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中世國語 溫度 表現 語彙의 體系와 그 形態·意味的 特性 = On the Lexical System and Morphological-Semantic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Words in Middle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4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中世國語 溫度 表現 語彙의 體系와 그 形態․意味的 特性을 고찰하고자 한 논의이다. 중세국어의 온도 표현 어휘 체계는 현대국어처럼 物理的 溫度 表現과 生理的 溫度 表現이 구별되지 않는 단순한 체계였다. 그러나 冷覺 表現에서 ‘칩다’에 의해 制限的으로 이 둘의 구별이 이루어짐으로써 국어 온도 표현 어휘가 二元的인 체계로 移行하는 始初를 보여준다. 중세국어의 溫覺 表現으로는 ‘덥다’, ‘덥듯하다’, ‘닷다/닷하다/다사다’, ‘*닷닷다/듯듯다’, ‘*닷믜욘하다’, ‘믜곤하다’ 등의 어휘가 있고, 冷覺 表現으로는 ‘차다’, ‘칩다’, ‘사날하다/서늘하다/서느럽다’, ‘서느서늘하다’ 등이 확인된다. 이들은 단순하지만 정연한 체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派生, 合成, 內的變化, 重疊 등 국어 감각 어휘의 주된 單語 形成 節次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흥미로운 어휘 부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中世國語 溫度 表現 語彙의 體系와 그 形態․意味的 特性을 고찰하고자 한 논의이다. 중세국어의 온도 표현 어휘 체계는 현대국어처럼 物理的 溫度 表現과 生理的 溫度 表現이 구별...

      본고는 中世國語 溫度 表現 語彙의 體系와 그 形態․意味的 特性을 고찰하고자 한 논의이다. 중세국어의 온도 표현 어휘 체계는 현대국어처럼 物理的 溫度 表現과 生理的 溫度 表現이 구별되지 않는 단순한 체계였다. 그러나 冷覺 表現에서 ‘칩다’에 의해 制限的으로 이 둘의 구별이 이루어짐으로써 국어 온도 표현 어휘가 二元的인 체계로 移行하는 始初를 보여준다. 중세국어의 溫覺 表現으로는 ‘덥다’, ‘덥듯하다’, ‘닷다/닷하다/다사다’, ‘*닷닷다/듯듯다’, ‘*닷믜욘하다’, ‘믜곤하다’ 등의 어휘가 있고, 冷覺 表現으로는 ‘차다’, ‘칩다’, ‘사날하다/서늘하다/서느럽다’, ‘서느서늘하다’ 등이 확인된다. 이들은 단순하지만 정연한 체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派生, 合成, 內的變化, 重疊 등 국어 감각 어휘의 주된 單語 形成 節次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흥미로운 어휘 부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made an attempt to research on the lexical system and morphological-semantic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words in Middle Korean. Unlike Modern Korean, the lexical system of temperature words in Middle Korean was simple one that physical temperature expression and physiological temperature expression were not divided clearly. However, they were divided restrictively by ‘chipda' in the cold sense words, It has come to our knowledge that the first aspect that Korean temperature words system shifts to the dualistic system began to show up. The warm sense words were appeared like ‘deopda', ‘deopdeuthada', ‘datda/dathada/dasada', ‘*datdatda/deutdeutda', ‘*datmaiyonhada', ‘maigonhada' and the cold sense words like ‘chada', ‘chipda', ‘sanalhada/seoneulhada/seoneureopda', ‘seoneu-seoneulhada' in Middle Korean. Those words system is simple and well-ordered, and shows the important word-formation process of Korean sensory words such as derivation, compound, internal change, reduplication etc..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made an attempt to research on the lexical system and morphological-semantic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words in Middle Korean. Unlike Modern Korean, the lexical system of temperature words in Middle Korean was simple one that phy...

