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원도심 숙박시설 확충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에 관한 연구 : - 충북 제천시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in the Original City - Focusing ChungBuk Jeche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24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eed for urban regeneration has emerged as existing urban readjustment projects have caused urban population to decline, the departure of traditional industries, and the dissolution of local communities. Against this backdrop, "stay-type tourism" has emerged as a new growth engine for the region, along with cultural and tourism-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actively utilize local resources. As a way to promote stay-at-home tourism, several local governments have begun to build guest houses linked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gainst this backdrop, Jecheon-si established three guest hous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area where the guest house is located is the area wher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been completed,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plan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Jecheon-si,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city that developed into the coal mining industry in the past, and the regional decline began to accelerate after the policy to encourage abandoned mines. Jecheon City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reconstruct the original city center, but failed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and has been working to rebuild the original city center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ince 2016.
      Jecheon City has selected stay-type tourism as a driving force for urban growth since 2018, and is focusing on securing tourism contents and tourism infrastructure in conne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nder such urban revitalization policies, three guest houses have been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ut the policies for operating and managing them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plan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o this end, both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asures to regenerate the original city center and expand accommodation facilities were studied,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that could be expanded in Jecheon City were derived through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Jecheon City.
      As an empirical study,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plan was to be derived through the case of other local governments, and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guest house and the contribu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lanning to create a hub space for education, medical and cultural in the original city center as a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lthough tourism resources in the downtown area of Jecheon were insufficient, Jecheon's recent active urban tourism polic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inflow of urban population in the future. However, accommodation for travelers was found to be poor in the downtown area of Jecheon, where tourism contents and infrastructure were developed around the existing Cheongpung area. Measures to expand accommodation facilities are needed preemptively in preparation fo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in urban areas in the futur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oper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by other local governments, Gongju boarding village, which is operated directly by the city, is suffering from a deficit due to high price formation, lack of breakfast, and lack of public space. The Tongli Guest House in Taebaek City is the only guest house in the region, serving as a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local residents, and as a population inflow element in the city through the Enzyme Steam Cafe in connection with the guesthouse. In the case of Jecheon City, various amenities, auxiliary facilities, and low prices attract outside tourists, but its role as a community facility for local residents is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and create its own profit-generating programs to fulfill its responsibility for local regeneration.

      Two proposals were made to proactively expand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the growing number of tourists in urban areas. To this end, the government proposed the use of studio and multi-family housing near local universities to prevent the decline of the local economy due to the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improvement of old motels and inn remodeling facilities to utilize existing resources. In order to prepare legal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and ground conditions for sustainable oper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the necessity of enacting ordinances, and the establishment of village enterprises to effectively operate accommodation facilities through education. In particular, village companies emphasize locality and have the effect of creating jobs in the region, so the introduction of village companies related to urban lodging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vitalizing the region. In addition, the government proposed ways to promote profit-making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guest houses in connection with the one-week living program represented by the stay-at-home tourism program.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was limited to Jecheon City among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provincial areas, and that it was opened for cases with a very short operation period. Subsequent research will require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ccommodation facilities in large and small cities, and a survey of satisfaction and re-visit doctors will be required for accommodation users. It is also said that quantitative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actual regional revitalization.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ways to maintain business performance by utilizing guest houses, a joint urban regeneration facility at the en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번역하기

      The need for urban regeneration has emerged as existing urban readjustment projects have caused urban population to decline, the departure of traditional industries, and the dissolution of local communities. Against this backdrop, "stay-type tourism" ...

