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331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experiment investigated how Internet portal users’ reactions to a news article affect individuals’ evaluations of the news, perceptions of public opinion and assessments of media influence on others. In a web-based experiment, participants (N=135) read a news article either with or without others’ comments, which were incongruent with the news slant.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ferred both online and offline opinion climates from a limited set of readers’ comments. Compared to the news-only condition, those exposed to others’ comments rated the news less favorably, perceived the news to exert less influence on the public opinion, and adopted opinions more discrepant from the position promoted in the news. Those holding more negative impressions about users’ postings in general assumed a greater discrepancy between personal opinion and perceived netizen opinion than those with more positive overall attitudes, but they were no less susceptible to the influence of specific comments they were presented with.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light of the influence of presumed media influence (Gunther & Storey, 2003).
      번역하기

      The present experiment investigated how Internet portal users’ reactions to a news article affect individuals’ evaluations of the news, perceptions of public opinion and assessments of media influence on others. In a web-based experiment, particip...

      The present experiment investigated how Internet portal users’ reactions to a news article affect individuals’ evaluations of the news, perceptions of public opinion and assessments of media influence on others. In a web-based experiment, participants (N=135) read a news article either with or without others’ comments, which were incongruent with the news slant.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ferred both online and offline opinion climates from a limited set of readers’ comments. Compared to the news-only condition, those exposed to others’ comments rated the news less favorably, perceived the news to exert less influence on the public opinion, and adopted opinions more discrepant from the position promoted in the news. Those holding more negative impressions about users’ postings in general assumed a greater discrepancy between personal opinion and perceived netizen opinion than those with more positive overall attitudes, but they were no less susceptible to the influence of specific comments they were presented with.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light of the influence of presumed media influence (Gunther & Storey, 200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형, "포털 0.06% ‘악플러’, 댓글 25% 양산: 네이버, 다음달 댓글시스템 전면 개편"

      2 김은미,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65-94, 2006

      3 김은미ㆍ김현주, "인터넷상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양식과 합의 형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 (4): 2004

      4 김병철, "인터넷 신문 댓글의 상호작용적 특성 분석" (14) : 147-180, 2004

      5 안종묵, "인터넷 미디어의 뉴스서비스에 관한 비교 연구:포털사이트와 신문사닷컴의 관련뉴스, 하이퍼링크, 댓글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335-372, 2007

      6 정완규, "인터넷 뉴스의 부정성이 뉴스 댓글 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2008

      7 양혜승,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254-281, 2008

      8 최영, "온라인신문에서의 시민저널리즘 가능성 연구: 일상적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2-63, 2002

      9 조수선, "온라인 신문 댓글의 내용분석: 댓글의 유형과 댓글 게시자의 성향"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5 (15): 65-84, 2007

      10 정일권,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론동향 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302-327, 2006

      1 박진형, "포털 0.06% ‘악플러’, 댓글 25% 양산: 네이버, 다음달 댓글시스템 전면 개편"

      2 김은미,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65-94, 2006

      3 김은미ㆍ김현주, "인터넷상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양식과 합의 형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 (4): 2004

      4 김병철, "인터넷 신문 댓글의 상호작용적 특성 분석" (14) : 147-180, 2004

      5 안종묵, "인터넷 미디어의 뉴스서비스에 관한 비교 연구:포털사이트와 신문사닷컴의 관련뉴스, 하이퍼링크, 댓글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335-372, 2007

      6 정완규, "인터넷 뉴스의 부정성이 뉴스 댓글 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2008

      7 양혜승,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254-281, 2008

      8 최영, "온라인신문에서의 시민저널리즘 가능성 연구: 일상적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2-63, 2002

      9 조수선, "온라인 신문 댓글의 내용분석: 댓글의 유형과 댓글 게시자의 성향"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5 (15): 65-84, 2007

      10 정일권,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론동향 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302-327, 2006

      11 이재신, "온라인 댓글이 기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PR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7-45, 2007

      12 권상희, "온라인 댓글 인식과 댓글 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댓글의 신뢰도와 인터넷뉴스 수용자의 수용경향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2 (42): 44-77, 2008

      13 김경년, "오마이뉴스 독자의견 분석:‘난장으로서의 공론장’가능성 탐색" 한국방송학회 19 (19): 7-41, 2005

      14 윤태일, "안티 사이트의 제3자 효과: 타인반응에 대한 지식과 동의수준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7 (47): 2-55, 2003

      15 김은미, "댓글에 대한 노출이 뉴스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33-64, 2006

      16 이재신,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42 (42): 248-278, 2008

      17 Schmitt, K, "Why partisans see mass media as biased" 31 (31): 623-641, 2004

      18 Cohen, J, "Third-person effects and the differential impact in negative political advertising" 68 : 680-688, 1991

      19 Davison, W. P, "The third-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47 (47): 1-15, 1983

      20 Perloff, R. M, "The third-person effect" Erlbaum 489-506, 2002

      21 Flanagin, A. J,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personal web page information as influenced by the sex of the source" 19 (19): 683-701, 2003

      22 Hovland, C. I,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15 (15): 635-650, 1951

      23 Gunther, A. C, "The influence of presumed influence" 53 (53): 199-215, 2003

      24 Brosius, H.-B, "The causes of third-person effects: Unrealistic optimism, impersonal impact, or generalized negative attitudes towards media influence?" 8 (8): 142-162, 1996

      25 Brosius, H.-B, "The causes of third-person effects: Unrealistic optimism, impersonal impact, or generalized negative attitudes towards media influence?" 8 (8): 142-162, 1996

      26 Chapman, A. J, "Social facilitation of laughter in children" 9 : 528-541, 1973

      27 Gunther, A. C, "Projection or persuasive press? Contrary effects of personal opinion and perceived news coverage on estimates of public opinion" 52 (52): 177-195, 2002

      28 Gunther, A. C, "Presumed influence on peer norms: How mass media indirectly affect adolescent smoking" 56 (56): 52-68, 2006

      29 O’Keefe, D. J, "Persuasion: Theory and research (2nd ed.)" Sage Publications 2002

      30 Petty, R. E, "Personal involvement as a determinant of argument-based persuasion" 41 : 847-855, 1981

      31 Abdulla, R. A, "Online news credibility" Erlbaum 147-163, 2005

      32 Knobloch-Westerwick, S, "Impact of popularity indications on readers’ selective exposure to online news" 49 : 296-313, 2005

      33 McCroskey, J. C, "Goodwill: A reexamination of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66 (66): 90-103, 1999

      34 Bryant, J, "Entertainment as media effect" Erlbaum 549-582, 2002

      35 Gunther, A. C, "Effects of news slant and base rate information on perceived public opinion" 76 (76): 277-292, 1999

      36 Brown, C. E, "Effects of a laughing versus a nonlaughing model on humor responses in college students" 48 : 35-40, 1981

      37 Petty, R. E,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ttitude change" Springer 1986

      38 Gunther, A. C, "Biased optimism and the third-person effect" 70 : 58-67, 1993

      39 Festinger, L,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7 (7): 117-140, 1954

      40 김용석, "0.1%가 댓글 30% 도배…악플 65%는 욕설-협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7 2.11 2.77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