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호텔종사원이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집단응집성의 조절효과 = The Control Effect of Collective Cohesion in the Influence of Employment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Citizens' Behavior by Chinese Hotel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96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is point in 2005, the development of networks and related technologies gradually narrow the level gap between Chinese hotels, revealing the limitations of continuous growth and comparative advantage with just capital and technology. In this environment, an entity must make the most of its core capabilities, among which its members are the most important. In order for an organization to gain and maintain a competitive edge, its members must continue to make efforts to create and implement new ideas, and the collective cohesion of its members is therefore noted as essential to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modern organization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s goals, Chinese hotel workers' knowledge of their work is required as well as high-quality organizational civic action among employees, and the importance of collective cohesion is increasing. Under this definition, we wanted to reveal how job insecurity perceived by employees affects the behavior of employees, and looked at collective cohesion as organizational civic actions such as the use and consideration of active networks among hotel employees.
      Currently, China's tourism industry continues to grow,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hotel companies and how job insecurity of Chinese hotel workers affects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as a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gram. Howev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llective cohesion in the same relationship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ed civic behavior in the existing research field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is study began with the aim of providing prac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hotel businesses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collective cohesion on job insecurity to employees of hotel compan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rdinary office workers.
      Looking at the detailed objectives set up to carry out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we wanted to see whether the perceived job insecurity of Chinese hotel employees had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and secondly, whether collective cohesion had a controll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ed civic action. Third, the hypothesis was adopted after validating the hypothesis that "the impact of employment insecurity perceptions on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will be controlled by collective cohesion." That is, in the case of high collective cohe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security and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ivil action, organizational civic action can be seen to be reduced even if employment insecurity increase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at hotels located in Wuhan, China. A total of 35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09 copies were collected, and the final 273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utilized the program as SPSS 24.0.
      번역하기

      At this point in 2005, the development of networks and related technologies gradually narrow the level gap between Chinese hotels, revealing the limitations of continuous growth and comparative advantage with just capital and technology. In this envir...

      At this point in 2005, the development of networks and related technologies gradually narrow the level gap between Chinese hotels, revealing the limitations of continuous growth and comparative advantage with just capital and technology. In this environment, an entity must make the most of its core capabilities, among which its members are the most important. In order for an organization to gain and maintain a competitive edge, its members must continue to make efforts to create and implement new ideas, and the collective cohesion of its members is therefore noted as essential to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modern organization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s goals, Chinese hotel workers' knowledge of their work is required as well as high-quality organizational civic action among employees, and the importance of collective cohesion is increasing. Under this definition, we wanted to reveal how job insecurity perceived by employees affects the behavior of employees, and looked at collective cohesion as organizational civic actions such as the use and consideration of active networks among hotel employees.
      Currently, China's tourism industry continues to grow,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hotel companies and how job insecurity of Chinese hotel workers affects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as a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gram. Howev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llective cohesion in the same relationship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ed civic behavior in the existing research field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is study began with the aim of providing prac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hotel businesses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collective cohesion on job insecurity to employees of hotel compan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rdinary office workers.
      Looking at the detailed objectives set up to carry out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we wanted to see whether the perceived job insecurity of Chinese hotel employees had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and secondly, whether collective cohesion had a controll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ed civic action. Third, the hypothesis was adopted after validating the hypothesis that "the impact of employment insecurity perceptions on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will be controlled by collective cohesion." That is, in the case of high collective cohe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security and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ivil action, organizational civic action can be seen to be reduced even if employment insecurity increase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at hotels located in Wuhan, China. A total of 35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09 copies were collected, and the final 273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utilized the program as SPSS 24.0.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세계적인 코로나19가 진행되면서 각 나라 관광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타격이 큰 가운데 각 업종의 피해가 컸고 호텔업계도 예외가 아니었다. 대부분 호텔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안고 있어 자본과 기술만으로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 선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호텔종사원은 불안한 고용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이 기업 내 핵심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야 하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은 조직구성원들이다. 조직이 경쟁우위를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해 조직구성원들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이를 실행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따라서 구성원들의 집단응집성은 현대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 분야에서 중국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하여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는 물론 같은 관계에서 집단응집성이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조직의 목표 달성에 공헌하기 위해서 중국 호텔종사원들의 업무에 관한 지식뿐만 아니라 종사원들끼리의 수준 높은 조직시민행동이 요구되어지며, 이들의 협동심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집단응집성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의 하에 종사원이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이 종사원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으며, 호텔종사원들끼리의 활발한 네트워크의 활용과 배려 등의 조직시민행동으로서 집단응집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보편적인 직장인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 호텔기업의 종사원에게 조직시민행동이 고용불안정성에 따른 집단응집성이 조절하는 효과를 파악하여 봄으로써 호텔기업에 실용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설정한 세부적인 목적을 살펴보면 첫째, 중국 호텔 종업원의 고용불안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화인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중국 호텔 종업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집단응집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고용불안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응집성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가설은 채택되었다. 즉,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영향 관계에서 집단응집성이 높은 경우에는 고용불안정성이 증가하더라도 조직시민행동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중국 우한시에 위치한 호텔에 종사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50부를 배포하고 309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 27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24.0 로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세계적인 코로나19가 진행되면서 각 나라 관광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타격이 큰 가운데 각 업종의 피해가 컸고 호텔업계도 예외가 아니었다. 대부분 호텔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안고 ...

