected in the 9 text books of the music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part, it studied the music teachers' actual condition about using popular music.
      In the third part, it surveyed 200 boy and girl students who lives in Jeon Ju city to grasp the classified environmental and emotional effect, studying effect, and curricular effect mainly based on the students' view.
      As results of this study, it showed that the contents of the popular music in the text books are different from the popular musics that are familiar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So, in this stud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bout the popular musics, it presents the educational method of popular musics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vironmental and emotional effect, the musical education has the students interested in the musical class using the rhythm and melody more which are the main causes why the students like the popular music.
      Especially, extra musical activity has to deal with "the expression ability of rhythm" and "aesthetic following between the melody and word" and help the middle school students enjoy and exist with the music.
      And the school provide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popular music concert to students rather than insists that th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ical music concer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ying effect, the test has to focus on appreciating the music that is mixed with the popular and classical music more than singing a song to evaluate theoretical test so that the musical class is to be easy class.
      And, the musical class has to provide the participating class to students using instrumental class which uses a variety of rhythms such as rock, jazz, and so on and creation class which provides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a variety of genr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curricular effect, teachers have to accept the students' musical understanding that the popular musics which are included in the text books are old-fashioned with understand and interest.
      It suggested that the presented educational methods of popular musics above are considered in the procedure of editing the music text books next. And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use the popular musics as learning materials and provide the selection standards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ducational method utilizing popular music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reviewed the curriculum of the music in the middle school adopting the three parts of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ducational method utilizing popular music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reviewed the curriculum of the music in the middle school adopting the three parts of the "The conceptual model of education curriculum(Kim Ho Kwan and Kim Jong Seo)" which is an important principle in the pedagogy.
      In the first part, it reviewed the popular music collected in the 9 text books of the music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part, it studied the music teachers' actual condition about using popular music.
      In the third part, it surveyed 200 boy and girl students who lives in Jeon Ju city to grasp the classified environmental and emotional effect, studying effect, and curricular effect mainly based on the students' view.
      As results of this study, it showed that the contents of the popular music in the text books are different from the popular musics that are familiar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So, in this stud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bout the popular musics, it presents the educational method of popular musics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vironmental and emotional effect, the musical education has the students interested in the musical class using the rhythm and melody more which are the main causes why the students like the popular music.
      Especially, extra musical activity has to deal with "the expression ability of rhythm" and "aesthetic following between the melody and word" and help the middle school students enjoy and exist with the music.
      And the school provide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popular music concert to students rather than insists that th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ical music concer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ying effect, the test has to focus on appreciating the music that is mixed with the popular and classical music more than singing a song to evaluate theoretical test so that the musical class is to be easy class.
      And, the musical class has to provide the participating class to students using instrumental class which uses a variety of rhythms such as rock, jazz, and so on and creation class which provides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a variety of genr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curricular effect, teachers have to accept the students' musical understanding that the popular musics which are included in the text books are old-fashioned with understand and interest.
      It suggested that the presented educational methods of popular musics above are considered in the procedure of editing the music text books next. And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use the popular musics as learning materials and provide the selection standards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國文要約 = ⅰ
      • 목차 = ⅲ
      • 表目次 = ⅳ
      • 第1章 序論 = 1
      • 第1節 연구의 목적 = 1
      • 國文要約 = ⅰ
      • 목차 = ⅲ
      • 表目次 = ⅳ
      • 第1章 序論 = 1
      • 第1節 연구의 목적 = 1
      • 第2節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第2章 理論的 考察 = 5
      • 第1節 교육과정 개념모형의 선례 = 5
      • 第2節 대중음악의 개요와 종류 = 7
      • 第3節 청소년기의 정서적 특성과 음악 환경 = 11
      • 第4節 음악과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과 내용 = 13
      • 第5節 현대적 음악교육의 접근 = 24
      • 第3章 實態 및 分析 = 29
      • 第1節 음악교과서 분석 = 29
      • 第2節 설문지 분석 = 42
      • 第3節 분석의 종합 = 56
      • 第4章 結論 = 58
      • 參考文獻 = 60
      • Abstract = 62
      • 설문지 =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