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4명(남 7명, 여 7명)을 대상으로 과학지식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발성사고법을 적용하여 성공하는 경우와 실패하는 경우로 나누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45312
2011
Korean
375.2
KCI등재
학술저널
261-274(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4명(남 7명, 여 7명)을 대상으로 과학지식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발성사고법을 적용하여 성공하는 경우와 실패하는 경우로 나누어...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4명(남 7명, 여 7명)을 대상으로 과학지식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발성사고법을 적용하여 성공하는 경우와 실패하는 경우로 나누어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하는 경우가 실패하는 경우에 비해 적은 시간을 사용했다. 그 중 이해단계, 풀이단계, 검토 단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05). 문제를 성공하는 경우, 학생들은 기억에 의한 계획 유형과 문두와 답지의 내용을 모두 확실히 아는 풀이 유형 및 답지 중 확실히 알고 있는 유형으로 문제를 푸는 경향이 높았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 해결을 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문제를 실패하는 경우, 잘못된 기억으로 해결하다 실패를 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과학지식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보완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시사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made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coming out in the process of solving questions about scientific knowledge targeting the 14 6th grade student in elementary school[7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s w...
This research made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coming out in the process of solving questions about scientific knowledge targeting the 14 6th grade student in elementary school[7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s with the application of "Think-aloud method" by ividing them into the case of failure or success on gender.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it took for the students, who made a success in solving questions, less time than the others who didn`t. Th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 the stage of understanding, solution and review(p<.05). In case of making a success in solving questions, students showed a high tendency to solve questions in relation to memory-based planning pattern, question headings and contents of an answer paper using the pattern they are precisely familiar with among the precisely familiar pattern and answer paper.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tendency to solve questions using a variety of methods than male students. In case of making a failure in solving questions, students tended to make a failure while immediately trying to solve questions while finding an answer in a state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or by wrong memory. Such a result suggests that what should be made up for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scientific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에 대한 학교 효과 분석: 평균 향상과 격차 완화의 두 측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