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르고노믹스 기술을 도입한 고령자 안락의자 개발 = Development of Elderly Recliner Adopting Ergonomics Tech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36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needs of the elderly users, who are gradually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global aging trend,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various fields than ever b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functional recliner for the...

      Background: The needs of the elderly users, who are gradually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global aging trend,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various fields than ever b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functional recliner for the elderly and a portable table by organically connecting engineering and product design and applying the principle of Ergonomics.
      Methods: Analysis of chair usage behavior and needs of the elderly were done through CCTV analysis and survey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and private housing. The basic data analysis for elderly chair design obtained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was used. The chair design for the elderly was presented by integrat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Result: Details of the chair design developed through the Ergonomics design process are divided into the operating unit, the structural unit, the variable expansion unit, the contact material unit, and the net. First, the operating unit includes chair seat elevation as a support function to aid the weakened muscular strength and joints and incorporates the backrest tilting function to satisfy the main purpose of life including relaxation, leisure, and work. Second, the structural unit incorporates the ergonomic design suitable for the body size and shape of the elderly. Third, the variable expansion unit assists daily life as a portable table. Finally, the contact material unit applies finishing material and color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 satisfying the emotional needs.
      Conclusion: The chair desig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Ergonomics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activity of the elderly, to promot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o live a happy and comfortable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will proceed with prototype production and performance tests for mass production and sales, and expect to obtain patent registration and the good design awar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전 세계 고령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비중이 높아지는 고령 사용자의 니즈는 여러 분야에서 예전보다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공학과 제품 디자인을 유기적으로...

      연구배경: 전 세계 고령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비중이 높아지는 고령 사용자의 니즈는 여러 분야에서 예전보다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공학과 제품 디자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최대의 사용 효과와 만족감을 누리게 하자는 에르고노믹스( Ergonomics) 원리를 적용하여 고령자를 위한 다기능 1인용 안락의자 및 생활보조장치인 이동형테이블을 개발코자 한다.
      연구방법: 고령자의 의자사용행태분석을 위해 노인종합복지관과 개인주택에 설치한 CC TV 분석 및 방문 대면 조사를 통해 고령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얻어진 고령자용 의자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분석 연구결과를 참조한다. 이 프로세스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하여 고령자를 위한 의자 디자인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에르고노믹스 설계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한 의자 디자인의 상세 내용은 동작구동부, 동작구조부, 가변확장부, 접촉소재부, 넷으로 구분한다. 먼저 동작구동부는 약화된 근력, 관절을 보조키 위해 의자좌판이 들리는 써포트 기능을 적용하고 주생활목적인 휴식, 여가, 작업을 모두 충족하는 등받이 틸팅 기능을 접목한다. 둘째, 동작구조부는 고령자의 신체 치수와 형태에 적합한 에르고노믹스 디자인을 적용한다. 셋째, 가변확장부는 일상생활을 보조하는 Unit로 이동형테이블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접촉소재부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한 마감재 및 컬러를 적용하여 감성적 요구도 충족시킨다.
      결론: 에르고노믹스 원리에 따라 개발된 의자 디자인은 고령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며, 행복하고 편안한 일상의 삶을 영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양산 및 판매를 위한 시제품제작과 성능실험을 진행코자하며 특허 등록과 우수디자인(GD) 획득도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ickens, C. D., "인간공학" 시그마프레스 2008

      2 김상규, "의자의 재발견" 세미콜론 2011

      3 이종희,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한 고령친화 의자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구학회 29 (29): 267-276, 2018

      4 김숙응, "실버산업의 이해" 형설출판사 2007

      5 이성열, "디자인 공학" 청람 2012

      6 이성기, "고령친화산업의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마케팅 전략" 메디컬 코리아 2007

      7 양동주, "Ergonomics & Design: 인간공학과 디자인" 민영사 2010

      1 Wickens, C. D., "인간공학" 시그마프레스 2008

      2 김상규, "의자의 재발견" 세미콜론 2011

      3 이종희,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한 고령친화 의자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구학회 29 (29): 267-276, 2018

      4 김숙응, "실버산업의 이해" 형설출판사 2007

      5 이성열, "디자인 공학" 청람 2012

      6 이성기, "고령친화산업의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마케팅 전략" 메디컬 코리아 2007

      7 양동주, "Ergonomics & Design: 인간공학과 디자인" 민영사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4 0.52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