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 선수의 정신건강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n Mental Health between Paticipater of Sports for all and Elite Athle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9841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오늘날 육체와 정신을 하나로 보고 있으며, 운동 부족으로 인한 정신건강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정신건강 비교분석을 통하여 운동의 정신건강학적 가치를 조명해 봄과 동시에 운동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인지역에 거주하는 19세에서 30세 이하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나이를 제한한 이유는 30세 이상의 엘리트 운동선수가 많지 않으며, 19세 이전의 생활체육 참가자 또한 많지 않기 때문이다. 생활체육 참여자로서 정기적으로 주 4회 이상 운동을 하는 참여자 중 생활체육 참여 기간이 5년 이상인 300명 중 응답이 불성실했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48명의 자료를 제외한 252(84%)명과 엘리트운동선수 경력 5년 이상인 250명 중 70명을 제외한 230(92%)명을 대상으로 간이 정신진단검사지(SCL-90-R)로 조사를 하였으며, 측정자료는 Windows용 SPSS 10.0 하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그룹간의 평균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시 유의수준은 p<.05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간의 정신건강 9개 증상차원에 대하여 대인민감증, 우울증, 적대감, 공포불안을 제외한 신체화, 강박증, 불안증. 편집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으며, 생활체육 참여자의 정신건강이 좋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운동 선수간의 정신건강은 유의한 차가 있다. 즉. 야구와 수영종목에서 생활체육 참여자의 정신건강이 좋다. 전체적으로 생활체육 참여자가 엘리트 운동선수보다 정신건강이 건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오늘날 육체와 정신을 하나로 보고 있으며, 운동 부족으로 인한 정신건강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오늘날 육체와 정신을 하나로 보고 있으며, 운동 부족으로 인한 정신건강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정신건강 비교분석을 통하여 운동의 정신건강학적 가치를 조명해 봄과 동시에 운동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인지역에 거주하는 19세에서 30세 이하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나이를 제한한 이유는 30세 이상의 엘리트 운동선수가 많지 않으며, 19세 이전의 생활체육 참가자 또한 많지 않기 때문이다. 생활체육 참여자로서 정기적으로 주 4회 이상 운동을 하는 참여자 중 생활체육 참여 기간이 5년 이상인 300명 중 응답이 불성실했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48명의 자료를 제외한 252(84%)명과 엘리트운동선수 경력 5년 이상인 250명 중 70명을 제외한 230(92%)명을 대상으로 간이 정신진단검사지(SCL-90-R)로 조사를 하였으며, 측정자료는 Windows용 SPSS 10.0 하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그룹간의 평균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시 유의수준은 p<.05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간의 정신건강 9개 증상차원에 대하여 대인민감증, 우울증, 적대감, 공포불안을 제외한 신체화, 강박증, 불안증. 편집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으며, 생활체육 참여자의 정신건강이 좋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운동 선수간의 정신건강은 유의한 차가 있다. 즉. 야구와 수영종목에서 생활체육 참여자의 정신건강이 좋다. 전체적으로 생활체육 참여자가 엘리트 운동선수보다 정신건강이 건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people are actively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in life time(PELT) due to increase in awareness of healthy life. Today, physical and mental healths are considered to close relationship, and how the lacks of physical exercises have negative impact on the ment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based on inquiring/investigating the importance of PELT and to provide the public with its basic information of participated comparison between elite athletics' mental health and PELT's. 60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y are residents of Kyung Ki and aged between 19 to 30, this age limitation has to be drown due to lack of willing participants of PELT under age of 19 and wareness of Elite athletic over 30. All of the participated (300) PELT's critria as fowols, who has been regularly exercise more than 4 time a week for last 5 years. 252 out 300 (84%) participated were used, 48 participants were excluded due to incompletelyor unreliably answered on the questionnaire. 70 out of 300 Elite athletics were excluded, 230(92%) were tested by SCL-90-H.
      These data have been accessed on SPSS 10.0 version for windows, average have been calculated between these two categories by using T-test method.
      To verify this hypothesis, P < .05 notability is used to derive this conclusive result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in average, PELT is notably good on the 9 mental asymptotic areas, such as compulsion, anxiety, and paranoia, except depression, irritation, and fearfulness. This is notable difference between PELT and elite athletics.
      Second, there is notable difference between PELT and Elite athletics, thus those of PELT whom participated in baseball and swimming has better mental health.

      번역하기

      Many people are actively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in life time(PELT) due to increase in awareness of healthy life. Today, physical and mental healths are considered to close relationship, and how the lacks of physical exercises have negative...

      Many people are actively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in life time(PELT) due to increase in awareness of healthy life. Today, physical and mental healths are considered to close relationship, and how the lacks of physical exercises have negative impact on the ment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based on inquiring/investigating the importance of PELT and to provide the public with its basic information of participated comparison between elite athletics' mental health and PELT's. 60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y are residents of Kyung Ki and aged between 19 to 30, this age limitation has to be drown due to lack of willing participants of PELT under age of 19 and wareness of Elite athletic over 30. All of the participated (300) PELT's critria as fowols, who has been regularly exercise more than 4 time a week for last 5 years. 252 out 300 (84%) participated were used, 48 participants were excluded due to incompletelyor unreliably answered on the questionnaire. 70 out of 300 Elite athletics were excluded, 230(92%) were tested by SCL-90-H.
      These data have been accessed on SPSS 10.0 version for windows, average have been calculated between these two categories by using T-test method.
      To verify this hypothesis, P < .05 notability is used to derive this conclusive result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in average, PELT is notably good on the 9 mental asymptotic areas, such as compulsion, anxiety, and paranoia, except depression, irritation, and fearfulness. This is notable difference between PELT and elite athletics.
      Second, there is notable difference between PELT and Elite athletics, thus those of PELT whom participated in baseball and swimming has better mental heal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3
      • 3. 연구가설 = 3
      • 4. 연구의 제한점 = 3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3
      • 3. 연구가설 = 3
      • 4. 연구의 제한점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생활체육 = 4
      • 2. 정신 건강의 개념 = 14
      • 3. 생활체육 참여와 심리상태 = 19
      • 4. 생활체육 활동의 참여와 정신건강의 관계 = 23
      • 5. 선행연구 = 26
      • Ⅲ. 연구방법 = 28
      • 1. 연구대상 = 28
      • 2. 측정도구 및 요인 = 29
      • 3. 연구절차 = 31
      • 4. 자료수집 = 31
      • 5. 자료분석 = 31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2
      • 1. 연구결과
      • 1)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정신건강 비교 분석 = 32
      • (1)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신체화 분석 = 32
      • (2)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강박증 분석 = 33
      • (3)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대인민감증 분석 = 33
      • (4)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우울증 분석 = 34
      • (5)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불안증 분석 = 34
      • (6)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적대감 분석 = 35
      • (7)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공포불안 분석 = 36
      • (8)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편집증 분석 = 36
      • (9)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정신증 분석 = 37
      • 2)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간의 운동종목별 정신건강 비교분석 = 38
      • (1) 야구 종목의 정신건강 비교분석 = 38
      • (2) 배드민턴 종목의 정신건강 비교분석 = 39
      • (3) 수영 종목의 정신건강 비교분석 = 40
      • (4) 볼링 종목의 정신건강 비교분석 = 41
      • 2. 논의 = 42
      • 1)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의 정신건강 비교 분석 = 42
      • 2) 생활체육 참여자와 엘리트 운동선수간의 종목별 정신건강 비교 분석 = 44
      • Ⅴ. 결론 = 48
      • 참고문헌 = 49
      • ABSTRACT = 52
      • 부록 =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