      최근 세계적인 코로나19가 진행되면서 각 나라 관광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타격이 큰 가운데 각 업종의 피해가 컸고 호텔업계도 예외가 아니었다. 대부분 호텔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안고 있어 자본과 기술만으로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 선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호텔종사원은 불안한 고용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이 기업 내 핵심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야 하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은 조직구성원들이다. 조직이 경쟁우위를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해 조직구성원들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이를 실행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따라서 구성원들의 집단응집성은 현대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 분야에서 중국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하여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는 물론 같은 관계에서 집단응집성이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조직의 목표 달성에 공헌하기 위해서 중국 호텔종사원들의 업무에 관한 지식뿐만 아니라 종사원들끼리의 수준 높은 조직시민행동이 요구되어지며, 이들의 협동심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집단응집성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의 하에 종사원이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이 종사원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으며, 호텔종사원들끼리의 활발한 네트워크의 활용과 배려 등의 조직시민행동으로서 집단응집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보편적인 직장인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 호텔기업의 종사원에게 조직시민행동이 고용불안정성에 따른 집단응집성이 조절하는 효과를 파악하여 봄으로써 호텔기업에 실용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설정한 세부적인 목적을 살펴보면 첫째, 중국 호텔 종업원의 고용불안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화인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중국 호텔 종업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집단응집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고용불안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응집성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가설은 채택되었다. 즉,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영향 관계에서 집단응집성이 높은 경우에는 고용불안정성이 증가하더라도 조직시민행동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중국 우한시에 위치한 호텔에 종사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50부를 배포하고 309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 27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24.0 로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01
      • 제 1 절 연구 문제제기 및 목적 01
      • 1. 연구 문제제기 01
      • 2. 연구 목적 03
      •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04
      • 제 1 장 서론 01
      • 제 1 절 연구 문제제기 및 목적 01
      • 1. 연구 문제제기 01
      • 2. 연구 목적 03
      •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04
      • 1. 연구범위 04
      • 2. 연구방법 0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06
      • 제 1 절 고용불안정성 06
      • 1. 고용불안정성의 개념 06
      • 2. 고용불안정성의 선행연구 07
      • 제 2 절 조직시민행동 09
      • 1.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09
      • 2.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소 12
      • 3.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연구 15
      • 제 3 절 집단응집성 18
      • 1. 집단응집성의 개념 18
      • 2. 집단응집성의 선행연구 20
      • 제 3 장 연구 설계 23
      •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25
      • 1. 연구모형 설정 23
      • 2. 연구가설 설정 24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26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26
      • 2. 설문지 구성 29
      • 제 3 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0
      • 1. 자료수집 30
      • 2. 분석방법 31
      • 제 4 장 실증분석 32
      • 제 1 절 인구통계적 특성 32
      • 제 2 절 측정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34
      • 1. 신뢰성 검증 34
      • 2. 타당성 검증 38
      • 제 3 절 상관관계 분석 45
      • 제 4 절 가설 검증 47
      • 1. 가설 1 검증 47
      • 2. 가설 2 검증 49
      • 3. 가설 검증 결과 종합 52
      • 제 5 장 결론 53
      •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53
      • 1. 연구결과 요약 53
      • 2. 연구의 시사점 55
      •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59
      • ※ 참고문헌 61
      • ※ 부록(설문지) 76
      • ※ Abstract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