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BoP를 위한 디자인의 공유가치창출(CSV)수준 측정방법 연구 = A Study on Measuring Creating Shared Value(CSV) Level of Design for Bo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36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growth and change of BoP should be understood as the emergence of a potentially marketable emerging market where is not subject to simple aid but can take economic and social value through CSV activities in the future. From this point ...

      Background: The growth and change of BoP should be understood as the emergence of a potentially marketable emerging market where is not subject to simple aid but can take economic and social value through CSV activities in the future. From this point of view, design for corporate CSV activities can be an important driving force to promote sustainable change. However, in order to satisfy the most basic market need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evaluate products and services tailored to the new environment.
      Method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case analysis, we define the concept of BoP and CSV, and investigate related research applied to BoP to derive CSV level measurement method. Cases related to CSV and appropriate technology cases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r NGOs, are selected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major D/B and network search, related Internet sites, monographs and publications. The results are analyzed as the subject of CSV level measurement and the analysis is proceeded through the proposed CSV level measurement method.
      Result: In developing the design for BoP, the main elements of CSV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key points are derived. The method of measuring the CSV level of a design for BoP that can be applied to both development parties and local stakeholders for more efficient project progress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is proposed. The measurement method can be used to find out the directions that the design should pursue and improvements in progress.
      Conclusion: It needs to be found new technologies and innovative ways to solve design problems with new markets and values for new social needs. This paper will be useful for designers to collaborate on design development or ODA with various corporate design CSV activities in various design processes, and to build effective design framework for various CSV expect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현재 전 세계의 많은 지역들에서 볼 수 있는 BoP의 성장과 변화는 BoP가 단순 원조의 대상이 아니라 향후 기업의 CSV 활동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인 가치를 취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

      연구배경: 현재 전 세계의 많은 지역들에서 볼 수 있는 BoP의 성장과 변화는 BoP가 단순 원조의 대상이 아니라 향후 기업의 CSV 활동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인 가치를 취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시장성이 높은 신흥 시장의 부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업의 CSV 활동을 위한 디자인은 지속 가능한 변화를 촉진하는 핵심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기본적인 시장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환경에 맞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야만 한다.
      연구방법: 문헌 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BoP와 CSV의 개념에 대한 정의와 BoP에 적용된 다양한 디자인 사례와 관련 연구를 조사하여 CSV 수준 측정방법을 도출하여 제안한다. BoP 시장과 CSV 관련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인 전개와 연구대상의 디자인 사례는 국내외 관련 인터넷 사이트, 주요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 검색, 단행본과 논문 등, 각종 출판물의 문헌 조사를 통하여 CSV 지원 사례, 국가나 NGO 단체의 적정기술 지원 사례 등을 통해 측정대상 프로젝트를 선별하고 이를 CSV 수준 측정대상으로 고찰하여 제안하는 CSV 수준 측정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결과: BoP를 위한 디자인 개발 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CSV의 주요 요소를 도출하였고 앞으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상에서 더 효율적인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해 개발 당사자와 현지 이해관계자들 모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BoP를 위한 디자인의 CSV 수준 측정방법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 측정법을 통하여 해당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방향과 진행 중 개선점을 알아내는 데 있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앞서 리커트 척도법을 이용하여 제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프로젝트와의 CSV 수준 비교 혹은 개발 당사자와 현지 이해관계자의 인식의 차이점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새로운 시장과 가치를 위해 일할 수 있음을 자각하고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따른 디자인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필요한 새로운 기술과 혁신적인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디자이너들이 향후 기업의 CSV 활동으로서의 디자인 개발이나 공적개발원조(ODA) 분야 협력을 위한 여러 디자인 프로세스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 바라며 다양한 CSV를 위한 디자인 활동의 효과적인 프레임 워크를 구축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경 경제용어사전"

      2 김지영, "창의적 공유가치 창출(CSV)을 위한 디자인 속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4 (14): 137-154, 2015

      3 구경완, "적정기술 현지사례 분석을 통한 제품개발단계 디자인 평가요소 제안 :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4 조영식, "인간과 디자인의 교감 빅터 파파넥" 디자인하우스 2000

      5 박지연, "공유가치창출(CSV)이 지역사회 변화를 유도하는 요소연구 -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역할을 매개로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8 (18): 95-106, 2015

      6 도현명, "경제적·사회적 가치 모두 생산하는 임팩트 비즈니스가 온다" 88 : 2011

      7 Play Pump, "Troubled Water"

      8 "Toms Eyewear"

      9 Prahalad, C. K., "The fortune at The Bottom of The Pyramid" 26 : 2002

      10 London, T., "Next generation business strategies for the base of the pyramid: New approaches for building mutual value" Financial Times Press 2011

      1 "한경 경제용어사전"

      2 김지영, "창의적 공유가치 창출(CSV)을 위한 디자인 속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4 (14): 137-154, 2015

      3 구경완, "적정기술 현지사례 분석을 통한 제품개발단계 디자인 평가요소 제안 :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4 조영식, "인간과 디자인의 교감 빅터 파파넥" 디자인하우스 2000

      5 박지연, "공유가치창출(CSV)이 지역사회 변화를 유도하는 요소연구 -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역할을 매개로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8 (18): 95-106, 2015

      6 도현명, "경제적·사회적 가치 모두 생산하는 임팩트 비즈니스가 온다" 88 : 2011

      7 Play Pump, "Troubled Water"

      8 "Toms Eyewear"

      9 Prahalad, C. K., "The fortune at The Bottom of The Pyramid" 26 : 2002

      10 London, T., "Next generation business strategies for the base of the pyramid: New approaches for building mutual value" Financial Times Press 2011

      11 "Money Maker"

      12 Nakata, C., "From the Special Issue Editor: creating new products and services for and with the Base of the Pyramid" 29 (29): 3-5, 2012

      13 Watanabe, S., "Developing BOP Business as the Principle Strategy in Emerging and Developing Economics" NRI 1-18, 2012

      14 김승준, "BOP시장을 위한 공유가치창출(CSV) 디자인 사례연구" 디자인연구소 16 (16): 45-56, 2017

      15 "AdSpec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4 0.52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