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본 글로벌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의 동인과 성과 =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Born Global Venture Fir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4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ty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born global venture firms(BGF), based on international new venture, resource-based and network theory. The antecede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considered as CEO technology oriented characteristics, collaboration network and government support. Technological innovation is classified into R&D investment and intellectual property(IP) in the perspectives of input and output. The data of Korean born global venture firms was analyzed for the empirical hypothesis test by PLS-SEM statistical metho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EO technology driven characteristics and collaboration network are positively influenced on R&D investment, while government support is positively impacts on intellectual property. It means that the drive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input and output factors. Second, R&D investment also has positive impact on intellectual property as our expectation. This implies that born global venture firms should manag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effectively balanced in input and outcome activities. Third, in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R&D investment has no substantially impact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while intellectual property influences positively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It is also confirmed that intellectual property mediates posi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such as R&D investment and intellectual property have critical roles for international performance and also the key drive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may have different impacts.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e rol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born global venture firms, defines it in terms of R&D investment input and output, and empirically investigates its determinants and impacts on internationaliz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identity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born global venture firms(BGF), based on international new venture, resource-based and network theory. The antecede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con...

      This study is to identity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born global venture firms(BGF), based on international new venture, resource-based and network theory. The antecede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considered as CEO technology oriented characteristics, collaboration network and government support. Technological innovation is classified into R&D investment and intellectual property(IP) in the perspectives of input and output. The data of Korean born global venture firms was analyzed for the empirical hypothesis test by PLS-SEM statistical metho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EO technology driven characteristics and collaboration network are positively influenced on R&D investment, while government support is positively impacts on intellectual property. It means that the drive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input and output factors. Second, R&D investment also has positive impact on intellectual property as our expectation. This implies that born global venture firms should manag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effectively balanced in input and outcome activities. Third, in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R&D investment has no substantially impact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while intellectual property influences positively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It is also confirmed that intellectual property mediates posi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such as R&D investment and intellectual property have critical roles for international performance and also the key drive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may have different impacts.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e rol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born global venture firms, defines it in terms of R&D investment input and output, and empirically investigates its determinants and impacts on internationa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산업의 성숙기 도래로 인한 저성장으로 혁신적 기술기반의 벤처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창업초기부터 해외시장을 목표로 하는 ‘본 글로벌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본 연구는 국제신생벤처이론, 자원준거이론과 네트워크이론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본 글로벌 벤처기업(BGV)’의 기술혁신의 동인과 성과를 규명한다.
      벤처기업으로 설립초기부터 기술역량을 기반으로 해외시장 개척을 지향하여 해외매출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본 글로벌 기업에 대한 실증분석으로 다음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본 글로벌 벤처기업의 핵심역량인 기술혁신의 선행요인으로 경영자의 기술지향 특성, 협업 네트워크 및 정부지원은 연구개발투자와 지식재산(Intellectual property)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경영자의 기술기반 지식의 특성과 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는 연구개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정부지원은 지식재산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술혁신의 선행요인별 특성에 따라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기술혁신의 투입과 산출관점에서 연구개발투자가 투입요소로서 혁신성과인 지식재산에 유의하게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술혁신과 국제화의 관계에 있어 연구개발투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지식재산은 국제화 성과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글로벌 벤처기업의 핵심역량인 기술혁신의 동인에 차별적 영향이 존재하므로 요인별 특성을 인지하여 관리하고 국제화 성과로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의 효과성 측면에서 연구개발투자와 지식재산역량의 균형적인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본 글로벌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에 주목하여 투입과 산출관점에서 정의하고 이의 결정요인과 국제화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는 ‘본 글로벌 벤처기업’의 본원적 경쟁력인 기술리더십 강화와 국제화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적 의사결정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최근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산업의 성숙기 도래로 인한 저성장으로 혁신적 기술기반의 벤처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창업초기부터 해외시장을 목표로 하는 ‘본 글로벌 기업’에 대...