      In this paper, I made an attempt to research on the lexical system and morphological-semantic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words in Middle Korean. Unlike Modern Korean, the lexical system of temperature words in Middle Korean was simple one that physical temperature expression and physiological temperature expression were not divided clearly. However, they were divided restrictively by ‘chipda' in the cold sense words, It has come to our knowledge that the first aspect that Korean temperature words system shifts to the dualistic system began to show up. The warm sense words were appeared like ‘deopda', ‘deopdeuthada', ‘datda/dathada/dasada', ‘*datdatda/deutdeutda', ‘*datmaiyonhada', ‘maigonhada' and the cold sense words like ‘chada', ‘chipda', ‘sanalhada/seoneulhada/seoneureopda', ‘seoneu-seoneulhada' in Middle Korean. Those words system is simple and well-ordered, and shows the important word-formation process of Korean sensory words such as derivation, compound, internal change, reduplication et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영, "후기 중세국어 색채어의 어휘적 특징과 의미" 국어학회 (47) : 235-263, 2006

      2 송정근, "현대국어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적 연구" 서울대 2007

      3 송철의, "한국어 형태음운론적 연구" 태학사 2008

      4 박동근, "한국어 형태론 연구의 새로운 모색" 소통 2008

      5 이남덕, "한국어 어원 연구Ⅲ - 형용사 어휘의 어원" 이화여대 출판부 1985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송철의, "파생어 형성과 통시성의 문제" 12 : 47-72, 1983

      8 이현희, "중세국어의 용언어간말 ‘--’의 성격에 대하여, In 국어학 신연구(약천 김민수 교수 화갑기념논문집)" 탑출판사 367-379, 1986

      9 이영경, "중세국어 형용사 구문 연구" 태학사 2007

      10 이현희, "중세국어 ‘둗겁-’의 형태론" 63 : 133-149, 1987

      1 이선영, "후기 중세국어 색채어의 어휘적 특징과 의미" 국어학회 (47) : 235-263, 2006

      2 송정근, "현대국어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적 연구" 서울대 2007

      3 송철의, "한국어 형태음운론적 연구" 태학사 2008

      4 박동근, "한국어 형태론 연구의 새로운 모색" 소통 2008

      5 이남덕, "한국어 어원 연구Ⅲ - 형용사 어휘의 어원" 이화여대 출판부 1985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송철의, "파생어 형성과 통시성의 문제" 12 : 47-72, 1983

      8 이현희, "중세국어의 용언어간말 ‘--’의 성격에 대하여, In 국어학 신연구(약천 김민수 교수 화갑기념논문집)" 탑출판사 367-379, 1986

      9 이영경, "중세국어 형용사 구문 연구" 태학사 2007

      10 이현희, "중세국어 ‘둗겁-’의 형태론" 63 : 133-149, 1987

      11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어문각 1992

      12 정재윤, "우리말 감각어 연구" 한신문화사 1989

      13 천시권, "온도어휘의 상관체계" 국어교육학회 12 : 1-14, 1980

      14 김창섭, "시각 형용사의 어휘론" 10 : 149-176, 1985

      15 송정근, "미각형용사의 형태론" 형태론 7 (7): 303-323, 2005

      16 이현희, "두시와 두시언해" 신구문화사 1997

      17 이현희, "다 어사의 성격에 대하여누러다와 엇더다 를 중심으로" 2 : 221-247, 1985

      18 송철의, "국어의 파생어형성 연구" 태학사 1992

      19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서울대 1994

      20 시정곤, "국어의 단어형성 원리(수정판)" 한국문화사 1998

      21 고영근, "국어 형태론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89

      22 정재윤, "국어 온도 감각 동사의 어휘체계" 한국어교육학회 75 : 15-28, 1991

      23 이기문,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1991

      24 김주필, "15세기 색채어형용사의 분화형과 그 통시적 특성, In 가곡 강신항 박사 정년퇴임기념 국어국문학논총" 태학사 7-27, 1995

      25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태학사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