      The need for urban regeneration has emerged as existing urban readjustment projects have caused urban population to decline, the departure of traditional industries, and the dissolution of local communities. Against this backdrop, "stay-type tourism" has emerged as a new growth engine for the region, along with cultural and tourism-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actively utilize local resources. As a way to promote stay-at-home tourism, several local governments have begun to build guest houses linked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gainst this backdrop, Jecheon-si established three guest hous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area where the guest house is located is the area wher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been completed,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plan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Jecheon-si,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city that developed into the coal mining industry in the past, and the regional decline began to accelerate after the policy to encourage abandoned mines. Jecheon City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reconstruct the original city center, but failed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and has been working to rebuild the original city center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ince 2016.
      Jecheon City has selected stay-type tourism as a driving force for urban growth since 2018, and is focusing on securing tourism contents and tourism infrastructure in conne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nder such urban revitalization policies, three guest houses have been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ut the policies for operating and managing them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plan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o this end, both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asures to regenerate the original city center and expand accommodation facilities were studied,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that could be expanded in Jecheon City were derived through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Jecheon City.
      As an empirical study,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plan was to be derived through the case of other local governments, and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guest house and the contribu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lanning to create a hub space for education, medical and cultural in the original city center as a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lthough tourism resources in the downtown area of Jecheon were insufficient, Jecheon's recent active urban tourism polic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inflow of urban population in the future. However, accommodation for travelers was found to be poor in the downtown area of Jecheon, where tourism contents and infrastructure were developed around the existing Cheongpung area. Measures to expand accommodation facilities are needed preemptively in preparation fo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in urban areas in the futur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oper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by other local governments, Gongju boarding village, which is operated directly by the city, is suffering from a deficit due to high price formation, lack of breakfast, and lack of public space. The Tongli Guest House in Taebaek City is the only guest house in the region, serving as a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local residents, and as a population inflow element in the city through the Enzyme Steam Cafe in connection with the guesthouse. In the case of Jecheon City, various amenities, auxiliary facilities, and low prices attract outside tourists, but its role as a community facility for local residents is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and create its own profit-generating programs to fulfill its responsibility for local regeneration.

      Two proposals were made to proactively expand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the growing number of tourists in urban areas. To this end, the government proposed the use of studio and multi-family housing near local universities to prevent the decline of the local economy due to the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improvement of old motels and inn remodeling facilities to utilize existing resources. In order to prepare legal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and ground conditions for sustainable oper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the necessity of enacting ordinances, and the establishment of village enterprises to effectively operate accommodation facilities through education. In particular, village companies emphasize locality and have the effect of creating jobs in the region, so the introduction of village companies related to urban lodging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vitalizing the region. In addition, the government proposed ways to promote profit-making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guest houses in connection with the one-week living program represented by the stay-at-home tourism program.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was limited to Jecheon City among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provincial areas, and that it was opened for cases with a very short operation period. Subsequent research will require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ccommodation facilities in large and small cities, and a survey of satisfaction and re-visit doctors will be required for accommodation users. It is also said that quantitative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actual regional revitalization.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ways to maintain business performance by utilizing guest houses, a joint urban regeneration facility at the en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 도시정비사업이 도시의 인구감소, 전통산업의 이탈, 지역커뮤니티의 해체 등을 발생시키면서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지역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문화적 ·관광형 도시재생사업과 함께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체류형 관광’이 부상하였다. 체류형 관광활성화 방안으로 여러 지자체들은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한 게스트하우스를 건립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배경 아래 제천시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3개소의 게스트하우스를 건립하였다. 게스트하우스가 소재한 지역은 도시재생사업이 종료된 지역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성과를 유지할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 종료지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위해 숙박시설의 관리·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제천시는 과거 탄광산업의로 발전한 도시로, 폐광장려 정책 이후 지역쇠퇴가 가속화되기 시작하였다. 제천시는 원도심을 재건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펼쳤으나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고 2016년부터 도시재생사업을 통하여 원도심 재건에 힘쓰고 있다.
      제천시는 2018년부터 도시 성장동력으로 체류형 관광을 선정하였으며,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여 관광콘텐츠와 관광인프라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시활성화 정책 하에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여 게스트하우스 3개소를 건립하였으나, 아직 이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정책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하여 숙박시설의 관리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원도심 재생방안과 숙박시설 확충방안 등을 연구하였으며, 제천시의 현황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제천시에 향후 확충 가능한 숙박시설 도출하였다. 실증연구로는 타지자체 사례를 통하여 관리운영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제천시의 도시재생연계 게스트하우스 운영자 면담을 통해 현행 게스트하우스의 운영특성과 향후 도시재생활성화의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의 한 부문으로 원도심 교육·의료·문화 거점공간 조성을 추진전략으로 세우고 있었다. 제천시 도심권 관광자원은 미흡했으나, 최근 제천시의 적극적인 도심권 체류형 관광 정책으로 향후 도심권 인구유입이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기존 청풍권역을 중심으로 관광콘텐츠와 인프라가 발달한 제천시의 도심권 내에는 여행객을 위한 숙박시설이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도심권 관광객 증가를 대비하여 선제적으로 숙박시설 확충 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타 지자체의 도시재생을 통한 숙박시설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 시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는 공주 하숙마을의 경우 주변 상권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소 높은 가격 형성과 조식 미제공, 부족한 공용공간 등으로 적자를 면치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백시의 통리 게스트하우스는 지역 유일의 게스트하우스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평생교육원의 역할, 게스트하우스와 연계한 도심권 효소찜질카페를 통하여 도심권에 인구 유입 요소로 활용하며, 지역 커뮤니티시설의 역할을 다하고 있었다. 제천시의 경우 다양한 편의시설과 부대시설, 저렴한 가격으로 외부 관광객을 유인하고 있으나 지역주민의 커뮤니티시설로서의 역할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재생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서 지역주민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제공 , 자체 수익창출 프로그램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증가하는 도심권 관광객을 위한 숙박시설을 선제적으로 확충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신규 도시재생 연관 숙박시설 건립을 위해, 학령인구감소로 인한 지역경제 쇠퇴를 방지하기 위한 지역대학 근처 원룸 및 다가구주택 활용방안, 기존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노후 모텔 및 여관 리모델링 시설개선을 통하여 여행객을 위한 숙박시설로의 변경을 제안하였다. 지속가능한 숙박시설 운영을 위해 방안으로 법·제도적 정비와 근거조건을 마련하기 위해 조례 제정의 필요성, 교육을 통한 효과적인 숙박시설 운영과 주민참여 확대를 위한 마을기업 설립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마을기업은 지역성을 강조하며,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어, 도시민박 관련 마을기업의 도입이 지역활성화를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체류형 관광 프로그램으로 대표되는 일주일 살기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게스트하우스의 수익창츨 도모와 가동률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중소도시 중 제천시에 한정했다는 점, 그리고 개관하여 운영기간이 매우 짧은 사례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숙박시설 특성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숙박시설 이용객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재방문의사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제 지역활성화에 미치는 기여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정량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하지만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종료지의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인 게스트하우스를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과 사업성과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기존 도시정비사업이 도시의 인구감소, 전통산업의 이탈, 지역커뮤니티의 해체 등을 발생시키면서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지역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문화적...

