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손의 기민성 평가도구인 Functional Dexterity Test(FDT)를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표준치를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013521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2010
한국어
기민성 ; 노인 ; 신뢰도 ; 타당도 ; dexterity ; elderly ; functional dexterity test ; grooved pegboard ; MMSE-KC ; reliability ; validity
서울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unctional dexterity test in the elderly
vi, 30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정민예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손의 기민성 평가도구인 Functional Dexterity Test(FDT)를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표준치를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손의 기민성 평가도구인 Functional Dexterity Test(FDT)를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표준치를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노인종합복지관과 노인요양원을 이용 중인 노인이었으며, 한글판 간이정신상태 평가(MMSE-KC)를 통하여 정상 인지수준으로 판별된 노인 60명(남자 30명, 여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에게 FDT와 Grooved Pegboard Test(GPT)를 같이 검사하여 수행시간을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FDT의 수행시간은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수행시간이 길어졌고, GPT의 수행시간은 우세손의 경우만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수행시간도 길어졌다. FDT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우세손이 r=.77, 비우세손이 r=.86이었다. FDT의 타당도를 위한 GPT와의 상관계수는 우세손이 r=.71, 비우세손은 r=.64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한지역의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한계가 있으며, 인원수가 많지 않아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FDT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통해 제시한 정상 노인의 성별 연령별 평균값은 정상노인의 손 기능 평가결과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