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계발 교과목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인지적 학습역량, 창의적 문제해결력, 창의적인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653172
2015
-
370
KCI등재
학술저널
95-110(1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계발 교과목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인지적 학습역량, 창의적 문제해결력, 창의적인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계발 교과목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인지적 학습역량, 창의적 문제해결력, 창의적인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성시 소재 H대학에 재학 중인 152명(실험집단 67명, 통제집 단 85명)이다. 연구설계는 이질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M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성계발 교과목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인지적 학습역량(고등사 고, 초인지), 창의적 문제해결(확산적 사고, 의사결정, 기획력)이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인지적 학습역량이 사전, 사후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실험집단의 창의적 성향 하위요인은 모두 향상되었고, 창의적 성향 중에서도 특히 인내 가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팀별 효과를 살펴본 결과, 문제해결력 효과와 창의적 성향 효과에서 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correlation among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 total of 17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correlation among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 total of 17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data, SPSS(for 21.0 Window) statistics programs were used in dealing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reativity Test include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Lee, 2014) and creative leadership(Kim, 2010) 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of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leadership were significant in some sub factors. Secondly, among the variables of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personality was the best predictor of creative leadership. Problem solving, curiosity, humor, task commitment and sensitivity were the significance predictor of creative leadership. This study would give some implication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stering creative leadership for university stu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화, "통합 창의성 검사" 학지사 2014
2 최명선, "청소년의 유머감각, 유머스타일이 리더십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49-167, 2007
3 이경화, "창의적 리더십" 학지사 2014
4 윤종건, "창의력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1998
5 Sternberg, R. J., "지혜, 지능, 그리고 창의성의 종합" 시그마프레스 2004
6 김성수, "조직의 창의성과 혁신" 20 : 181-203, 2010
7 정범구, "조직내 신뢰와 조직간 신뢰의 관계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25 (25): 97-113, 2003
8 이경화, "인지창의리더십 계발을 위한 글로벌리더 모형"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23-41, 2009
9 허수윤,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301-316, 2012
10 이경화, "유아 창의적 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35-161, 2010
1 이경화, "통합 창의성 검사" 학지사 2014
2 최명선, "청소년의 유머감각, 유머스타일이 리더십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49-167, 2007
3 이경화, "창의적 리더십" 학지사 2014
4 윤종건, "창의력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1998
5 Sternberg, R. J., "지혜, 지능, 그리고 창의성의 종합" 시그마프레스 2004
6 김성수, "조직의 창의성과 혁신" 20 : 181-203, 2010
7 정범구, "조직내 신뢰와 조직간 신뢰의 관계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25 (25): 97-113, 2003
8 이경화, "인지창의리더십 계발을 위한 글로벌리더 모형"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23-41, 2009
9 허수윤,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301-316, 2012
10 이경화, "유아 창의적 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35-161, 2010
11 최윤주, "성인학습자의 창의적 리더십 교육모형 개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12 김미희, "성인의 창의적 리더십 검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13 김미숙, "리더십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Ⅱ" 한국교육개발원 2006
14 이경화, "대학생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탐색을 위한 기초 연구" 1 (1): 47-68, 2002
15 이경화, "대학생 창의적 리더십의 특성과 수업유형에 따른 효과" 한국영재교육학회 11 (11): 45-65, 2012
16 주동범,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23, 2012
17 Csikszentmihalyi, M., "The future of leardership: Today's top leardership thinkers speak to tomorrow's leaders" Jossey-Bass 116-124, 2001
18 Conger, J.,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13 (13): 471-482, 1988
19 Manz, C. C., "SuperLeadership" Berkeley Books 1990
20 Manz, C. C,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11 : 585-600, 1986
21 Kouzes, J. M., "Leadership challenge" Jossey-Bass 2002
22 MacKinnon, D. W., "In search of human effectiveness: Identifying and developing creativity"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1978
23 Amabile, T. M.,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Beyond the basics" Bearly Limited 1987
24 Presseisen, B. Z., "Developing minds: A resource book for teaching thinking" ASCD 47-53, 2001
25 Bleedorn, B., "Creativity: Number one leadership talent for the future" 20 : 276-282, 1986
26 Sternberg, R. J.,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34 : 1-31, 1991
27 Sternberg, R. J., "A propulsion model of creative leadership" 13 : 145-153, 2004
학교의 도전과 지원, 성격, 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간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6 | 1.751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