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중년 근로자의 괜찮은 일 경험과 심리적 욕구 충족 간 관계에서 직장 내 존엄 경험의 매개 효과 = Decent Work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Dig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80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신중년 근로자를 대상으로 괜찮은 일 경험이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 등 심리적 욕구 충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직장 내 존엄 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만50~69세 근로자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주요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괜찮은 일 경험은 심리적 욕구 충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괜찮은 일이 직장 내 존엄 경험을 매개로 심리적 욕구 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 내 존엄 경험은 관계성과 자율성에 대해서 완전매개효과, 유능성에 대해서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신중년의 일 경험에서 괜찮은 일과 직장 내 존엄 경험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으며, 조직 현장과 근로자 정책 차원에서 존엄과 심리적 만족을 보장하는 환경 조성의 필요성과 함께, 직장 내 존엄을 고려한 진로 및 직업적응 상담 접근의 중요성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신중년 근로자를 대상으로 괜찮은 일 경험이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 등 심리적 욕구 충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직장 내 존엄 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만50~69세 근...

      본 연구는 신중년 근로자를 대상으로 괜찮은 일 경험이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 등 심리적 욕구 충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직장 내 존엄 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만50~69세 근로자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주요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괜찮은 일 경험은 심리적 욕구 충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괜찮은 일이 직장 내 존엄 경험을 매개로 심리적 욕구 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 내 존엄 경험은 관계성과 자율성에 대해서 완전매개효과, 유능성에 대해서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신중년의 일 경험에서 괜찮은 일과 직장 내 존엄 경험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으며, 조직 현장과 근로자 정책 차원에서 존엄과 심리적 만족을 보장하는 환경 조성의 필요성과 함께, 직장 내 존엄을 고려한 진로 및 직업적응 상담 접근의 중요성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cent work experience on th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needs-competence, relatedness, and autonomy-among older workers, and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dignity in this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50 workers aged 50 to 69, and the relationships among major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decent work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that this relationship was mediated by workplace dignity. In particular, workplace dignity exhibited a full mediating effect for relatedness and autonomy,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competence. These findings empiricall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decent work and workplace dignity in shaping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create environments that ensure dign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both organizational and policy contexts,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workplace dignity into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approach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cent work experience on th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needs-competence, relatedness, and autonomy-among older workers, and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dignity in this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cent work experience on th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needs-competence, relatedness, and autonomy-among older workers, and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dignity in this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50 workers aged 50 to 69, and the relationships among major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decent work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that this relationship was mediated by workplace dignity. In particular, workplace dignity exhibited a full mediating effect for relatedness and autonomy,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competence. These findings empiricall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decent work and workplace dignity in shaping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create environments that ensure dign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both organizational and policy contexts,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workplace dignity into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approach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