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미술치료학회 회원과 미술치료 전공 석, 박사과정생들의 수퍼비전 경험과 기대사항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체 205명의 대상자 중 미술치료 수퍼비전 경험자 1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미술치료학회 회원과 미술치료 전공 석, 박사과정생들의 수퍼비전 경험과 기대사항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체 205명의 대상자 중 미술치료 수퍼비전 경험자 10...
본 연구에서는 한국미술치료학회 회원과 미술치료 전공 석, 박사과정생들의 수퍼비전 경험과 기대사항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체 205명의 대상자 중 미술치료 수퍼비전 경험자 100명, 비경험자 105명의 훈련생과 수퍼비전 경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수퍼비전 경험, 수퍼비전 기대사항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미술치료 훈련생들은 대부분 30대의 여성으로, 석사이상의 학력을 소지하고 있으며, 절반 정도의 훈련생이 수퍼비전을 경험하고 있었다. 수퍼비전 경험이 있는 훈련생들의 경우, 10회 미만의 수퍼비전 횟수와 2명 이하의 여성 수퍼바이저로부터 수퍼비전을 받았으며, 수퍼비전의 형태는 개인수퍼비전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대부분 내담자의 미술작품을 가지고 설명하는 유형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달에 한번 30분정도, 수퍼바이저의 근무지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퍼비전 기대사항에 대해서는 경험자와 비경험자 대부분이 자신이 내담자에 대해 미처 보지 못하고 있던 측면을 지적받았을 때 수퍼비전에 만족하고 있으며, 미술치료 수퍼비전이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수퍼비전을 통해 미술치료에 있어서 실제적 방법을 배우게 되고 50대의 수퍼바이저를 바람직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수퍼바이저의 풍부한 경험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inion of 205 supervisees' view on supervision of art therapy. The subjects are members of KATA(Korea Art Therapy Association) and graduate students. 100 subjects had experience of supervision, and 105 subjects had no exp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inion of 205 supervisees' view on supervision of art therapy. The subjects are members of KATA(Korea Art Therapy Association) and graduate students. 100 subjects had experience of supervision, and 105 subjects had no experience of supervision. Questionnaire included various categories, such as supervision experience and expectation of supervi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Supervisees are almost female who are above 30-year old and graduate students. Subjects who had supervision experience usually got 10-session supervision from female supervisors, and prefered individual supervision. They favor once per a month as ideal frequency and 30 minutes per session. In expectation of supervision, they were satisfied with experience of feedback about client situation which they were not aware of and they think supervision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their career development. They expected that supervisors have 'plentiful knowledge' of art therapy, and are 50-years old. It found that they learned practical method of art therapy from supervision sess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해림,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713-729, 2006
2 박재황, "청소년상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3
3 유범희, "지도감독자의 입장에서 본 정신치료 개인지도감독" 32 (32): 839-852, 1993
4 유범희, "정신치료 개인지도감독에 대한 피감독자들의 의견조사Ⅱ" 30 (30): 366-384, 1991
5 심혜원, "상담자 발달 및 불안수준에 따른 자기대화 내용의 차이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05
6 김계현, "상담심리학 연구" 서울: 학지사 2000
7 김정택, "상담가 교육에 대한 연구: 대학원 석사과정 상담교육의 현황과 전문 상담가 양성 인턴십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5 (5): 13-29, 1993
8 최선남, "미술치료사 교육에서 슈퍼비젼의 중요성과 발전방향" 한국미술치료학회 14 (14): 391-410, 2007
9 강차연, "미술치료 실행가의 발달수준 및 대인관계 성향과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9 (9): 905-923, 2008
10 최선남, "미술치료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바이저의 인식 분석" 한국미술치료학회 16 (16): 297-318, 2009
1 최해림,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713-729, 2006
2 박재황, "청소년상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3