      최근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산업의 성숙기 도래로 인한 저성장으로 혁신적 기술기반의 벤처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창업초기부터 해외시장을 목표로 하는 ‘본 글로벌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본 연구는 국제신생벤처이론, 자원준거이론과 네트워크이론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본 글로벌 벤처기업(BGV)’의 기술혁신의 동인과 성과를 규명한다.
      벤처기업으로 설립초기부터 기술역량을 기반으로 해외시장 개척을 지향하여 해외매출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본 글로벌 기업에 대한 실증분석으로 다음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본 글로벌 벤처기업의 핵심역량인 기술혁신의 선행요인으로 경영자의 기술지향 특성, 협업 네트워크 및 정부지원은 연구개발투자와 지식재산(Intellectual property)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경영자의 기술기반 지식의 특성과 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는 연구개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정부지원은 지식재산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술혁신의 선행요인별 특성에 따라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기술혁신의 투입과 산출관점에서 연구개발투자가 투입요소로서 혁신성과인 지식재산에 유의하게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술혁신과 국제화의 관계에 있어 연구개발투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지식재산은 국제화 성과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글로벌 벤처기업의 핵심역량인 기술혁신의 동인에 차별적 영향이 존재하므로 요인별 특성을 인지하여 관리하고 국제화 성과로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의 효과성 측면에서 연구개발투자와 지식재산역량의 균형적인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본 글로벌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에 주목하여 투입과 산출관점에서 정의하고 이의 결정요인과 국제화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는 ‘본 글로벌 벤처기업’의 본원적 경쟁력인 기술리더십 강화와 국제화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적 의사결정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근호, "한국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의 국제화 속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학회 11 (11): 321-349, 2007

      2 신진교,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6 (16): 1-23, 2009

      3 김민호, "본 글로벌 기업의 해외활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소 2 (2): 91-111, 2010

      4 강정은, "벤처기업의 특성과 본 글로벌성향: 한국 벤처기업의 창업자, 기술자원,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국제경영학회 21 (21): 21-46, 2010

      5 이양복,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3 (23): 179-200, 2019

      6 김병재, "벤처기업 국제화 수준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12 (12): 157-177, 2008

      7 최종열, "기업가정신, 혁신역량 및 외부협력이 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219-231, 2015

      8 강원진, "국내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외부자원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35-45, 2012

      9 Hair, J. F., "When to use and how to report the results of PLS-SEM" 31 (31): 2-24, 2019

      10 Dunning, J. H., "Toward an eclectic theory of international production : Some empirical tests" 11 (11): 9-31, 1980

      1 박근호, "한국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의 국제화 속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학회 11 (11): 321-349, 2007

      2 신진교,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6 (16): 1-23, 2009

      3 김민호, "본 글로벌 기업의 해외활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소 2 (2): 91-111, 2010

      4 강정은, "벤처기업의 특성과 본 글로벌성향: 한국 벤처기업의 창업자, 기술자원,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국제경영학회 21 (21): 21-46, 2010

      5 이양복,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3 (23): 179-200, 2019

      6 김병재, "벤처기업 국제화 수준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12 (12): 157-177, 2008

      7 최종열, "기업가정신, 혁신역량 및 외부협력이 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219-231, 2015

      8 강원진, "국내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외부자원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35-45, 2012

      9 Hair, J. F., "When to use and how to report the results of PLS-SEM" 31 (31): 2-24, 2019

      10 Dunning, J. H., "Toward an eclectic theory of international production : Some empirical tests" 11 (11): 9-31, 1980

      11 Oviatt, B. M., "Toward a theory of international new ventures" 25 (25): 45-64, 1994

      12 Johanson, J., "The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of the firm-a model of knowledge development and increasing foreign market commitments" 8 (8): 23-32, 1977

      13 Sharma, D. D., "The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of born globals : a network view" 12 (12): 739-753, 2003

      14 Madsen, T. K., "The internationalization of born globals : an evolutionary process?" 6 (6): 561-583, 1997

      15 Burgel, O., "The international market entry choices of start-up companies in high-technology industries" 8 (8): 33-62, 2000