      기존 도시정비사업이 도시의 인구감소, 전통산업의 이탈, 지역커뮤니티의 해체 등을 발생시키면서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지역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문화적 ·관광형 도시재생사업과 함께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체류형 관광’이 부상하였다. 체류형 관광활성화 방안으로 여러 지자체들은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한 게스트하우스를 건립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배경 아래 제천시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3개소의 게스트하우스를 건립하였다. 게스트하우스가 소재한 지역은 도시재생사업이 종료된 지역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성과를 유지할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 종료지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위해 숙박시설의 관리·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제천시는 과거 탄광산업의로 발전한 도시로, 폐광장려 정책 이후 지역쇠퇴가 가속화되기 시작하였다. 제천시는 원도심을 재건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펼쳤으나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고 2016년부터 도시재생사업을 통하여 원도심 재건에 힘쓰고 있다.
      제천시는 2018년부터 도시 성장동력으로 체류형 관광을 선정하였으며,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여 관광콘텐츠와 관광인프라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시활성화 정책 하에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여 게스트하우스 3개소를 건립하였으나, 아직 이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정책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하여 숙박시설의 관리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원도심 재생방안과 숙박시설 확충방안 등을 연구하였으며, 제천시의 현황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제천시에 향후 확충 가능한 숙박시설 도출하였다. 실증연구로는 타지자체 사례를 통하여 관리운영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제천시의 도시재생연계 게스트하우스 운영자 면담을 통해 현행 게스트하우스의 운영특성과 향후 도시재생활성화의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의 한 부문으로 원도심 교육·의료·문화 거점공간 조성을 추진전략으로 세우고 있었다. 제천시 도심권 관광자원은 미흡했으나, 최근 제천시의 적극적인 도심권 체류형 관광 정책으로 향후 도심권 인구유입이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기존 청풍권역을 중심으로 관광콘텐츠와 인프라가 발달한 제천시의 도심권 내에는 여행객을 위한 숙박시설이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도심권 관광객 증가를 대비하여 선제적으로 숙박시설 확충 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타 지자체의 도시재생을 통한 숙박시설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 시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는 공주 하숙마을의 경우 주변 상권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소 높은 가격 형성과 조식 미제공, 부족한 공용공간 등으로 적자를 면치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백시의 통리 게스트하우스는 지역 유일의 게스트하우스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평생교육원의 역할, 게스트하우스와 연계한 도심권 효소찜질카페를 통하여 도심권에 인구 유입 요소로 활용하며, 지역 커뮤니티시설의 역할을 다하고 있었다. 제천시의 경우 다양한 편의시설과 부대시설, 저렴한 가격으로 외부 관광객을 유인하고 있으나 지역주민의 커뮤니티시설로서의 역할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재생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서 지역주민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제공 , 자체 수익창출 프로그램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증가하는 도심권 관광객을 위한 숙박시설을 선제적으로 확충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신규 도시재생 연관 숙박시설 건립을 위해, 학령인구감소로 인한 지역경제 쇠퇴를 방지하기 위한 지역대학 근처 원룸 및 다가구주택 활용방안, 기존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노후 모텔 및 여관 리모델링 시설개선을 통하여 여행객을 위한 숙박시설로의 변경을 제안하였다. 지속가능한 숙박시설 운영을 위해 방안으로 법·제도적 정비와 근거조건을 마련하기 위해 조례 제정의 필요성, 교육을 통한 효과적인 숙박시설 운영과 주민참여 확대를 위한 마을기업 설립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마을기업은 지역성을 강조하며,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어, 도시민박 관련 마을기업의 도입이 지역활성화를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체류형 관광 프로그램으로 대표되는 일주일 살기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게스트하우스의 수익창츨 도모와 가동률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중소도시 중 제천시에 한정했다는 점, 그리고 개관하여 운영기간이 매우 짧은 사례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숙박시설 특성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숙박시설 이용객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재방문의사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제 지역활성화에 미치는 기여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정량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하지만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종료지의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인 게스트하우스를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과 사업성과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책위키, "(https://www", korea.kr/special/policyCurationList.do), null