3 유범희, "지도감독자의 입장에서 본 정신치료 개인지도감독" 32 (32): 839-852, 1993
4 유범희, "정신치료 개인지도감독에 대한 피감독자들의 의견조사Ⅱ" 30 (30): 366-384, 1991
5 심혜원, "상담자 발달 및 불안수준에 따른 자기대화 내용의 차이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05
6 김계현, "상담심리학 연구" 서울: 학지사 2000
7 김정택, "상담가 교육에 대한 연구: 대학원 석사과정 상담교육의 현황과 전문 상담가 양성 인턴십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5 (5): 13-29, 1993
8 최선남, "미술치료사 교육에서 슈퍼비젼의 중요성과 발전방향" 한국미술치료학회 14 (14): 391-410, 2007
9 강차연, "미술치료 실행가의 발달수준 및 대인관계 성향과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9 (9): 905-923, 2008
10 최선남, "미술치료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바이저의 인식 분석" 한국미술치료학회 16 (16): 297-318, 2009
11 김지은, "놀이치료자가 평가한 가장 만족스러웠던 수퍼비전 경험과 가장 만족스럽지 못했던 수퍼비전 경험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2003
12 Cantor,D.W, "Women as therapists: What we already know in Women as therapists: A multitheoritical casebook" New York: Springer 3-19, 1991
13 McColley, S. H, "Training activities and styles of beginning supervisors : A survey" 13 : 283-292, 1982
14 Beulter, L. E., "Therapist variables in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4rd ed.)" New York: John Wiley 257-310, 1994
15 Perez, E. L., "The teaching of psychotherapy in Canadian psychiatric residency programs; residents' perceptions" 69 : 43-48, 1984
16 Loganbill, C., "Supervision: A conceptual model" 10 (10): 3-42, 1982
17 Schaverien, J, "Supervision of art psychotherapy" NY: Routledge 2007
18 Malchiodi, C. A, "Supervision & related issues" Chicago: Magnolia Street Publishers 1996
19 Hanes,M.J, "Retrospective review in art therapy: Creating a visual record of the therapeutic process" 40 : 149-160, 2001
20 Ellis, M. V, "Research on supervisee and client variables from 1981 to"
21 Holloway, E. L, "Relation between conceptual level and counseling-related tasks: A Meta-analysis" 33 (33): 310-319, 1986
22 Marshall, W. R, "Psychotherapy supervision: supervisee' perspectives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Wiley 1980
23 Hess, A. K, "Psychotherapy supervision: A survey of internship training practice" 14 : 504-513, 1983
24 Nelson,G,L, "Psychotherapy supervisiom from the trainee's point of view: A survey of preferences" 9 : 539-550, 1978
25 Edwards,D, "Learning about feelings: The role of supervision in art therapy training" 20 (20): 213-222, 1993
26 Berry, G. W, "Interactive effects of counselor-client similarity and client self-esteem on termination type and number of sessions" 38 : 120-125, 1991
27 Stadler, H. A., "Impairment: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professions" 66 : 258-260, 1988
28 Warren,R.L, "Experiential supervision through simultaneous Drawing and talking" 22 (22): 315-328, 1995
29 Worthington, E. L, "Effective supervision as perceived by beginning counselots in training" 26 (26): 64-73, 1979
30 Marwit,S.J, "Doctoral candidates' attitudes toward models of professional training" 14 : 105-111, 1983
31 Rabinowitz, F. E., "Descriptive study of process and outcome variables of supervision over time" 33 (33): 292-300, 1986
32 Ellis, M. V., "Clinical supervision research from 1981 to 1993: Methodological Critique" 43 : 35-50, 1996
33 Rubin.J.A, "Art therapy: An introduction" Taylor and Francis 1999
34 Elkins, D. 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Inc.: 2001-2002 membership survey report" 20 (20): 28-34, 2003
이혼가정아동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자 만족이전환비용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적절한 행동 차별강화에 의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상동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8 | 0.922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