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평근, 진형준, "『이미지』", 살림, 2001
2 임영길, "『판화(Printmaking)』", 서울:미진사, 2014
3 김종갑, "『그로테스크의 몸』", 쿠북, 2010
4 홍은영, "『푸코와 몸에 대한 전략』", 철학과 현실사, 2004
5 피종호, "「예술형식의 상호 매체성」", 한국독어독문학회, Vol.76 No.1, 2000
6 공병혜, "「몸의 기억과 자기 정체성」", 철학과현상학 연구, Vol.78 No.-,한국현상학회, 2018
7 조윤경, "『보는 텍스트, 읽는 이미지』", 그린비, 2012
8 조윤경, "『초현실주의와 몸의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2008
9 정유진, "「현대 북아트의 철학적 특성」",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1, 2007
10 김종갑, "『타자로서의 몸, 몸의 공동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6
1 유평근, 진형준, "『이미지』", 살림, 2001
2 임영길, "『판화(Printmaking)』", 서울:미진사, 2014
3 김종갑, "『그로테스크의 몸』", 쿠북, 2010
4 홍은영, "『푸코와 몸에 대한 전략』", 철학과 현실사, 2004
5 피종호, "「예술형식의 상호 매체성」", 한국독어독문학회, Vol.76 No.1, 2000
6 공병혜, "「몸의 기억과 자기 정체성」", 철학과현상학 연구, Vol.78 No.-,한국현상학회, 2018
7 조윤경, "『보는 텍스트, 읽는 이미지』", 그린비, 2012
8 조윤경, "『초현실주의와 몸의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2008
9 정유진, "「현대 북아트의 철학적 특성」",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1, 2007
10 김종갑, "『타자로서의 몸, 몸의 공동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6
11 아이코, 유이치, "「공공권에서의 언어라는 장벽」", 정치사상연구, Vol.17 No.1, 2011
12 김재인, "「들뢰즈의 비인간주의 존재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서양철학전공 박사학 위논문, 2013
13 오생근, "『초현실주의 시와 문학의 혁명』", 문학과지성사, 2010
14 미셀, "푸코,『헤테로토피아』,이상길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5
15 김초엽,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허블, 2019
16 황석자, "「프루스트와 발레리의 시간과 예술」", 프랑스학회,Vol.23 No.-, 2002
17 임인숙, "「엘리자베스 그로츠의 육체 페미니즘」,", 여성문화이론연구소,Vol.- No.4,, 2001
18 김옥경, "「예술매체로서의 책의 담론과 패러다임」", 기초조형학연구,Vol.2 No.2, 2001
19 김인식, "『이미지와 글쓰기-롤랑 바르트 이미지론』", 세계사, 1993
20 조현순, "「여성의 몸:수잔 보르도와 주디스 버틀러」", 비평과 이론,Vol.7 No.2, 2002
21 양혜림, "「푸코의 남성주체에 관한 몸과 성의 담론」", 범한철학회, Vol.31 No.-, 2003
22 낭시, "『코르푸스 몸, 가장멀리서 오는 지금여기』", 김예령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2
23 미셀, "푸코,『성의 역사1 _앎의 의지』,이규현 옮김", 나남출판, 2005
24 정윤희, "「‘아브젝트’와 해체ㆍ구성된 여성의 몸」", 한국헤세학회, Vol.19 No.-, 2008
25 미셀, "푸코,『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김현 옮김", 고려대학교출판부, 2010
26 오닐, "엮음, 『큐레이팅이란 무엇인가』,변현주 옮김", 현실문화연구, 2013
27 김재원, "「발상적 전환을 통한 현대 미술의 드로잉역할」", 한국디자인포럼,Vol.29 No.-, 2010
28 곽민석, "「해방된 글쓰기로서 초현실주의 시적 이미지들」", 연세대학교유럽문화사회연구소, Vol.20 No.-, 2018
29 마틴, "게이퍼드,현대 미술의 이단자들, 주은정 옮김", 을유문화사, 2019
30 노시훈, "「<안달루시아의 개>의 전복적 특성과 초현실주의」", 문학과영상학회,Vol.2 No.2, 2001
31 조윤경, "『꿈의 거울: 초현실주의 시의 이미지와 언어실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32 윤희경, "「에바 헤세(Eva Hesse)의 미술에 나타난 실재의 귀환」",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Vol.20 No.-, 2017
33 사공일, "「호미 바바의 식민담론에 나타난 푸코의 권력담론」", 현대영미어문학회, Vol.32 No.4, 2014
