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뉴스 빅데이터를 통한 코로나 19 담론과 사회복지 개입방안: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 COVID-19 Discourse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hrough Online News Big Data: Focusing on the Elderly Living Al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56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ues to social welfare policy making by revealing discourse on social intervention and response based on big data on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VID-19 situation.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topic analysis were utiliz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news media have portrayed challenges facing older individuals and the ways in whic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as private organization have responded to the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tworks(degree, closeness, betweenness) were formed around region, delivery, society, support, and vulnerability, suggesting an increased demand for economic assistance and social support as well as stronger service delivery systems. Second, key topics derived included “establishing public delivery systems”, “establishing local networks”, “Managing care gap”, “Establishing a private economic support system”, and “Establishing service organization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iscourse on the organic role of government, communities and the private sector has been presented, suggesting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proposing a discussion on how to intervene for elderly living alone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VID-19.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ues to social welfare policy making by revealing discourse on social intervention and response based on big data on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VID-19 situation.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top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ues to social welfare policy making by revealing discourse on social intervention and response based on big data on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VID-19 situation.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topic analysis were utiliz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news media have portrayed challenges facing older individuals and the ways in whic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as private organization have responded to the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tworks(degree, closeness, betweenness) were formed around region, delivery, society, support, and vulnerability, suggesting an increased demand for economic assistance and social support as well as stronger service delivery systems. Second, key topics derived included “establishing public delivery systems”, “establishing local networks”, “Managing care gap”, “Establishing a private economic support system”, and “Establishing service organization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iscourse on the organic role of government, communities and the private sector has been presented, suggesting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proposing a discussion on how to intervene for elderly living alone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VID-19.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의 독거노인에 대한 빅데이터를 토대로 사회전반적인 개입 및 대응의 담론을 밝힘으로써 사회복지적 정책 수립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9년 25일까지 수집된 온라인 뉴스 데이터를활용하여 사회관계망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관계망 분석결과, 연결정도 중심성, 위세중심성, 매개중심성 모두 지역, 전달, 사회, 지원, 취약을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됨으로써 독거노인에 대해서는 각종 지원 및 서비스 전달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공공전달체계 구축’‘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돌봄공백 보전관리’‘민간 경제적 지원체계 구축’‘봉사조직체계 구축’등의 주제가 나타나며, 크게 정부, 지역사회, 민간에서의 유기적역할에 대한 담론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언함으로써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의 독거노인에 대한 빅데이터를 토대로 사회전반적인 개입 및 대응의 담론을 밝힘으로써 사회복지적 정책 수립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의 독거노인에 대한 빅데이터를 토대로 사회전반적인 개입 및 대응의 담론을 밝힘으로써 사회복지적 정책 수립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9년 25일까지 수집된 온라인 뉴스 데이터를활용하여 사회관계망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관계망 분석결과, 연결정도 중심성, 위세중심성, 매개중심성 모두 지역, 전달, 사회, 지원, 취약을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됨으로써 독거노인에 대해서는 각종 지원 및 서비스 전달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공공전달체계 구축’‘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돌봄공백 보전관리’‘민간 경제적 지원체계 구축’‘봉사조직체계 구축’등의 주제가 나타나며, 크게 정부, 지역사회, 민간에서의 유기적역할에 대한 담론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언함으로써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데일리, "한국거래소, 독거노인 400명에 도시락⋅코로나 예방물품 전달"

      2 뉴스웍스, "한국MS, ‘언택트’ 노인 돌봄 서비스 실증사업 시작"

      3 이한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에 대한방문돌봄서비스의 대응 및 과제" 378 : 1-11, 2020

      4 보건복지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

      5 질병관리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범정부대책회의 브리핑"

      6 윤홍식,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과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 위기 이후 복지국가의 길‘들’"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8) : 113-142, 2020

      7 대한요양병원협회, "코로나19 대응본부 업무보고"

      8 노컷뉴스, "코로나19 고위험군 만성질환 독거노인, 전화로 관리"

      9 석희정, "코로나19 감염병 발생과 지역사회복지관의 비대면서비스 운영실태" 경기복지재단 381 : 1-11, 2020

      10 이양호, "코로나-19 팬데믹과 국가 : 중국과 미국의 비교"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76) : 28-61, 2020

      1 이데일리, "한국거래소, 독거노인 400명에 도시락⋅코로나 예방물품 전달"

      2 뉴스웍스, "한국MS, ‘언택트’ 노인 돌봄 서비스 실증사업 시작"

      3 이한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에 대한방문돌봄서비스의 대응 및 과제" 378 : 1-11, 2020

      4 보건복지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

      5 질병관리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범정부대책회의 브리핑"

      6 윤홍식,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과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 위기 이후 복지국가의 길‘들’"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8) : 113-142, 2020

      7 대한요양병원협회, "코로나19 대응본부 업무보고"

      8 노컷뉴스, "코로나19 고위험군 만성질환 독거노인, 전화로 관리"

      9 석희정, "코로나19 감염병 발생과 지역사회복지관의 비대면서비스 운영실태" 경기복지재단 381 : 1-11, 2020

      10 이양호, "코로나-19 팬데믹과 국가 : 중국과 미국의 비교"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76) : 28-61, 2020

