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Later-life Expectation of Semi-older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측되는 노인편견, 삶의 만족, 부양가치관, 사회연대의식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지원사업에서 진행된 ‘고령화 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조사대상 중에서 50-64세의 준고령자 총 32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은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생활기대감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은 노인편견과 사회연대의식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에 대한 편견이 적을수록, 사회에 대한 신뢰와 유대감이 높을수록 노후생활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과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측되는 노인편견, 삶의 만족, 부양가치관, 사회연대의식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연...

      본 연구는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측되는 노인편견, 삶의 만족, 부양가치관, 사회연대의식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지원사업에서 진행된 ‘고령화 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조사대상 중에서 50-64세의 준고령자 총 32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은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생활기대감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은 노인편견과 사회연대의식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에 대한 편견이 적을수록, 사회에 대한 신뢰와 유대감이 높을수록 노후생활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과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factors affecting later-life expectation of semi-older adults. Total of 323 participants aged from 50 to 64 was used for analysis from the data of 'Korean's Perception on Aging Society', which was conducted on behalf of Initiative for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fund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ter-life expectation of semi-older adults appeared to be high.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prejudice towards the elderly and social solidarity. That is, participants with lower prejudice towards the elderly and higher trust and solidarity with society showed greater later-life expec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factors affecting later-life expectation of semi-older adults. Total of 323 participants aged from 50 to 64 was used for analysis from the data of 'Korean's Perception on Aging Society', which was conducted on behalf of ...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factors affecting later-life expectation of semi-older adults. Total of 323 participants aged from 50 to 64 was used for analysis from the data of 'Korean's Perception on Aging Society', which was conducted on behalf of Initiative for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fund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ter-life expectation of semi-older adults appeared to be high.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prejudice towards the elderly and social solidarity. That is, participants with lower prejudice towards the elderly and higher trust and solidarity with society showed greater later-life expec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일, "활동적 노년과 노년기 삶의 질 간의 관계" 2014 (2014): 174-174, 2014

      2 방하남, "현대사회의 불평등" 한울 2004

      3 이남순, "현대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2 (2): 172-193, 2006

      4 성규탁, "한국인의 부모부양을 위한 의지와 관행에 관한 연구-노인의 비공식적 지원망을 중심으로" 11 (11): 251-273, 1991

      5 백지은,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6, 2005

      6 장세철,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노인편견에 관한 연구" 191-196, 2017

      7 지민경, "치과위생사들이 인지한 노인에 대한 이미지 및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 8 (8): 23-36, 2008

      8 김수정, "초등학생의 체육수업만족과 신체상 및 미래 삶 기대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93-211, 2014

      9 서경현, "청소년의 삶에 대한 기대와 주관적 웰빙: 일반 성인과의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37-157, 2012

      10 이성철, "차세대 상업교육을 위한 중년층의 전·후기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후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8 (28): 263-286, 2014

      1 이주일, "활동적 노년과 노년기 삶의 질 간의 관계" 2014 (2014): 174-174, 2014

      2 방하남, "현대사회의 불평등" 한울 2004

      3 이남순, "현대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2 (2): 172-193, 2006

      4 성규탁, "한국인의 부모부양을 위한 의지와 관행에 관한 연구-노인의 비공식적 지원망을 중심으로" 11 (11): 251-273, 1991

      5 백지은,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6, 2005

      6 장세철,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노인편견에 관한 연구" 191-196, 2017

      7 지민경, "치과위생사들이 인지한 노인에 대한 이미지 및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 8 (8): 23-36, 2008

      8 김수정, "초등학생의 체육수업만족과 신체상 및 미래 삶 기대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93-211, 2014

      9 서경현, "청소년의 삶에 대한 기대와 주관적 웰빙: 일반 성인과의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37-157, 2012

      10 이성철, "차세대 상업교육을 위한 중년층의 전·후기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후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8 (28): 263-286, 2014

      11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2 양덕순,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75-93, 2008

      13 정홍인, "중장년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노년학회 38 (38): 27-45, 2018

      14 김혜진,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노인복지제도 인지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연구소 32 : 53-80, 2012

      15 배재덕,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은퇴태도가 은퇴준비에 미치는 요인 연구" 5 (5): 102-126, 2014

      16 김미정,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요인" 동서간호학연구소 19 (19): 150-158, 2013

      17 박인숙, "중·장년층의 자아효능감과 노후생활인식에 따른 은퇴준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18 양혜진, "준고령자의 재취업결정요인 분석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42-261, 2017

      19 김미령, "준고령자와 고령자의 은퇴만족도 영향요인 비교분석" 한국노년학회 33 (33): 617-636, 2013

      20 이상림,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욕구 모니터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1 김경호, "저출산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 7 : 27-52, 2004

      22 정순둘, "저소득 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1) : 60-79, 2003

      23 최순옥, "일부 지역 성인의 노후불안" 한국노년학회 28 (28): 19-32, 2008

      24 이인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2007

      25 김남원,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준비행동 및 은퇴만족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6-77, 2016

