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紳士遊覽團 使行錄에 반영된 한일문화교류 - <日槎集略>과 <東行日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2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811년 對馬島에서 행해진 易地通信을 통신사외교를 통한 교린체제와 한일 문화 교류의 終焉으로 파악한 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한일 문화교류의 ...

      본 연구는 1811년 對馬島에서 행해진 易地通信을 통신사외교를 통한 교린체제와 한일 문화 교류의 終焉으로 파악한 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한일 문화교류의 전통이 紳士遊覽團까지 연결되어 있음을 <日槎集略>과 <東行日錄>을 통해 재조명한 것이다.
      <일사집략>과 <동행일록>은 1881년 개화 정책의 필요성을 인식한 고종의 비밀 명령에 의해서 파견된 신사유람단의 朝士와 隨員이 사행 체험의 특이성을 전달하고, 자신의 文才를 과시하려고 하는 작가의식에서 비롯된 私的 성격의 使行錄이다.
      이들 사행록을 살펴본 결과 신사유람단은 筆談과 詩文唱和는 물론, 演戱ㆍ音樂ㆍ書畵 등을 통해서 양국 文士가 상호교류한 通信使의 전통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통신사보다 문화교류의 양상이 축소되거나 약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製述官ㆍ書記ㆍ醫員ㆍ樂隊ㆍ畵員ㆍ馬上才 등 文才와 技藝에 뛰어난 사람들로 구성된 통신사와 달리, 신사유람단은 그 구성이 관료 중심의 朝士와 隨員으로 한정되어 필담과 시문창화 외의 다양한 문화 교류가 원천적으로 차단된 데에 기인한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신사유람단은, 이전 對日使行의 상호 문화교류 전통을 근대까지 훌륭하게 계승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對日 사절단을 통한 한일문화교류사를 논할 때 반드시 포함시키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started from the reflection on the previous research outcome, which understood Tongsinsa visit performed in Tsusima in 1811 as the good-neighbor policy through Tongsinsa diplomacy and the las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i...

      This study is started from the reflection on the previous research outcome, which understood Tongsinsa visit performed in Tsusima in 1811 as the good-neighbor policy through Tongsinsa diplomacy and the las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illuminating that the tradit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as linked to Sinsayuramdan through <Ilsajypryak> and <Donghaengilrok>.
      <Ilsajypryak> and <Donghaengilrok> is the record of envoy visit in 1881 written by Sinsayuramdan, which was dispatched to Japan from the secret order of Gojong, wh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nlightenment policy. They are produced to deliver the uniqueness of the envoy visit to Japan and to display their own literary talent as authors.
      The examination of the record on the envoy visit showed that Sinsayurandan inherited the tradition of Tongsinsa's mutual exchange by the literary persons in both countries through music and paintings etc, as well as literary exchange through conversation by writing and creative paintings of poetry and prose. However, it was proven that the scale of cultural exchange shrank or weakened compared to Tongsinsa. This is because unlike Tongsinsa, which consisted of those who were remarkable in literary attainments, arts and artistic talents such as Jaesulgwan, scribe, doctor, painter etc, Sinsayuramdan was composed of government officials, and thereby diverse cultural exchange except cultural exchange shut off, from the start.
      Taking this fact into account, Sinsayuramdan can be assessed to have inherited successfully the tradition of mutual cultural exchange through envoy visit until modern times. As a consequence, when discussing the history on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envoy visit, Sinsayuramdan should have to be included without fai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