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잊혀진’ 또는 ‘읽을 수 없는(unreadable)’ 기록 속의 여성들: 빅 아일랜드(Big Island) 한인 1세의 묘비와 삶의 궤적 = Women in the ‘Forgotten’ Or ‘Unreadable’ Records: The Gravestone Inscription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on the Big Island and Their Life Trajec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21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gravestone inscription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who lived and died on the Big Island, officially called Island of Hawai’i. They are located at the Alae cemetery in Hilo, the Holualoa cemetery in Kona, the Ka...

      This paper examines the gravestone inscription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who lived and died on the Big Island, officially called Island of Hawai’i. They are located at the Alae cemetery in Hilo, the Holualoa cemetery in Kona, the Kalahiki cemetery in Captain Cook, and the Kohala cemetery in Kapaau on the Island. Among the total 155 gravestones, this study focuses on the 12 gravestone inscriptions for women and also 14 men who are found to have official records related to their female family members, mainly including their wives called ‘picture brides’. The official records used in this study in line with the inscriptions are from the list of Korean passengers arriving at Honolulu, 1903-1905 and the “passport list” issued at the Japanese Consulate General of Honolulu, 1910-1924. One gravestone is also analyzed intensively in this study informing of some Koreans who joined the Anglican Church from 1904. There are many studies focusing on th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Hawaii. The majority of the studies are based on the voices and experiences of the immigrants in Honolulu, Ohau while those who migrated to the neighbor islands such as the Big Island are often taken for granted. Moreover, because men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 migrants in Hawaii, most of the studies are based on men’s stories including their immigration backgrounds, arrivals, work and life experiences, and also their participation in a religious community and homeland’s independent movement. Differently from most existing literature, this paper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first-generation women’s life trajectory by analyzing their gravestone inscriptions as well as the men who are connected to them by applying for their visa to Hawaii.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overseas Koreans in that it focuses on the stories of minority immigrants who are likely to be often marginalized due to the lack of their immigration data and social pow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빅 아일랜드로 불리는 하와이 섬에서 살다가 생을 마감한 한인 1세의 비문에 토대를 둔 것이다. 힐로시에 위치한 알라에 묘지와 코나 및 인근 지역의 옛 사탕수수농장 터에서 발견...

      이 연구는 빅 아일랜드로 불리는 하와이 섬에서 살다가 생을 마감한 한인 1세의 비문에 토대를 둔 것이다. 힐로시에 위치한 알라에 묘지와 코나 및 인근 지역의 옛 사탕수수농장 터에서 발견된 한인 묘지 네 군데에서 발견된 비석의 비문이 그것이다. 총 163기 중에 여성의 것 12기와 여성인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특정 여성에 관한 문구가 적힌 비석 1기가 연구의 주요 대상이다. 또한 비문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사진신부와 결혼한 것으로 추정되는 남성의 비문과 선박부, 여권 기록 등을 파악하였다. 파악된 기록을 이해하기 위해 하와이 한인 1세의 출신 배경과 이민, 정착, 결혼과 생활, 종교 등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기술하였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하와이 한인 1세에 관한 연구가 주로 호놀룰루가 위치한 오아후 중심으로 전개된 측면이 있다. 또한 초창기 한인 연구는 1903-1905년에 하와이에 도착한 한인을 기록한 선박부와 감리교 교인명단, 독립운동 등이 중심이었다는 점에서 주로 남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인 여성의 비문과 여성의 정보를 담고 있는 남성의 비문 및 여타 기록을 중심으로 그들의 삶과 죽음의 궤적을 파악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다른 하와이 한인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이민 연구에서 자료의 부재 때문에, 또는 사회적 주요 관심사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소외되기 쉬운 소수 이민자의 이야기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가 해외한인 연구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웨인 패터슨, "하와인 한인 이민 1세: 그들 삶의 애환과 승리(1903~1973)" 들녘 2003

      2 Brandon Palmer, "하와이의 한인과 미국인 간의 관계(1903~1945)"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4) : 169-240, 2005

      3 이덕희, "하와이의 한인 성공회 교회"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8) : 205-236, 2013

      4 이선주, "하와이 한인사회의 성장사: 1903~1940"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4