      2 김혜천, "시장과 도시재생", 環境論叢. 47. 71-94, 2008

      3 제천시, "통계연보 (http://stat", jecheon.go.kr/), null

      4 제천시, "문화관광 (https://tour", jecheon.go.kr/base/main/view), null

      5 김흥식, 박상우, "경기도 관광숙박시설 확충 대책", 정책연구. 1-24, 2010

      6 순천시, "도시재생지원센터(http://urc.sc.go.kr/", sc/content/sub022_023), null

      7 정삼철, "충북지역 관광숙박시설 확충 전략", 충북개발연구원, 2003

      8 공주시, "도시재생지원센터 홈페이 (http://www", gongju.go.kr/urc/index.do), null

      9 공주시,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List", naver?blogId=cyber_gongju), null

      10 김세연, "영광군 숙박시설 환경개선 사업 추진", 숙박매거진, 2020

      1 정책위키, "(https://www", korea.kr/special/policyCurationList.do), null

      2 김혜천, "시장과 도시재생", 環境論叢. 47. 71-94, 2008

      3 제천시, "통계연보 (http://stat", jecheon.go.kr/), null

      4 제천시, "문화관광 (https://tour", jecheon.go.kr/base/main/view), null

      5 김흥식, 박상우, "경기도 관광숙박시설 확충 대책", 정책연구. 1-24, 2010

      6 순천시, "도시재생지원센터(http://urc.sc.go.kr/", sc/content/sub022_023), null

      7 정삼철, "충북지역 관광숙박시설 확충 전략", 충북개발연구원, 2003

      8 공주시, "도시재생지원센터 홈페이 (http://www", gongju.go.kr/urc/index.do), null

      9 공주시,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List", naver?blogId=cyber_gongju), null

      10 김세연, "영광군 숙박시설 환경개선 사업 추진", 숙박매거진, 2020

      11 김항집, 이명규, "광주 도시재생 개발기법 적용모델 연구", 광주발전연 구원, 2011

      12 박유진, "마을기업 경제 성과. 9년 동안 10배 늘어", 이로운넷, 2020

      13 김재민, "관광숙박시설의 확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0(2). 62-79, 1997

      14 한승욱, "상업기능 활성화를 통한 원도심 재생 방안", BDI 정책포커스 (163). 1-12, 2012

      15 박천보, "공공기관 이전을 통한 도심활성화 사례분석", 한밭대학교 논문 집. 25. 5-15, 2008

      16 서수정,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도심관광 활성화 방안", 한국관광정책 2017 winter. 70. 78-85, 2017

      17 조윤장, "평택시. 노후 영세한 숙박업소 등 시설개선 추진", 투데 이 경기, 2021

      18 제천시, "41. 제천시 (2019). 제천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보고서", 제천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보고서, 2019

      19 조민호, "관광수요 변화에 따른 다양한 숙박시설 확충 방안", 관광연구 논총. 17. 31-45, 2005

      20 금기용, 박윤정, "글로벌 관광도시 서울 숙박시설 수급 불균형 실태", 서 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57, 2014

