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강수운의 지속과 변화가 한강변에 사는 사람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해 왔는지에 대한 생활사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서울의 한강은 그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35789
2013
Korean
한강 ; 수운 ; 장기지속 ; 포구경제 ; 근대화 ; 생활세계 ; Han river ; Water-transport ; Long term (Longue duree) ; Port economy ; Modernization ; Lifeworld
KCI등재
학술저널
5-34(3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강수운의 지속과 변화가 한강변에 사는 사람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해 왔는지에 대한 생활사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서울의 한강은 그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한...
이 연구는 한강수운의 지속과 변화가 한강변에 사는 사람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해 왔는지에 대한 생활사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서울의 한강은 그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한 구조적인 변화를 수반하게 되지만, 강이라는 자연환경의 체계 속에서 생존해 온 이른바 ‘강변사람들’의 생활은 과거와 같이 강을 매개로 생활세계를 지속시켜 나가기도 했다. 이러한 체계는 식민지 시기 철도 운송이 확대되는 시기에도 지속되었으며, 그 이후까지도 한강변 주민들은 여전히 강을 통해 들어오는 물자를 나르고 팔거나 하는 일들에 의존해 생존해 가고 있는 ‘나루를 뜯어먹고 사는 사람들’이 다수를 이루었다.
이러한 생활세계는 20세기 중반 이후 점점 소멸되어갔지만, 1960년대 댐건설이라는 수운을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든 상황이 될 때까지 지속된 현상이기도 했다. 곧 1960년대 후반 한강개발이 있기 전까지 서울의 한강변은 오랫동안 지속된 포구경제의 장기지속적 환경 속에서 생존해 갔던 역사를 보여준다. 따라서 20세기 한강수운의 역사는 근대화로 표상되는 철도운송과 대비되는 경제행위로서만이 아니라 한강변 마을이 강의 생태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존속해 왔던 20세기 전반기의 생활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villagers of Han river and the continuity of the Han River Water transport during the 1900’s~1960’s. As everyone knows, the “Miracle of Han river” represents the modernization of K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villagers of Han river and the continuity of the Han River Water transport during the 1900’s~1960’s. As everyone knows, the “Miracle of Han river” represents the modernization of Korea during the 20th century. However, before the 1960’s , rifeworld of the ‘riverside people’ who had been survived on the system of the natural environment maintained the lifeworld in structure of river which didn’t differ from the past. This system even las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expanding rail transportation system, additionally, riverside people depended on the river ecosystem and transport at that time, so they were called as a “people who grazing river ports”(those who depending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ports)
Their lifeworld gradually perished after the mid of 20th century, but these social landscapes last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dam in 1960’s. Especially, the riveside people of Seoul shows the history of long term that had been lasted for a long time before development of Han river or substantial urbanization. Thus, the history of transport of Han river can not only be understood as a economic activities compared to rail transportation but also can be interpreted as a way of lifeworld of 20th, continually interacting with natural environm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희, 한국구술사연구소 2008
2 홍성찬, "한말 서울 東幕의 미곡객주 연구 -彰熙組合, 西署東幕合資商會의 사례-" 경제사학회 42 : 3-31, 2007
3 서울특별시, "한강종합개발" 서울특별시 1986
4 박경룡, "한강수운과 경강상인"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7 : 23-41, 1995
5 김응종, "페르낭 브로델" 살림 2006
6 최완기, "조선후기 경강선의 기능과 역량" 서울시사편찬위원회 45 : 61-120, 1988
7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 도시사" 태학사 2007
8 이자벨 버드 비숍, "조선과 그 이웃들" 집문당 2000
9 서현정, "임창봉1935년 1월 21일생"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 2005
10 한강문화재연구원, "용강2구역 지표조사 보고서" 2008
1 권혁희, 한국구술사연구소 2008
2 홍성찬, "한말 서울 東幕의 미곡객주 연구 -彰熙組合, 西署東幕合資商會의 사례-" 경제사학회 42 : 3-31, 2007
3 서울특별시, "한강종합개발" 서울특별시 1986
4 박경룡, "한강수운과 경강상인"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7 : 23-41, 1995
5 김응종, "페르낭 브로델" 살림 2006
6 최완기, "조선후기 경강선의 기능과 역량" 서울시사편찬위원회 45 : 61-120, 1988
7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 도시사" 태학사 2007
8 이자벨 버드 비숍, "조선과 그 이웃들" 집문당 2000
9 서현정, "임창봉1935년 1월 21일생"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 2005
10 한강문화재연구원, "용강2구역 지표조사 보고서" 2008
11 安勝澤, "양수리에서의 지역의 시공간적 구성 : 기술의 도입과 문화적 전유에 대한 역사인류학적 접근"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12 안승택, "식민지 조선의 근대농법과 재래농법 : 경기남부 논밭병행영농의 환경·기술·역사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3 박일, "식민지 공업화를 보는 관점"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9 : 307-328, 1997
14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상공업사" 서울특별시 2003
15 상명대학교박물관, "서울 용강 제3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부지 내 생활사 연구보고서" 상명대학교박물관 2011
16 상명대학교박물관, "서울 용강 제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부지 내 생활사 연구보고서" 상명대학교박물관 2009
17 이태진, "서울 상업발달사 연구" 태학사 2000
18 권혁희, "사라져가는 도시의 시간과 공간의 재구성, In 로컬의 문화지형" 혜안 225-256, 2010
19 최영준, "남한강수운 연구" 대한지리학회 35 : 49-82, 1987
20 김재완, "구한말-일제강점기 한강 중류지역에 있어서 교통기관의 발달에 따른 유통구조의 변화" 6 (6): 1-36, 2000
21 강만길, "경강상인 연구" 14 (14): 23-47, 1971
22 서울역사박물관, "강남이야기로 보다" 서울역사박물관 2009
23 서울역사박물관, "강남사진으로 보다" 서울역사박물관 2009
24 農商貿省山林局, "韓國誌" 東京書員 1907
25 農商工部水産局, "韓國水産誌 제1집" 1908
26 京城商工會議所, "漢江流域利用調査(上中下)" 京城商工會議所 257 : 1937
27 京城商工會議所, "漢江の經濟的價値と麻浦の地位" 京城商工會議所 (192) : 11-12, 1931
28 "東亞日報"
29 吉田敬市, "朝鮮水産開發史" 朝水會 1954
30 "朝鮮日報"
31 이영학, "朝鮮後期 魚物의 유통" 서울대 한국학연구원 27 : 205-245, 2001
32 "承政院日記"
33 阿部辰之助, "大陸之京城" 京城調査會 1918
34 金鍾赫, "北漢江水運硏究" 고려대 1992
35 "京鄕新聞"
36 京城府, "京城都市計劃調査書" 京城府 1928
37 京城居留民團役所, "京城發達史" 京城居留民團役所 1912
『용비어천가』의 전거(典據)와 체재(體裁)에 대한 연구
『송강가사(松江歌辭)』에 대한 가람 이병기의 비평과 정전화(正典化)의 실제
한국어 배우자 가족 호칭의 문제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16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