      5 이덕희, "하와이 한인감리교회의 초기 교인들" (19) : 2003

      6 오원철, "하와이 한인 이민과 독립운동: 한인 교회와 사진 신부와 관련하여" 전일실업(주) 출판부 1999

      7 홍윤정, "하와이 한인 여성단체와 사진신부의 독립운동" 한국여성사학회 (26) : 1-26, 2017

      8 이만열, "하와이 이민과 한국교회" 한국기독교역사학회 16 : 35-46, 2002

      9 이선주, "하와이 이민 초창기 한인들의 감정 구조" 한국학연구소 (31) : 33-79, 2013

      10 문옥표, "하와이 사진신부 천연희의 이야기" 일조각 2017

      1 웨인 패터슨, "하와인 한인 이민 1세: 그들 삶의 애환과 승리(1903~1973)" 들녘 2003

      2 Brandon Palmer, "하와이의 한인과 미국인 간의 관계(1903~1945)"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4) : 169-240, 2005

      3 이덕희, "하와이의 한인 성공회 교회"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8) : 205-236, 2013

      4 이선주, "하와이 한인사회의 성장사: 1903~1940"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4

      5 이덕희, "하와이 한인감리교회의 초기 교인들" (19) : 2003

      6 오원철, "하와이 한인 이민과 독립운동: 한인 교회와 사진 신부와 관련하여" 전일실업(주) 출판부 1999

      7 홍윤정, "하와이 한인 여성단체와 사진신부의 독립운동" 한국여성사학회 (26) : 1-26, 2017

      8 이만열, "하와이 이민과 한국교회" 한국기독교역사학회 16 : 35-46, 2002

      9 이선주, "하와이 이민 초창기 한인들의 감정 구조" 한국학연구소 (31) : 33-79, 2013

      10 문옥표, "하와이 사진신부 천연희의 이야기" 일조각 2017

      11 정은귀, "천사도와 사진 신부 - 초기 재미 한인 이민문학의 재구성" 외국문학연구소 (55) : 217-242, 2014

      12 오윤호, "제국의 경계 공간과 디아스포라의 위치 — 하와이 사진신부 소설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68) : 131-162, 2017

      13 김원용, "재미한인 50년사" 혜안 2004

      14 정미옥, "여성의 이주와 (탈)근대성 : ‘사진신부’"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297-338, 2018

      15 맹 도티 쉬러, "야무진 한국여인 야물이" 종합출판미디어 2007

      16 "성경사전"

      17 손상웅, "선교 한국 그 역사를 찾아서-22. 최원식"

      18 우리역사넷, "사진신부들의 결혼 조건과 특성"

      19 이경민, "사진신부, 결혼에 올인하다 2 : 하와이 이민과 사진결혼의 탄생" 57 : 2007

      20 이경민, "사진신부, 결혼에 올인하다 1: 하와이 이민과 사진결혼의 탄생" 56 : 2007

      21 김재기, "미국한인들의 3.1운동 지지와 임시정부초기 독립운동 자금 모금운동" 한국보훈학회 18 (18): 43-62, 2019

      22 김지원, "미국의 일본인 배척운동과 한인 사진신부의 이주, 1910∼1924" 한국미국사학회 44 : 289-318, 2016

      23 국립민속박물관, "미국 하와이지역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03

      24 문경희, "도일과 히로시마 원폭피해, 귀환: 일제강점기 합천 출신 이주 1.5, 2세대의 경험" 이주사학회 19 : 6-51, 2018

      25 김희곤, "대구 여성 독립운동 인물사: 나라를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대구여성가족재단 2019

      26 Seri I. Luangphinith, "The Paths We Cross: The Lives and Legacies of Korean on the Big Island" The University of Hawai‘i at Hilo 2017

      27 Duk Hee Lee Murabayashi, "Korean Passengers Arriving at Honolulu, 1903-1905" Th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004

      28 Malyong Yi, "Hilo United Methodist Church: 1910-2010 Centennial Celebration: Faith in Action"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0

      29 Alice Yun Chai, "Feminist Analysis of Kife Histories of Hawaii’s Early Asian Immigrant Women" 2 : 2016

      30 金度亨, "3?1운동과 하와이 한인사회의 동향" 한국근현대사학회 21 : 97-130, 2002

      31 조은정, "19세기 말∼20세기 초 하와이 이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