      21 제천시, "42. 제천시 (2015). 제천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보고서", 제천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보고서, 2015

      22 유정숙, "울산 남구. 노후 영세 숙박업소 시설 개선 자금 지원", 내외뉴스통신, 2021

      23 박노동, "31. 박노동 (2017). 마을기업 운영실태 및 발전방안 연구", 2017

      24 고광호, "제천시 관광개발 현황 및 관광활성화 지역문화연구 18", 2-21, 2020

      25 김병섭, 박성현, "지방 중소도시 원도심의 쇠퇴와 예측 그리고 대응방안", 한국지방행정학보. 14(3): 175-192, 2017

      26 제천시, "43. 제천시 (2019). 제천시 도심권 관광숙박시설 확충방안", 제천시 도심권 관광숙박시설 확충방안, 2019

      27 김연화, "民觀光振興에 따른 國民觀光宿泊施設확충에 관한 연구", 논 문집. 3. 349-376, 1983

      28 김혜천,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도시 행정학회지. 26(3). 1-22, 2013

      29 제천시, "40. 제천시 (2014), 제천시 장기관광발전계획(2014) : 2014~2023", 제천시 장기관광발전계획(2014) : 2014~2023, 2014

      30 박경열,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관광숙박시설 확충 정책 평가", 관 광레저연구. 28(10). 249-266, 2016

      31 오형은, "오형은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밀착형 원도심 활성화 계획", 국토계획. 50(6). 53-70, 2015

      32 김현선,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원도심활성화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 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4. 185-197, 2016

      33 고진숙, "도시관광 재생사업에서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34 이형수, "이형수 기자. 제천 단양 기차여행객이 뽑은 최고의 관광 지 선정", 충북일보, 2020

      35 조장현, "지역주민이 인식한 관광형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36 김현숙, "군산 근대역사경관지구의 활성화를 위한 우선정비 블록 설계 연구",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6. 29-41, 2011

      37 문창용, 신우진,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관광숙박시 설 개선방안", 대한부동산학회지. 36(1). 57-78, 2018

      38 최윤혜, "87. 최윤혜 (2018.07.22). ‘이상천 제천시장 ’체류형 관광 ‘필요성 강조", 2018

      39 나윤중, "관광주도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분산형 숙박시설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관광진흥연구. 7(1). 167-190, 2019

      40 함양군, "88. 함양군 음식점·숙박업소 환경개선 사업 추진 (2020.04.16.). 함양투데이.", 음식점 숙박업소 환경개선 사업 추진 함양투데이, 2020

      41 강우성, 김진한, "공유형 숙박서비스와 호텔서비스의 소비가치가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2(9). 33-49, 2018

      42 이충기, "2002년 월드컵축구대회 개최도시별 숙박시설 수급분석. 호텔 경영학연구. 9(1)",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67-298, 2000

      43 김민석, 이우형, 이광영, "창조공간을 활용한 원도심 재생 방안에 관한 연 구 -천안시 원도심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1.6. 53-72, 2012

      44 문창용, 신우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관광숙박시설 특성이 이용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1-12, 2017

      45 김흥식, "이나래.오정근.이정섭 도심활성화를 위한 외국인 개별관광객 숙박인프라 확충 방안", 정책연구. 1-135, 2012

      46 권진수, "게스트하우스의 고객인지. 지각가치가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47 권태일, "도시재생과 건축문화관광의 연계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사례 의 연계분석을 중심으로", MICE관광연구. 19(4). 159-176, 2019

      48 문휘운, "도시관광과 명소화 전략을 활용한 도시재생 계획기 준 및 우선순위 연구. 박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49 이광옥, 이제용, "천안 구도심 도시재생을 위한 축제행사가 천안역 주 변 지역상권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22(1). 58-66, 2019

      50 최철민, "원도심의 장소성을 활용한 도시재생활성화 계획 연구 ? 동두 천시 생연동 원도심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51 박인영, 배기철, "관광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이 전주 지역주민의 주거 만족도 및 지역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23(5). 803-825, 2019

      52 김도형, 박진경, 박승규, 김상민, "13. 김상민. 박승규. 박진경. 김도형. (2018). 지역공동체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 성과평가 및 정책방안 연구", 2018

      53 김주리, 김태현, "도시재생이 관광수용태세와 도시관광활성화 및 관광 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 명동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3(4)", 동북아관광학회. 91-113,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