      16 Welter, C., "The interaction between managerial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as a determinant of company performance : An empirical study of biotech firms" 30 (30): 272-, 2013

      17 Flor, M., "The influence of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ies on export performance in supplier‐dominated industries : the case of ceramic tiles firms" 35 (35): 333-347, 2005

      18 Tsai, K. H., "The impact of technological capability on firm performance in Taiwan's electronics industry" 15 (15): 183-195, 2004

      19 Nordman, E. R., "The impact of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of born globals in the biotech business" 43 (43): 171-185, 2008

      20 Zucchella, A., "The drivers of the early internationalization of the firm" 42 (42): 268-280, 2007

      21 Cavusgil, S. T., "The born global firm : An entrepreneurial and capabilities perspective on early and rapid internationalization" 46 (46): 3-16, 2015

      22 Rasmussen, E. S., "The born global concept" 1-26, 2002

      23 Johanson, J., "The Uppsala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model revisited : From liability of foreignness to liability of outsidership" 40 (40): 1411-1431, 2009

      24 Yang, J., "Technological innovation of firms in China : Past, present, and future" 29 (29): 819-840, 2012

      25 Filipescu, D. A.,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xports : unpacking their reciprocal causality" 21 (21): 23-38, 2013

      26 Coviello, N., "Re-thinking research on born globals" 46 (46): 17-26, 2015

      27 Marshall, V. B., "RIMS : A new approach to measuring firm internationalization" 51 : 1133-1141, 2020

      28 Zaheer, S., "Overcoming the liability of foreignness" 38 (38): 341-363, 1995

      29 Azar, G., "Organizational innov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xport performance : The effects of innovation radicalness and extensiveness" 26 (26): 324-336, 2017

      30 Coombs, J. E., "Measuring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performance" 36 (36): 421-438, 2006

      31 Rosenbusch, N., "Is innovation always beneficial?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performance in SMEs" 26 (26): 441-457, 2011

      32 Zhou, L.,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performance of born-global SMEs :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networks" 38 (38): 673-690, 2007

      33 Zahra, S. A., "International expansion by new venture firms : International diversity, mode of market entry, technological learning, and performance" 43 (43): 925-950, 2000

      34 Knight, G. A., "Innovation,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the born-global firm" 35 (35): 124-141, 2004

      35 Tanev, S., "Global from the start: The characteristics of born-global firms in the technology sector" 2 (2): 2012

      36 McDougall, P. P., "Explaining the formation of international new ventures : The limits of theories from international business research" 9 (9): 469-487, 1994

      37 Wang, C. H., "Evaluating firm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under uncertainty" 28 (28): 349-363, 2008

      38 Voudouris, I., "Effectiveness of technology investment : Impact of internal technological capability, networking and investment's strategic importance" 32 (32): 400-414, 2012

      39 Baum, J. A., "Don't go it alone : Alliance network composition and startups' performance in Canadian biotechnology" 21 (21): 267-294, 2000

      40 Belderbos, R., "Cooperative R&D and firm performance" 33 (33): 1477-1492, 2004

      41 Blomqvist, K., "Collaboration capability–a focal concept in knowledge creation and collaborative innovation in networks" 2 (2): 31-48, 2006

      42 Lu, Y., "Capabilities as a mediator linking resources and the international performance of entrepreneurial firms in an emerging economy" 41 (41): 419-436, 2010

      43 Efrat, K., "Born global firms :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short-and long-term performance drivers" 47 (47): 675-685, 2012

      44 Rennie, M. W., "Born global" (4) : 45-53, 1993

      45 Monaghan, S., "Born digitals : Thoughts on their internationalization and a research agenda" 51 (51): 11-22, 2020

      46 Mostafiz, M. I., "Born Global phenomenon: a critical review and avenues for future research" 2020

      47 Knight, G. A., "A taxonomy of born-global firms" 45 (45): 15-35, 2005

      48 Henseler, J., "A new criterion for assessing discriminant validity in variance-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3 (43): 115-135,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39 1.6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