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12월 ‘한국인의 이상기질’이라는 특집이 기획된 이후 다시 1966년 6월부터 ‘문화식민론’(6월호), ‘민족문화론’(7월호), ‘민족문화의 문제점들’(9월호) 등 『청맥』에는 민족문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48913
이철호 (대구교육대학교)
2024
Korean
Choi In-hoon ; The Gray Man ; Ethnicity ; (de)mythologizing ; Ethnoculture ; Cheongmak ; 최인훈 ; 『회색인』 ; 민족성 ; (비)신화화 ; 민족문화 ; 『청맥』
KCI등재
학술저널
239-26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64년 12월 ‘한국인의 이상기질’이라는 특집이 기획된 이후 다시 1966년 6월부터 ‘문화식민론’(6월호), ‘민족문화론’(7월호), ‘민족문화의 문제점들’(9월호) 등 『청맥』에는 민족문화...
1964년 12월 ‘한국인의 이상기질’이라는 특집이 기획된 이후 다시 1966년 6월부터 ‘문화식민론’(6월호), ‘민족문화론’(7월호), ‘민족문화의 문제점들’(9월호) 등 『청맥』에는 민족문화 주제의 특집이 연이어 마련된다. 민족문화론은 한국인의 저열한 민족성이 식민사관의 잔재라는 비판적 인식이 동시대 역사학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한일협정을 위한 비밀회담에 세간에 알려지자 반일감정이 고조된 상황에서 제출되었다. 『청맥』이 연속기획으로 공론화한 민족문화론은 식민사관, 민족성, 민족문화를 소설적 주제로 형상화하는 데에 남달랐던 최인훈에게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런 의미에서 『회색인』으로부터 『서유기』에 이어지는 서사적 실험이 지닌 의미는 주목된다. 소설 전반에 걸쳐 엽전의식, 곧 패배감에 사로잡혀 있는 독고준의 존재가 민족성의 비신화화를 구현한다면, 그에 반해 김학이 만나는 김소위나 황 선생은 민족문화의 재발견을 통해 민족성의 신화화를 도모한다. 민족성 담론이 유동하는 1964년 시점에서 최인훈의 『회색인』은 (비)신화화라는 두 개의 민족성 담론을 서사 내부로 소환해 심문하고 그 극복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텍스트로 독해 가능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December 1964, a special issue entitled “The Ideal Temperament of the Korean People” was organized, and from June 1966 onward, a series of special issues on ethnic culture were published in Cheongmak, including “Cultural Colonialism” (June ...
In December 1964, a special issue entitled “The Ideal Temperament of the Korean People” was organized, and from June 1966 onward, a series of special issues on ethnic culture were published in Cheongmak, including “Cultural Colonialism” (June issue), “Ethnocultural Theory” (July issue), and “Problems of Ethnic Culture” (September issue). The issue was submitted in the context of heightened anti-Japanese sentiment after the publicity surrounding the secret negotiations for the Korea-Japan Agreement, which led to the critical recognition that Korean ethnicity is a remnant of colonialism in contemporary historiography. “The ethno-cultural theories discussed in the series may have influenced Choi In-hoon, who excelled in shaping colonialism, ethnicity, and ethnic culture into novelistic themes. In that sense, the significance of the narrative experimentation from The Gray Man [灰色人] to Journey to the West [西遊記] is noteworthy. If Dokgo Joon's existence throughout the novel embodies the de-mythologization of ethnicity through his sense of defeat, then Kim Hak's encounters with Kim So-wei and Dr. Hwang promote the mythologization of ethnicity through the rediscovery of nation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1964, when the discourse of ethnicity is in flux, Choi In-hoon's The Gray Man can be read as a text that summons both discourses of (de)mythologizing ethnicity into the narrative, interrogates them, and tries to overcome them.
사랑의 게토와 월경: 디시인사이드 대체역사 갤러리를 통해 살펴본 온라인 빗장 공동체
1960년대 북한연구와 ‘후진’의 위상학: 글렌 D. 페이지의 정치학을 사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