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래지향시간관 군집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 차이 =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Future Time Perspective Clus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66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생은 학업을 병행함과 동시에 직업세계로의 진출을 앞두고 다양한 진로 관련 활동을 하게 된다. 이때 미래에 대한 개인의 관점인 미래지향시간관(Future Time Perspective; FTP)과 동기는 앞으로의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연구에서 시간관이 높고 내재화된 동기일수록 긍정적으로 여기지만 시간에 대한 관점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중요한 일을 하는 데 반드시 내재적으로 동기화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학습자마다 다양한 시간관과 다양한 동기 수준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별적인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변인중심분석이 아닌 사람중심분석을 통해 개인의 다양한 미래지향시간관 유형과 다양한 동기 수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요인에 따라 군집을 도출하고, 군집에 따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 수준이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해 155명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도출된 미래지향시간관 군집 유형간의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M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낮은 FTP형(13.5%)’, ‘높은 확장성형(16.1%)’, ‘중간 FTP형(19.3%)’, ‘높은 FTP형(23.8%)’, ‘낮은 속도형(27%)’으로 5개의 군집이 추출되었다. 5개의 군집 간에는 학업성취도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속도 요인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구체적으로 ‘높은 FTP형’, ‘중간 FTP형’ 순서로 높았으며 ‘낮은 속도형’, ‘높은 확장성형’, ‘낮은 FTP형’의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속도 요인에 따라 그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유형 중 무동기는 미래지향시간관의 전체 수준이 높으면 그 수준이 낮았고 미래지향시간관의 전체 수준이 낮으면 수준이 높았다. 또한 각 군집의 가치 요인의 수준에 따라 내재동기의 수준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높은 FTP형’, ‘낮은 FTP형’, ‘낮은 속도형’, ‘높은 확장성형’, ‘중간 FTP형’ 순서로 내재동기의 수준이 높았다. 그러나 외적 조절동기와 부과된 조절동기는 군집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람 중심 분석인 군집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미래지향시간관의 수준이 어떠한지 확인하였으며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주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또한 각 하위요인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군집 내에서 어떠한 요인을 증진시키는 것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치 요인이 진로동기 중 내재동기와, 속도 요인이 학업성취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래지향시간관의 전체적인 수준이 높은 것이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긍정적인 관계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단순히 미래지향시간관의 평균 수준이 높다고 하여 모든 면에서 적응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미래지향시간관의 평균 수준이 낮다고 하여 모든 면에서 비적응적인 모습을 보인 것이 아니므로 미래지향시간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미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각 유형별로 차별적인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개별적인 진로 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을 통해 적응적인 대학생활과 진로 준비를 할 수 있게 대학 내에서 교육 제도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대학생은 학업을 병행함과 동시에 직업세계로의 진출을 앞두고 다양한 진로 관련 활동을 하게 된다. 이때 미래에 대한 개인의 관점인 미래지향시간관(Future Time Perspective; FTP)과 동기는 앞으...

