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천, "한 여름 밤의 꿈: 제7차 교육과정 환상과 추락의 내러티브" 아카데미프레스 2009
2 조재성, "학교의 영재들은 어디로 갔을까?: 아인슈타인 영재학원의 쿠레레(currere)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2015
3 강우정, "초등미술에서 공동체의 의미 만들기 학습 실행에 대한 교육비평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오영범, "질적자료분석: 파랑새 2.0 소프트웨어" 아카데미프레스 2016
5 허창수, "젠더놀이(gender play) :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 경계 넘기"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119-147, 2006
6 정민선, "아이스너(Eisner)의 교육적 감식안에 의한 초등 미술영재수업에 대한 교육비평"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이혁규, "수업 비평의 방법과 활용 : 자전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271-300, 2010
8 김우종, "비평문학론" 범우사 1984
9 김영천, "별이 빛나는 밤2: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문음사 2005
10 김영천, "별이 빛나는 밤1: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문음사 2005
1 김영천, "한 여름 밤의 꿈: 제7차 교육과정 환상과 추락의 내러티브" 아카데미프레스 2009
2 조재성, "학교의 영재들은 어디로 갔을까?: 아인슈타인 영재학원의 쿠레레(currere)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2015
3 강우정, "초등미술에서 공동체의 의미 만들기 학습 실행에 대한 교육비평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오영범, "질적자료분석: 파랑새 2.0 소프트웨어" 아카데미프레스 2016
5 허창수, "젠더놀이(gender play) :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 경계 넘기"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119-147, 2006
6 정민선, "아이스너(Eisner)의 교육적 감식안에 의한 초등 미술영재수업에 대한 교육비평"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이혁규, "수업 비평의 방법과 활용 : 자전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271-300, 2010
8 김우종, "비평문학론" 범우사 1984
9 김영천, "별이 빛나는 밤2: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문음사 2005
10 김영천, "별이 빛나는 밤1: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문음사 2005
11 장백일, "문학 비평 원론" 국민대학교 출판부 1995
12 김경희, "대학생들의 성, 사랑, 결혼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수업 중 저널쓰기를 기초하여-"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51-71, 2011
13 염지숙,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통한 유아 세계 이해" 2 (2): 57-82, 1999
14 한승희, "교육학의 새로운 지표로서 내러티브" 38 (38): 259-282, 2000
15 박승배, "교육평설: 엘리어트 아이즈너의 질적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13
16 김명희, "교육과정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교육 비평:그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97-120, 2006
17 주정흔, "‘즐거운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71-102, 2010
18 Eisner, E. W.,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Pearson 1991
19 Eisner, E. W.,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Macmillan 2002
20 Eisner, E. W., "The educational imagination" Macmillan 1985
21 Ecker, D., "The artistic process as qualitative problem-solving" 21 (21): 283-290, 1963
22 Štrajn, D., "The PISA syndrome: Can we imagine education without comparative testing?" 25 (25): 13-27, 2014
23 Kincheloe, J., "Teachers as researchers: Qualitative inquiry as a path to empowerment" The Falmer Press 1991
24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Sage 2015
25 Rosenthal, R., "Pygmalion in the classroom" Irvington 1986
26 Barone, T. E., "Literature, the disciplines, and the liv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72 (72): 30-38, 1995
27 Kim, K., "Learning from each other: Creativity in East Asian and American education" 17 (17): 337-347, 2005
28 Short, E. C., "Forms of curriculum inquiry" Suny Press 1991
29 Vallance, E., "Encyclopedia of curriculum studies" Sage 45-48, 2010
30 김양숙, "Eisner 교육비평에 함의된 수업평가의 성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31 Flinders, D. J., "Educational criticism as a form of qualitative inquiry" 28 (28): 341-357, 1994
32 Eisner, E. W., "Educational connoisseurship and educational criticism: Their forms and functions in educational evaluation" 10 (10): 135-150, 1976
33 West, C., "Doing gender" 1 (1): 125-150, 1987
34 Evans, E. J., "Categorical alternatives: An educational criticism study" 9 (9): 15-35, 2015
35 Darling-hammond, L., "Authentic assessment in action: Studies of schools and students at work" Teachers College Press 1995
36 Hough, G., "An essay on criticism" Duckworth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