34 전혜숙, "20세기 말의 미술_일상의 공간과 미디어의 재구성", 북코리아, 2013
35 김영옥, 이유진, "「재구성된 신체이미지에 나타나는 애브젝트의 표상들」", 한국조형디 자인학회,Vol.21 No.3, 2018
36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윤희기,박찬부 옮김", 열린책들, 2015
37 마샬, "맥루한, 『구텐베르크 은하계:활자인간의 형성』,임상원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38 홍경실, "「푸코철학의 전기와 후기에 있어서 우리의 몸에 대한 이해 비교」", 고려대학교철 학연구소, Vol.38 No.-, 2009
39 이영준, "「시각 이미지와 권력:이미지의 자기 증식과 여과, 조절의 기제들」", 서양미술사학 회, Vol.15 No.1, 2001
40 조윤경, "「통합적 예술매체로서의 책:마르셀 뒤샹의 매체실험을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 술연구,Vol.24 No.-, 2008
41 김유림, 임영길, "「예술가 책(Artists'Books)'에서의 '북 오브제(Book Object)'에 관한 연 구」", 조형디자인연구,Vol.18 No.4, 2015
42 정무환, 진휘연, "「바바라 크루거 작품의 디자인적 구성방식과 “텍스트”의 조형성」", 한국디 자인트렌드학회, Vol.36 No.-, 2012
43 수잔, "레이시 편,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지형그리기』,이영욱,김인규 옮김", 문화과학사, 2010
44 마르셀, "프루스트,『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스완네 집 쪽으로 1』,김희영 옮김", 민음사, 2012
45 전혜은, "『섹스화된 몸_엘리자베스 그로츠와 주디스 버틀러의 육체적 페미니즘』", 새물결, 2010
46 최수임, "「"몸쓰기와 "접촉"의 미학: 낭시 『코르푸스』를 통한<신체하는 안무>고찰」", 연 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Vol.102 No.-, 2014
47 곽윤수, "「후기 현대 미술의 신체성 연구:사라 루카스 Sarah Lucas의 작품을 중심으 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예술학과 석사 학위논문, 2008
48 김재인, "「들뢰즈의 “부분대상(objet partiel)”이론- 그 존재론적 미학적 의의의 탐색」", 한 국미학예술학회, Vol.41 No.-, 2014
49 지정숙,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있어서 무의지적인 추억의 문 제」", 한국불어문학회, Vol.19 No.1, 1984
50 양영회, "「에바 헤세(Eva Hesse)의 오브제 해석-주체의 파편화와 혼성 개념을 중심으로 -」",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조소전공 박사 학위논문, 2006
51 김성희, "「키키 스미스 작품에서 신체기호의 의미 분석과 해석 - 를 중심으 로-」", 한국조형예술학회, Vol.10 No.-, 2006
52 송진석, "「달리와 부뉴엘의 『안달루시아의 개』를 통해 본 초현실주의 영화의 형태와 의 미」", 프랑스문화예술학회,Vol.7 No.-, 2002
53 김영옥, 이유진, "「재구성된 신체이미지의 표현 양상 연구 –한스벨머(Hans Bellmer)의 인형 시리즈를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한국조형디자인학회, Vol.20 No.3, 2017
54 조윤경, "「문학텍스트와 사진이미지의 상호매체적 관계연구:앙드레 브르통의 『나자』를 중 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Vol.46 No.-, 2008
55 정연이,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트 (abject)개념 연구 : 현대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박사 학위논문, 2019
56 김상욱, "「개념미술에서 텍스트의 시각적 조형성에 관한 연구 - 제니 홀저와 바바라 크루 거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Vol.51 No.-, 2016
57 이찬웅, "「들뢰즈, 변신의 괴물학」,한국불어불문학회, Vol.- No.93, 이찬웅, 「들뢰즈의 신체개념 –결백한 괴물-」", 한국철학회, Vol.- No.130, 2017, 2013
58 김남시, 정연이, "「현대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로서의 여성의 몸-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 브젝트(Abject)개념을 중심으로」", 현대미술학회, Vol.22 No.1, 201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