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육사 시의 국어교재 정착과 수용의 문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4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이육사 시의 국어교재 정착과정과 문학교실에서의 수용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착과정은 주로 이육사 시가 국어교재에 교육정전으로 편입되는 과정을 다루는 것이고, 수용...

      본고는 이육사 시의 국어교재 정착과정과 문학교실에서의 수용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착과정은 주로 이육사 시가 국어교재에 교육정전으로 편입되는 과정을 다루는 것이고, 수용의 과정은 이육사 시의 교수․학습방식과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육정전으로 이육사 시가 처음으로 수록된 것은 국어교과서에 앞서 독본류 국어교재류에서 먼저 정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해방직후 발간된 사범대학국문학회 편찬,『고급국어』1(범인사, 1947)에서 「청포도」와 「광야」가 처음으로 수록되었으며, 한국전쟁기인 피난지 부산에서 발행된 조향 편, 『현대국문학수』(자유장, 1952)에 「청포도」, 「연보」, 「절정」, 「아편」, 「광야」 등이 실렸다. 이는 문학 장에서 시선집(사화집)을 중심으로 정전화되었던 이육사 시가 교육정전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차교육과정부터 국어교과서에 본격적으로 자리 잡은 작품은 「청포도」와 「광야」였다. 「청포도」와 「광야」가 오랫동안 변함없이 교육정전으로 대우받다가 1980년대를 지나면서 「절정」, 「꽃」, 「교목」 등이 추가되었다. ‘순수/민족의 검열체계’를 통과할 수 있는 표지를 갖고 있었던 이들 작품들은 소위 ‘신비평적 조건’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었기에 교육정전으로 공고하게 자리잡을 수 있었다.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이육사 시는 우리 문학교실에서 주로 역사주의 비평과 신비평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다. 그래서 작가의 삶이나 독립지사로서의 행적, 또는 일제강점기란 시대를 중심으로, 아니면 텍스트의 내부 맥락 또는 비유나 상징 같은 분석주의적 지식을 통해 교육되거나 해석되기 일쑤였다. 이러한 방식이 가진 문제점은 알레고리보다는 ‘다치적 사고의 산물’이랄 수 있는 상징을 적극 활용하거나 학습자들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시읽기 과정 등을 통해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settl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Lee Yuk-sa and the process of acceptance in the literature classes.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canonization process contain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he ...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settl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Lee Yuk-sa and the process of acceptance in the literature classes.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canonization process contain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he latter concern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secondary schools.
      The education canon is firmly establish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textbooks, literature readings, explanatory books, classes, and evaluation. Lee Yuk-sa’s poems were included for the first time as an education canon in the Korean language reading textbook, Advanced Korean Textbook(vol.1) (1947). In this book, “Green grape” and “Extensive plain” were included. Afterwards, The Selec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orks(Cho Hyang ed., 1952) was published in Busan, a place of refuge in 1952, during the Korean War. In this book, “Green grape”, “Chronology of life”, “Climax”, “Opium”, and “Extensive plain” were canonized. It was from the first curriculum that poems of Lee Yuk-sa entered the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in earnest. Up to now, five pieces of Lee Yuksa’s poems have been canoniz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ing “Green grape”, “Extensive plain”, “Climax”, “Tall Tree” and “Flower”. It can be seen that 5 out of 11 poems from Lee Yuk-sa which were canonized centering on anthology(collection of pomes) in the literature field are transitioning to an education canon.
      Lee Yuk-sa’s poem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long been under the influence of historical criticism, or New Criticism. Lee Yuk-sa is educated as a representative resistance poet in the secondary school literature classroom, and learners read most of Lee Yuk-sa’s poems in the context of resistance poetry. Or an analytic method of interpreting poetry that utilized knowledge of rhyme, metaphor, symbol, image, irony, and paradox was popular.
      Considering the literary and educational path of Lee Yuk-sa’s poetry so far,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e following points agai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Lee Yuk-sa"s poems.
      First, it is necessary to avoid reading the poems of Lee Yuk-sa writt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verly allegorically.
      Second, it is necessary to accept various interpretations that can occur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ird, students must actively and subjectively read poems based on their internal and external b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이육사 시의 국어교재 정착
      • Ⅲ. 교수·학습 방식과 수용의 문제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이육사 시의 국어교재 정착
      • Ⅲ. 교수·학습 방식과 수용의 문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여탁, "현대시교육론" 사회평론 2010

      2 오연경, "현대시 정전 형성의 이론화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2016

      3 박용찬, "한국전쟁 직전 국어교재에 실린 문학텍스트의 구성담론과 국가주의 시선으로의 이동" 한국어문학회 (119) : 223-253, 2013

      4 우한용, "한국근대문학교육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5 류덕제,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이해" 보고사 2011

      6 이순욱, "조향의 문학독본과 1950년대 대학 문학교육" 한국문학회 (76) : 438-477, 2017

      7 손병희, "이육사전집Ⅰ-이육사의 문학" 이육사문학관 2017

      8 박용찬, "이육사 시의 정전화 과정과 특징 연구" 한국어문학회 (148) : 233-272, 2020

      9 김창원, "시교육의 사적 연구" 역락 2016

      10 강석, "시교육 정전 연구" 역락 2013

      1 윤여탁, "현대시교육론" 사회평론 2010

      2 오연경, "현대시 정전 형성의 이론화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2016

      3 박용찬, "한국전쟁 직전 국어교재에 실린 문학텍스트의 구성담론과 국가주의 시선으로의 이동" 한국어문학회 (119) : 223-253, 2013

      4 우한용, "한국근대문학교육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5 류덕제,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이해" 보고사 2011

      6 이순욱, "조향의 문학독본과 1950년대 대학 문학교육" 한국문학회 (76) : 438-477, 2017

      7 손병희, "이육사전집Ⅰ-이육사의 문학" 이육사문학관 2017

      8 박용찬, "이육사 시의 정전화 과정과 특징 연구" 한국어문학회 (148) : 233-272, 2020

      9 김창원, "시교육의 사적 연구" 역락 2016

      10 강석, "시교육 정전 연구" 역락 2013

      11 정재찬, "문학교육의 현상과 인식" 역락 2004

      12 최지현,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역락 2007

      13 이남호,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현대문학 2001

      14 도진순, "강철로 된 무지개" 창비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4 1.1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