      대학생은 학업을 병행함과 동시에 직업세계로의 진출을 앞두고 다양한 진로 관련 활동을 하게 된다. 이때 미래에 대한 개인의 관점인 미래지향시간관(Future Time Perspective; FTP)과 동기는 앞으로의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연구에서 시간관이 높고 내재화된 동기일수록 긍정적으로 여기지만 시간에 대한 관점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중요한 일을 하는 데 반드시 내재적으로 동기화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학습자마다 다양한 시간관과 다양한 동기 수준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별적인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변인중심분석이 아닌 사람중심분석을 통해 개인의 다양한 미래지향시간관 유형과 다양한 동기 수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요인에 따라 군집을 도출하고, 군집에 따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 수준이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해 155명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도출된 미래지향시간관 군집 유형간의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M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낮은 FTP형(13.5%)’, ‘높은 확장성형(16.1%)’, ‘중간 FTP형(19.3%)’, ‘높은 FTP형(23.8%)’, ‘낮은 속도형(27%)’으로 5개의 군집이 추출되었다. 5개의 군집 간에는 학업성취도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속도 요인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구체적으로 ‘높은 FTP형’, ‘중간 FTP형’ 순서로 높았으며 ‘낮은 속도형’, ‘높은 확장성형’, ‘낮은 FTP형’의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속도 요인에 따라 그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유형 중 무동기는 미래지향시간관의 전체 수준이 높으면 그 수준이 낮았고 미래지향시간관의 전체 수준이 낮으면 수준이 높았다. 또한 각 군집의 가치 요인의 수준에 따라 내재동기의 수준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높은 FTP형’, ‘낮은 FTP형’, ‘낮은 속도형’, ‘높은 확장성형’, ‘중간 FTP형’ 순서로 내재동기의 수준이 높았다. 그러나 외적 조절동기와 부과된 조절동기는 군집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람 중심 분석인 군집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미래지향시간관의 수준이 어떠한지 확인하였으며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주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또한 각 하위요인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군집 내에서 어떠한 요인을 증진시키는 것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치 요인이 진로동기 중 내재동기와, 속도 요인이 학업성취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래지향시간관의 전체적인 수준이 높은 것이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긍정적인 관계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단순히 미래지향시간관의 평균 수준이 높다고 하여 모든 면에서 적응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미래지향시간관의 평균 수준이 낮다고 하여 모든 면에서 비적응적인 모습을 보인 것이 아니므로 미래지향시간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미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각 유형별로 차별적인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개별적인 진로 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을 통해 적응적인 대학생활과 진로 준비를 할 수 있게 대학 내에서 교육 제도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rived clusters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future time perspectiv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sed whether the levels of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iffered according to the cluster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y measuring the future time perspective,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155 students. Then, we analysed the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cluster types of future time perspective using MANOVA.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five clusters were extracted: low FTP (13.5%), high extension (16.1%), medium FTP (19.3%), high FTP (23.8%), and low speed (2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five clusters, with the higher the speed factor,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high FTP’ and ‘medium FTP’ had the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while ‘low speed’, ‘high extension’, and ‘low FT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levels depending on the speed factor. Among the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types, amotivation was lower when the overall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high and higher when the overall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low. In addition, the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value factors in each cluster. Specifically, high FTP, low FTP, low speed, high extension, and medium FTP had higher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However,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o identify the level and form of future time perspectiv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rough cluster analysis, a person-centred analysis,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factor and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ussed which factors within the clusters can be enhanced to produce positive results. We found that the value f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pace f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We also found that a higher overall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a high average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does not mean that a person is adaptive in all aspects, and a low average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does not mean that a person is maladaptive in all aspects, suggesting that in order to improve future time perspective, differentiated educational support is needed for each type of individual by identifying their perception of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systems within universities to help students prepare for adaptive university life and careers through individual career education programmes and counselling.
      번역하기

      This study derived clusters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future time perspectiv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sed whether the levels of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iffered according to the clusters. To th...

      This study derived clusters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future time perspectiv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sed whether the levels of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iffered according to the cluster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y measuring the future time perspective,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155 students. Then, we analysed the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cluster types of future time perspective using MANOVA.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five clusters were extracted: low FTP (13.5%), high extension (16.1%), medium FTP (19.3%), high FTP (23.8%), and low speed (2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five clusters, with the higher the speed factor,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high FTP’ and ‘medium FTP’ had the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while ‘low speed’, ‘high extension’, and ‘low FT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levels depending on the speed factor. Among the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types, amotivation was lower when the overall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high and higher when the overall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low. In addition, the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value factors in each cluster. Specifically, high FTP, low FTP, low speed, high extension, and medium FTP had higher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However,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o identify the level and form of future time perspectiv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rough cluster analysis, a person-centred analysis,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factor and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ussed which factors within the clusters can be enhanced to produce positive results. We found that the value f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pace f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We also found that a higher overall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a high average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does not mean that a person is adaptive in all aspects, and a low average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does not mean that a person is maladaptive in all aspects, suggesting that in order to improve future time perspective, differentiated educational support is needed for each type of individual by identifying their perception of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systems within universities to help students prepare for adaptive university life and careers through individual career education programmes and counsell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미래지향시간관 = 5
      • 2.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 9
      • 가. 자기결정성 이론 = 9
      • 나.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 11
      • 3.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학업성취도의 관계 = 14
      • 가.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결정성이론 진로동기의 관계 = 14
      • 나.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17
      • Ⅲ. 연구방법 = 21
      • 1. 연구참여자 = 21
      • 2. 측정도구 = 21
      • 가. 한국판 대학생의 미래지행시간관 척도 = 22
      • 나.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대학생의 진로동기 척도 = 22
      • 다. 학업성취도 = 23
      • 3. 분석방법 = 23
      • Ⅵ. 연구결과 = 25
      • 1. 기술통계 = 25
      • 2. 미래지향시간관 군집분석 = 28
      • 3. 미래지향시간관 군집 간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 수준 차이 = 33
      • Ⅴ. 논의 = 36
      • 1.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군집 유형과 학업성취의 관계 = 36
      • 2. 미래지향시간관 군집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의 관계 = 39
      • Ⅵ. 결론 = 44
      • 1.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점 = 44
      • 2.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 45
      • Ⅵ. 참고문헌 = 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