      11 이나윤,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171-179, 2020

      12 김희숙, "코로나 19, 재가노인복지시설의 대응과 과제" 87-94, 2020

      13 김학만, "코로나 19 사태 이후 사회복지정책의 변화 논의 : 체계와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사회연구소 4 (4): 63-86, 2020

      14 세계일보, "취약층 줄 안서게… ‘마스크 복지’ 나선다"

      15 충청신문, "조치원읍 신흥 5리 마을회, 독거노인 등 200가구에 밑반찬 전달"

      16 송승민,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75-99, 2018

      17 강은나, "우리나라 세대별 1인 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2016 (2016): 47-56, 2016

      18 황명화, "여론 모니터링을 위한 비정형 빅데이터 시공간분석 방법론 연구" 국토연구원 10-, 2014

      19 이미란, "에이징 커뮤니티 구축을 위한 지역 저소득 싱글 남성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연구" 437-438, 2019

      20 경기복지재단, "언택트 시대 노년과 셀프케어의 활용방안 연구" 2020

      21 경인매일, "양주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독거노인 위한 코로나 위생키트 전달"

      22 곽기영, "소셜네트워크 분석" 청람 2017

      23 안수란, "사회복지 생활시설의 감염병 대응 현황과 과제" 381 : 1-11, 2020

      24 박상훈, "사회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전통시장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SH공사 도시연구원 7 (7): 109-125, 2017

      25 손동원, "사회 사회관계망 분석" 2010

      26 "빅카인즈"

      27 이경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학대 인식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367-382, 2018

      28 함유근, "빅데이터, 경영을 바꾸다" INITIAL COMMUNICATIONS Corp 2012

      29 전윤미, "빅데이터 기반의 커뮤니티케어 키워드 및 사회연결망분석"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4 (24): 251-269, 2019

      30 "보건복지부"

      31 매일경제, "문 닫은 노인 일자리사업…64만명 중 53만명 ‘강제 휴직’"

      32 유용식, "돌봄서비스가 독거노인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179-186, 2020

      33 권혁철,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빈곤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26 (26): 135-160, 2019

      34 한아름, "독거노인의 마스크 사용현황 및 마스크 사용지식과 사용행위 관련요인" 258-258, 2020

      35 송인주, "독거노인 돌봄유형별 지원체계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14

      36 사이드뷰, "도움 거절..“코로나19가 더 무서운 독거노인들”"

      37 문진영, "노인의 정보접근성 강화 방안 연구: 서울노인의 연령집단별, 정보종류별 정보매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40): 283-320, 2020

      38 정경희, "노년기 독거 현황과 정책적 대응 전략" 300 : 1-8, 2015

      39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7

      40 박승정, "국내 주요일간지의 대통령 이슈소유권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20 (20): 25-56, 2017

      41 더조은뉴스, "광양시 진상면 익명의 독지가, 명절 맞아 1백만 원 기탁"

      42 류연규, "가족의 돌봄 공백에 대응하는 돌봄의 사회화 정책의 성격 규명"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37) : 113-154, 2012

      43 머니투데이, "“도와주러도 오지 마라” 코로나19가 더 슬픈 독거노인들"

      44 경남데일리, "‘코로나 있다’ 독거노인 마스크 전달 캠페인"

      45 최항순, "[정책제안] 코로나 시대 노인복지의 방향" 178 : 53-55, 2020

      46 "WHO"

      47 Bonacich, P., "Some unique properties of eigenvector centrality" 29 (29): 555-564, 2007

      48 Steptoe, A.,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all-cause mortality in older men and women" 110 (110): 5797-5801, 2013

      49 Nikolich-Zugich, J., "SARS-CoV-2 and COVID-19in older adults : what we may expect regarding pathogenesis, immune responses, and outcomes" 1-10, 2020

      50 Diesner, J., "Revealing social structure from texts" 81 (81): 65-72, 2004

      51 Blei, D. M., "Probabilistic topic models" 55 (55): 77-84, 2012

      52 Wang, C., "Immediate psychological responses and associated factors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2019 Coronavirus Disease(COVID-19)Epidemic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n China" 17 (17): 1-25, 2020

      53 Griffiths, T. L., "Finding scientific topics" 101 (101): 5228-5235, 2004

      54 Palombi, L., "Does the Coronavirus(COVID-19)Pandemic Call for a New Model of Older People Care?" 8 : 311-, 2020

      55 Carley, K., "Coding choices for textual analysis : A comparision of content analysis and map analysis" 23 : 75-126, 1993

      56 Armitage, R., "COVID-19 and the consequences of isolating the elderly" 5 (5): e256-, 2020

      57 Lloyd-Sherlock, P., "Bearing the brunt of covid-19 : older people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368 : 2020

      58 Hansen, D., "Analysing Social Media Networks with Node XL: Insights from a Connected World" Morgan kaufmann 2010

      59 메디칼옵저버, "4월부터 75세 이상 노인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

      60 보건복지부, "2019 장기요양 실태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