      26 정순둘,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829-845, 2007

      27 남현주, "시민사회와 사회정의의 맥락에서 본 연대성의 위기와 그 극복 - 뒤르깽, 하버마스, 롤즈 그리고 왈쩌의 입장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137-164, 2011

      28 최현실, "스웨덴의 중고령자 고용활성화정책 연구 : 직업훈련교육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9 최성재,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회 29 (29): 329-352, 2009

      30 홍현방, "성공적인 노화 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145-154, 2003

      31 장승혁, "사회연대원리의 기원과 발전" 3 (3): 49-74, 2014

      32 이정화, "부양의식과 형제자매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농촌며느리의 시부모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33 강현주, "보육교사의 노후생활인식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7

      34 김정선, "베이비붐세대의 자녀돌봄부담감, 노화불안, 노후준비 및 삶의 질" 한국보건간호학회 26 (26): 440-452, 2012

      35 차성란,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미래 사회적 자본-베이비붐 세대의 집단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67-83, 2012

      36 박서영, "베이비부머의 소비패턴과 우울에 관한 연구: 은퇴집단과 비은퇴집단 비교" 연세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 2017

      37 박창제, "베이비부머와 전(前)베이비부머의 재무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3) : 309-335, 2014

      38 임은경,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노후불안과 삶의 질 간의 관계" 236-237, 2012

      39 정경희, "베이비 부머의 가족생활과 노후 생활전망" 2012 (2012): 40-49, 2012

      40 이호정,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관계가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8

      41 권명순, "대학생의 노인 이미지, 지식과 고정관념 및 인식" 한국보건간호학회 27 (27): 633-646, 2013

      42 김종모, "노후생활인식과 재무교육이 은퇴준비와 만족예측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4

      43 최상일, "노후생활인식 및 준비도가 은퇴기 주택규모 선택에 미치는 영향 - 부산광역시 거주민을 중심으로 -" 대한부동산학회 30 (30): 167-185, 2012

      44 파이낸셜뉴스, "노후걱정 깊어진 ‘낀세대 5060’... 아르바이트라도 해야죠"

      45 원영희, "노인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4 (24): 187-206, 2004

      46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49 : 233-256, 1986

      47 원도연,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자산이 미치는 영향: 비동거 자녀와의 경제적, 정서적 지지교환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7 (37): 687-705, 2017

      48 이주일, "노인의 대인애착 경향과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활동 및 지지적 관계 추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8 (18): 11-29, 2004

      49 정여주, "노인들의 사회안전인식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연대감의 매개효과"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5 (15): 105-116, 2019

      50 이현정, "노인 자살위험 집단의 삶의 태도에 관한 연구:서울시 거주 기초생활수급대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7) : 249-276, 2015

      51 이민홍, "노인 1 인가구의 증가와 사회적 위험대응 방안" 77 : 112-117, 2017

      52 서경현, "노년기 한국인의 스트레스" 대한스트레스학회 15 (15): 271-278, 2007

      53 이현주,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291-318, 2013

      54 이인환, "기혼자녀의 부모부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55 최성재, "국민의 노후생활에 대한 전망과 대책에관한 연구" 12 (12): 1-22, 1992

      56 최숙희, "고령화정책의 우선순위 분석" 삼성경제연구소 2008

      57 정순둘,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 한국노년학회 31 (31): 813-829, 2011

      58 유재남, "고령자의 활동적 노화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노년학회 36 (36): 1073-1086, 2016

      59 송일호, "고령자와 준고령자의 취업결정요인 비교분석" 사회과학연구원 19 (19): 7-26, 2012

      60 정상희, "강원지역 A대학 치위생과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 연구" 한국치위생학회 13 (13): 1071-1077, 2013

      61 김도균, "新노년층, 신세대인가 신빈곤층인가" (240) : 1-25, 2016

      62 김유진, "『8만 시간 디자인』공모전 기록물 분석을 통해 본 백세시대 노인의 노후에 대한기대와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217-240, 2014

      63 김희주,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1) : 125-158, 2008

      64 Ed Diener,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Informa UK Limited 49 (49): 71-75, 2010

      65 David W. McMillan,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Wiley 14 (14): 6-23, 1986

      66 Leslie D. Frazier, "Psychosocial outcomes in later life: A multivariate model."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22 (22): 676-689, 2007

      67 Fishbein, M., "Predicting and changing behavior: A reasoned action approach" Psychology Press 2011

      68 Dannii Y. Yeung, "Is pre-retirement planning always good? An exploratory study of retirement adjustment among Hong Kong Chinese retirees" Informa UK Limited 17 (17): 386-393, 2013

      69 Mannell, R. C., "Encyclopedia of gerontology" Academic Press 59-64, 1996

      70 Greenberg, J.,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The MIT Press 27-48, 2002

      71 Robert N. Butler, "Ageism: A Foreword" Wiley 36 (36): 8-11,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